728x90
예종 [睿宗, 1079~1122] 고려의 제16대 국왕(1105~1122)
【개인 정보】
- [휘] 왕우(王俁)
- [자] 세민(世民)
- [묘호] 예종(睿宗)
- [시호] 명렬제순문효대왕(明烈齊順文孝大王)
- [능호] 유릉(裕陵)
- [출생] 1079년 1월 7일(음력)
- [사망] 1122년 4월 8일(음력)
- [재위] 1105년 10월 2일(음력) ~ 1122년 4월 8일(음력)
- [전임] 숙종(肅宗, 1054~1105) : 고려의 제15대 국왕(1095~1105)
- [후임] 인종(仁宗, 1109~1146) : 고려의 제17대 국왕(1122~1046)
【가족 관계】
[부모]
- 부 : 숙종(肅宗) / 본관 : 개성 / 생몰 : 1054~1105년 / 부모 : 문종(文宗), 인예태후 이씨(仁睿太后 李氏) / 제15대 국왕
- 모 : 명의왕후 유씨(明懿王后 柳氏) 명의왕태후(明懿王太后) / 본관 : 정주 / 생몰 : ?~1112년 / 부모 : 유홍(柳洪), 낙랑국대부인 김씨(樂浪國大夫人 金氏)
[배우자]
- 제1비 : 경화왕후 이씨(敬和王后 李氏) / 본관 : 인주 / 생몰 : 1079~1109년 / 부모 : 선종(宣宗), 정신현비 이씨(貞信賢妃 李氏)
- 제2비 : 순덕왕후 이씨(順德王后 李氏) 문경왕태후(文敬王太后 ) / 본관 : 인주 / 생몰 : 1094~1118년 / 부모 : 이자겸(李資謙), 변한국대부인 최씨(卞韓國大夫人 崔氏 - 최사추의 딸. 최충의 증손녀)
- 제3비 : 문정왕후 왕씨(文貞王后 王氏) / 본관 : 개성 / 생몰 : ?~1138년 / 부모 : 진한공 왕유(辰韓公 王愉 - 문종과 인경현비의 아들), 미상
- 제4비 : 숙비 최씨(淑妃 崔氏) / 본관 : 해주 / 생몰 : ?~1184년 / 부모 : 최용(崔湧 - 최충의 증손자), 강릉군대부인 김씨(江陵郡大夫人 金氏)
- 궁인 : 은씨(殷氏) / 본관 : 미상 / 생몰 : 미상 / 부모 : 미상
- 궁인 : 안씨(安氏) / 본관 : 미상 / 생몰 : 미상 / 부모 : 유석(庾碩), 미상
[왕자]
- 광지대선사(廣智大禪師) 각로(覺老) / 생몰 : 1102~1158년 / 생모 : 은씨 / 배우자 : 미혼
- 인종(仁宗) 해(楷) / 생몰 : 1109~1146년 / 생모 : 순덕왕후 이씨 / 배우자 : 공예왕후 임씨(恭睿王后 任氏), 선평왕후 김씨(宣平王后 金氏) / 제17대 국왕
- 승통(僧統) 각관(覺觀) / 생몰 : 1121~1174년 / 생모 : 숙비 최씨 / 배우자 : 미혼
- 주지(住持) 각예(覺倪) / 생몰 : 미상 / 생모 : 미상 / 배우자 : 미혼
[왕녀]
- 승덕공주(承德公主) / 생몰 : 미상 / 생모 : 순덕왕후 이씨 / 배우자 : 한남백 왕기(漢南伯 王杞)
- 흥경공주(興慶公主) / 생몰 : ?~1176년 / 생모 : 순덕왕후 이씨 / 배우자 : 안평공(安平公) 왕경(王璥)
- ▨▨공주(▨▨公主) / 생몰 : 미상 / 생모 : 안씨 / 배우자 : 유필(庾弼) / 모계 성씨를 사용
- ▨▨공주(▨▨公主) / 생몰 : 미상 / 생모 : 미상 / 배우자 : 이씨(李氏) / 이준창의 어머니(예종의 궁인 출신)
【출생 이후 즉위까지】
【기원후 1079년】 출생하다
- 1079년 1월 7일(음력), 숙종과 명의태후 유씨(明懿太后 柳氏)의 아들로 태어났다.
