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신종 [神宗, 1144~1204] 고려의 제20대 국왕(1197~1204)
【개인 정보】
- [휘] 왕탁(王晫)
- [자] 지화(至華)
- [별호] 평량공(平凉公)
- [묘호] 신종(神宗)
- [시호] 경공정효대왕(敬恭靖孝大王)
- [능호] 양릉(陽陵)
- [출생] 1144년 7월 11일(음력)
- [사망] 1204년 1월 13일(음력)
- [재위] 1197년 9월 23일(음력) ~ 1204년 1월 5일(음력)
- [전임] 명종(明宗, 1131~1202) : 고려의 제19대 국왕(1170~1197)
- [후임] 희종(熙宗, 1181~1237) : 고려의 제21대 국왕(1204~1212)
【가족 관계】
[부모]
- 부 : 인종(仁宗) / 생몰 : 1109~1146년 / 부모 : 예종(睿宗), 문경태후 이씨(文敬太后 李氏) / 제17대 국왕
- 모 : 공에왕후 임씨(恭睿王后 任氏) 공예태후(恭睿太后) / 생몰 : 1109~1183년 / 부모 : 임원후(任元厚), 진한국대부인 이씨(辰韓國大夫人 李氏)
- 인종(仁宗)과 공예왕후(恭睿王后) 임씨(任氏)의 다섯째 아들로 의종과 명종의 동생이다.
[배우자]
- 선정왕후 김씨(宣靖王后 金氏) 선정태후(靖宣太后) / 생몰 : ?~1222년 / 부모 : 강릉공 왕온(江陵公 王溫), 김씨(金氏)
[왕자]
- 희종(熙宗) 영(韺) / 생몰 : 1181~1237년 / 생모 : 선정왕후 김씨 / 배우자 : 성평왕후 임씨(成平王后 任氏) / 제21대 국왕
- 양양공(襄陽公) 서(恕) / 생몰 : 미상 / 생모 : 선정왕후 김씨 / 배우자 : 미상
[왕녀]
- 효회공주(孝懷公主) 흥덕궁주(興德宮主) / 생몰 : 1183~1199년 / 생모 : 선정왕후 김씨 / 배우자 : 하원공 왕춘(河源公 王瑃)
- 경녕궁주(敬寧宮主) / 생몰 : 미상 / 생모 : 선정왕후 김씨 / 회안공 왕정(淮安公 王侹)
【출생 이후 즉위 이전까지】
【기원후 1144년】 출생하다
- 1144년(인종 22년) 7월 11일(음력), 인종과 공예왕후 임씨의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인종과 공예왕후에게는 아홉 번째 자녀이며 막내이기도 하다.
【기원후 1154년】 평량후로 책봉되다
- 1154년(의종 8년) 평량후(平涼侯)로 책봉되었다. 봉지인 ‘평량’(平凉)은 옛 고구려의 평원군이었으며, 신라의 북원소경이기도 했다. 평량은 지금의 강원도 원주시이다.
【기원후 1170년】 무신정변이 일어나다
- 1170년 8월 무신정변이 일어나 첫째형 의종이 폐위되었고, 셋째형 명종이 왕위에 올랐다.
【기원후 1182년】 평량공에 봉해지다
- 1182년(명종 12년) 평량공(平凉公)에 봉해졌다.
- 넷째형 충희가 사망했다. 원경국사 충희는 왕가를 떠나 승려가 됐지만, 좋지 않은 행보를 보여줬다.
【즉위 이후 사망까지】
【기원후 1197년】 최충헌이 명종을 폐하고 즉위시키다
- 1197년(명종 27년) 9월, 최충헌 형제가 명종을 폐하고 54세의 평량공을 사저에서 데려와 대관전(大觀殿)에서 즉위시켰다. 대관전(舊 천덕전)은 본궐의 제2정전인데, 형 명종이 즉위한 곳이기도 했다.
- 1197년 10월 신종은 휘를 ‘민’(旼)에서 ‘탁’(晫)으로 개명했는데, 왜 바꿨냐면 ‘민’(旼)이 금나라 태조 완안아골타의 한자식 이름이었기 때문이다. 여기서 고려의 금나라에 대한 반감을 엿볼 수 있는데 상국으로 받드는 금나라 태조의 이름을 고려 왕자의 이름으로 쓴 것으로 피휘를 안했던 것이다
【기원후 1198년】 산천비보도감을 두다. 만적의 난 등의 민란이 발생하다
- 1198년(신종 1년), 산천비보도감(山川裨補都監)을 두었고 관서(關西) 민가의 안대(安碓)를 금지하였다. 같은 해 만적의 난이 일어난 것을 비롯하여 이듬해에는 명주(강릉)와 동경(경주), 뒤이어 진주와 전주, 합주(합천) 등지에서 민란이 계속 일어났다.
【기원후 1199년】 최충헌이 모든 실권을 장악하다
- 1199년(신종 2년), 최충헌이 문무관의 인사행정을 도맡았는데 이로부터 모든 실권은 최충헌의 손아귀에 들어가게 되었으며 같은 해에 수양장도감(輸養帳都監)과 오가도감(五家都監)을 두었다.
【기원후 1200년】 ‘궁주 원비’ 책봉, 왕태자 책봉
- 1200년 왕후를 ‘궁주 원비’(宮主 元妃)로 책봉하는 한편 맏아들의 이름을 ‘왕연’(王淵)에서 ‘왕덕’(王悳)으로 바꾼 뒤 왕태자(王太子)로 봉했다.
【기원후 1202년】 탐라에서 반란이 일어나다
- 1202년(신종 5년), 탐라(제주도)에서 다시 반란이 일어나자 소부소감(少府少監)인 장윤문(張允文)과 중랑장(中郞將) 이당적(李唐積)을 안무사(安撫使)로 보내어 평정하였다.
【기원후 1204년】 태자에게 양위하다
- 1204년(신종 7년), 등창이 심하여 태자에게 양위하였다.
- 퇴위한지 8일만인 1204년 1월 13일, 향년 59세를 일기로 붕어했다. 묘호는 신종(神宗), 시호는 경공정효(敬恭靖孝)이며 능은 개풍군 청교면에 위치한 양릉(陽陵)이다.
728x90
반응형
'[인물 자료실] > 인물 [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테파노 1세 [Stephen I, AD. ?~257] 제23대 로마 교황(AD. 254~257) (1) | 2025.06.25 |
---|---|
성종 [成宗, 960~997] 고려의 제6대 국왕(재위 : 981~997) (5) | 2025.06.25 |
순종 [順宗, 1048~1083] 고려의 제12대 국왕(1083) (0) | 2025.06.25 |
선종 [宣宗, 1049~1094] 고려의 제13대 국왕(1083~1094) (3) | 2025.06.25 |
숙종 [肅宗, 1054~1105] 고려의 제15대 국왕(1095~1105) (1) | 2025.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