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물 자료실]/인물 [마]

미추이사금 [味鄒尼師今, AD. ?~284] 신라의 제13대 국왕(AD. 262~264)

by [*수호천사*] 2025. 6. 21.
728x90

미추이사금 [味鄒尼師今, AD. ?~284] 신라의 제13대 국왕(AD. 262~264)


【개인 정보】

  • 이름 : 김미추(金味鄒)
    이칭 : 미추(未鄒), 미조(未祖), 미소(味炤), 미소(未召)
  • 출생 : 미상
    사망 : 기원후 264년 10월
    재위 : 기원후 262년 ~ 기원후 264년 10월
  • 전임 : 첨해이사금(沾解泥師今)
    후임 : 유례이사금(儒禮泥師今)

【가계 정보】

  • 아버지 : 구도 갈문왕(仇道 葛文王) 김구도(金仇道)
    어머니 : 술례부인 박씨(述禮夫人 朴氏) – 이비 갈문왕(伊非葛文王)의 딸
  • 누이 : 옥모부인 김씨(玉帽夫人 金氏)
    동생 : 김대서지(金大西知), 삼국유사의 왕력편
    동생 : 김말구(金末仇)
  • 왕후 : 광명부인 석씨(光明夫人 昔氏) – 조분 이사금(助賁泥師今)의 딸.
  • 딸 : 보반부인(寶反夫人) – 내례길포라고도 한다. 내물 이사금(奈勿麻立干)의 아내.
    딸 : 아류부인 김씨(阿留夫人 金氏) – 실성 이사금(實聖麻立干)의 아내.
  • 아류부인 김씨는 일설에는 그의 딸이 아니라 내물 이사금의 딸이라는 설이 있다.

【미추이사금 연보】

 

【기원후 262년】

  • 미추이사금(味鄒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또는 미조(味照)라고도 하였다.] 성은 김씨이다. 어머니는 박씨로 갈문왕 이칠(伊柒)의 딸이다. 왕비는 석씨 광명부인(光明夫人)으로 조분왕(助賁王)의 딸이다. 그의 선조 알지(閼智)는 계림에서 태어났는데 탈해왕(脫解王)이 데려다가 궁중에서 길러 후에 대보(大輔)로 삼았다. 알지는 세한(勢漢)을 낳고 세한은 아도(阿道)를 낳았으며, 아도는 수류(首留)를 낳고 수류는 욱보(郁甫)를 낳았다. 그리고 욱보는 구도(仇道)를 낳았는데 구도가 곧 미추왕의 아버지이다. 첨해는 아들이 없었으므로 나라 사람들이 미추를 임금으로 세웠다. 이것이 김씨가 나라를 다스리는 시초가 된다.
  • 원년(기원후 262) 봄 3월, 궁궐의 동쪽 연못에 용이 나타났다.
  • 가을 7월, 금성 서문에 불이 났는데, 불길이 번져 백성들의 집 3백여 채를 태웠다.

【기원후 263년】

  • 2년(기원후 263) 봄 정월, 이찬 양부(良夫)를 서불한으로 삼고 내외의 병마에 관한 일을 겸하게 하였다.
  • 2월, 몸소 국조묘(國祖廟)에 제사 지내고 죄수들을 크게 사면하였다. 죽은 아버지 구도(仇道)를 갈문왕에 봉하였다.

【기원후 264년】

  • 3년(기원후 264) 봄 2월, 동쪽을 두루 살펴보다 바다에 망제(望祭)를 지냈다.
  • 3월, 황산(黃山)에 가서 나이 많은 사람과 가난하여 스스로의 힘으로는 살아갈 수 없는 사람을 위문하고 구제하였다.

【기원후 266년】

  • 5년(기원후 266) 가을 8월, 백제가 봉산성(烽山城)을 공격해 왔다. 성주 직선(直宣)이 장사 2백 명을 이끌고 나가 공격하니 적들이 패하여 달아났다. 임금이 그것을 듣고서 직선을 일길찬으로 삼고 장수와 병졸들에게 후하게 상을 주었다.

【기원후 268년】

  • 7년(기원후 268), 봄과 여름에 비가 내리지 않았으므로, 여러 신하들을 남당(南堂)에 불러 모아 정치와 형벌 시행의 잘잘못을 친히 물었다. 또한 사자 다섯 명을 보내어, 두루 돌며 백성의 괴로움과 걱정거리를 물어보게 하였다.

【기원후 272년】

  • 11년(기원후 272) 봄 2월, 명령을 내려 농사일에 방해되는 것들을 일절 없게 하라고 하였다.
  • 가을 7월, 서리와 우박이 내려 곡식을 해쳤다.
  • 겨울 11월, 백제가 변경을 침범하였다.

【기원후 276년】

  • 15년(기원후 276) 봄 2월, 신하들이 궁궐을 고쳐짓기를 청하였으나 임금이 백성을 수고롭게 하기를 꺼려하여 따르지 않았다.

【기원후 278년】

  • 17년(기원후 278) 여름 4월, 폭풍이 불어 나무가 뽑혔다.
  • 겨울 10월, 백제 군사가 와서 괴곡성(槐谷城)을 포위하였다. 파진찬 정원(正源)에게 명하여 병사를 거느리고 가서 막도록 하였다.

【기원후 280년】

  • 19년(기원후 280) 여름 4월, 가뭄이 들었다. 죄수의 사정을 살폈다.

【기원후 281년】

  • 20년(기원후 281) 봄 정월, 홍권(弘權)을 이찬으로 삼고 양질(良質)을 일길찬으로 삼았으며, 광겸(光謙)을 사찬으로 삼았다.
  • 2월, 조상묘에 참배하였다.
  • 가을 9월, 양산(楊山)의 서쪽에서 군대를 크게 사열하였다.

【기원후 283년】

  • 22년(기원후 283) 가을 9월, 백제가 변경을 침범하였다.
  • 겨울 10월, 괴곡성을 포위하였다. 일길찬 양질에게 명하여 병사를 거느리고 가서 막도록 하였다.

【기원후 284년】

  • 23년(기원후 284) 봄 2월, 나라 서쪽의 여러 성을 두루 돌며 위로하였다.
  • 겨울 10월, 임금이 돌아가셨다. 대릉(大陵)[또는 죽장릉(竹長陵)이라고도 한다.]에 장사 지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