【기원후 1100년】 태자로 책봉받다
- 1월 28일(음력), 태자로 책봉받다
【기원후 1105년】 숙종이 붕어하고 왕으로 즉위하다
- 숙종이 1105년 서경에 순행하여 동명왕묘(東明王廟)에 제사하고 돌아오는 도중에 병이 들어 개경으로 돌아오다가 장평문 밖 수레 안(御輦)에서 붕어하였다. 왕으로 즉위하였다.
【즉위 이후 말년까지】
【기원후 1107년】 윤관이 여진 정벌을 단행하여 동북 9성을 설치하다
- 숙종의 여진 정벌에 대한 서소(誓疏)를 간직하고 즉위한 뒤 군법을 정비하고 신기군을 사열하는 등 여진 정벌에 힘써 1107년에 윤관(尹瓘), 오연총(吳延寵) 등으로 하여금 30만의 별무반 중 17만 7천 명을 주어 여진 정벌을 단행하여 섬멸하고 이듬해에는 동북 9성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계속적인 여진족의 침입과 9성 방비의 어려움, 윤관의 공을 시기하는 자들로 인하여 1년 만에 9성을 철폐하고 여진에게 반환하였다.
【기원후 1109년】 관학의 진흥을 꾀하다
- 1109년 국학(國學)에 학과별 전문강좌인 칠재(七齋)를 설치하여 관학(官學)의 진흥을 꾀하였다.
【기원후 1112년】 혜민국을 설치하다
- 1112년에는 혜민국(惠民局)을 설치하여 빈민들의 시약을 담당하게 하였다.
【기원후 1113년】 예의상정소를 설치하고, 한안인을 측근으로 양성하다
- 예의상정소를 설치하였다.
- 또한 이자겸 일파를 견제하기 위해 한안인(韓安仁)을 측근 세력으로 양성하였다.
【기원후 1115년】 금나라 건국과 요나라의 원병 요청 거부
- 1115년 고려의 속국이었던 동여진 완안부(完顔部)의 추장 아골타가 여진족을 통일하여 황제라 일컫고 나라 이름을 금(金)이라 칭한 후 거란(요)에 적대하자, 요(遼)에서 금나라를 정벌하기 위하여 고려에 원병을 청하였으나 거부하였다.
【기원후 1114년】 담진이 국사가 됨
- 1114년 담진이 국사가 되었다.
【기원후 1116년】 경서 토론, 대성악(아악)을 들여옴, 담진이 설법함
- 1116년, 청연각과 보문각을 짓고 학사를 두어 경서를 토론하게 하였으며 송나라에서 대성악(大晟樂)을 들여왔는데 이것이 바로 아악(雅樂)이다.
- 1116년 담진이 보제사(普濟寺)로 행차한 왕에게 설법하였다. 화엄학의 대가로서 일승법을 선양하여 국가의 이익을 도모하였다.
【기원후 1117년】 금나라의 화친에 회답하지 않음
- 《제왕운기(帝王韻紀)》에 따르면 1117년, 금나라에서 “형인 대여진금국황제가 아우인 고려국 황제에게 글을 보낸다.”는 글로써 화친하기를 청하였으나 조정의 반대로 회답하지 않았다고 한다.
- 예종 때에는 덕창(德昌)ㆍ담진(曇眞)ㆍ낙진(樂眞)ㆍ덕연(德緣) 등의 불교 고승들이 있었다. 이 중 담진은 1107년 예종의 왕사가 되었다.
【기원후 1119년】 양현고(장학재단) 설립
- 1119년 양현고(養賢庫)라는 장학재단을 국학에 설립하였다.
【기원후 1122년】 병으로 사망하다
- 종양으로 병석에 눕게 되어 한 달 만에 죽게 되었다. 능은 개성에 있는 유릉(裕陵)이며 시호는 문효(文孝)이다.
728x90
반응형
'[인물 자료실] > 인물 [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르바노 1세 [Urban I, AD. 165~230] 제17대 로마 교황(AD. 222~230) (0) | 2025.06.28 |
---|---|
안테로 [Anterus, AD. ?~236] 제19대 로마 교황(AD. 235~236) (0) | 2025.06.28 |
인종 [仁宗, 1109~1146] 고려의 제17대 국왕(1122~1146) (0) | 2025.06.28 |
의종 [毅宗, 1127~1173] 고려의 제18대 국왕(1146~1170) (0) | 2025.06.28 |
원종 [元宗, AD. 1219~1274] 고려의 제24대 국왕(재위 : 1260~1274) (1) | 2025.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