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V. 계시 - 교의학의 출발점으로서
[1] 문제와 과제
1. 머리말
2. 일반적 계시와 그리스도교 계시의 일반적 의미
3. 계시의 주관화와 상대화 : 19세기 자유주의 신학
[2]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계시 : 칼 바르트
1. 칼 바르트의 ‘하나님의 말씀’의 신학 수립
2. 바르트에 있어서 ‘하나님의 말씀’의 개념
1) 문제 : ‘말씀’은 실제인가, 상징인가?
2) 희랍의 로고스와 동양의 도(道)
(1) 희랍의 로고스의 개념
(2) 동양의 도(道) 개념
3) 성서에 있어서 ‘말씀’의 개념
(1) 구약에 있어서의 말씀(dabar)
(2) 신약에 있어서의 말씀(로고스)
4) 칼 바르트에 있어서 ‘하나님의 말씀’의 개념
(1) 바르트에 있어서 ‘말씀’의 네 가지 특징
(2) 하나님의 말씀은 그 자체가 행동이다.
(3) 행동으로서의 하나님의 말씀은 지배 능력을 의미한다
(4) 행동으로서의 하나님의 말씀은 결단을 의미한다
(5) 하나님의 말씀은 하나님의 신비이다
(6) 하나님의 말씀의 세 가지 형태
(7) 하나님의 말씀이 우리에게 오는 것은 이 세 가지 형식뿐이다
(8) 맺는 말
3. 하나님의 말씀의 내용 : 삼위일체 하나님
1) 계시 가운데 계신 하나님
(1) 교의학에 있어서 삼위일체론의 위치
(2) 삼위일체론의 뿌리
2) 성서에서 계시의 뜻
(1) 하나님에 의한 하나님의 자기 계시
(2) 감추어 계신 하나님의 자기 계시
(3) 역사적 사건으로서의 계시
(4) 성서적 역사, 신화, 설화, 전설
(5) 계시의 역사성
(6) 맺는 말
3) 계시와 성서
4) 계시와 교회
4. 삼위일체 하나님의 흔적(Vestigium Trinitatis)
1) 삼위일체 하나님의 흔적에 대한 이해들
(1) 자연에서
(2) 문화에서
(3) 역사에서
(4) 종교에서
(5) 인간의 영혼에서
(6) 기타
2) Vestigium Trinitatis는 신학적 언어의 문제
3) 맺는 말
5. 결론과 평가
[3] ‘상징’으로서의 계시 : 폴 틸리히
1) 틸리히는 무엇을 하려고 했는가?
2) 상관의 원리
3) 현상학적 구조
4) 신의 상징적 이해
(1) 존재의 유비
(2) ‘신은 존재하지 않는다’
(3) ‘살아계신 하나님’이란 상징
(4) ‘인격으로서의 신’이란 상징
(5) ‘신은 영이다’라는 상징
5) 케리그마의 상징적 해석
6) 맺는 말
2. ‘상징’으로서의 계시 :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서 [정리]
머리말 : 이성론은 계시의 질문
1) 계시의 질문으로서의 이성
(1) 이성의 구조
(2) 이성의 깊이
(3) 실존적 이성
2) 계시의 의미
(1) 계시의 표식들
(2) 계시의 수단들
(3) 계시의 역학(dynamics)
(4) 계시의 지식
(5) 실제적 계시
(6) 계시의 근거 : 하나님과 계시의 신비
3) ‘상징’으로서의 말씀
(1) 머리말 : 문제점
(2) ‘상징’으로서의 말씀 : 그 개념
(3) ‘상징’으로서의 말씀 : 그 비판
(4) 결론
4) 상징적 삼위일체론
머리말 : 반삼위일체론에 대하여
(1) 삼위일체론의 역사적 형성과 그 의의
(2) 반삼위일체론의 어제와 오늘
(3) 틸리히의 상징적 삼위일체론
[4] ‘약속’으로서의 계시 : 몰트만
머리말
1. ‘현존’에서 ‘희망’으로
1) 희망의 신학
2) 문제들
3) 맺는 말
2. ‘약속’으로서의 계시 : 계시의 종말론적 이해
1) 현대 신학의 계시의 개념 비판
(1) 계시 이해의 출발점 문제
(2) 하나님의 계시의 행동(바르트)과 그 비판
(3) 참된 자아의 나타남(불트만)과 그 비판
(4) 칸트의 초월적 종말론과 그 비판
(5) 구원사의 종말론과 그 비판
2) ‘약속’으로서의 계시
(1) ‘약속’으로서의 계시
(2) 자연신학의 문제
3. 결론과 비판
[5] ‘역사’로서의 계시 : 판넨베르크
머리말
1. 역사로서의 계시 이해의 근거 : 묵시문학
2. 판넨베르크의 불트만 비판
3. 역사비판 연구의 새로운 연구
4. ‘역사’로서의 계시
1) 계시의 형식과 내용의 통일문제
2) 하나님의 계시는 직접적 계시인가, 간접적 계시인가?
5. ‘역사로서의 계시’와 그 해명
1) ‘역사로서의 계시’에 대한 7개의 명제
2) 해명
6. ‘부활의 사건’의 의미
7. 결론과 평가
[6] 현대 신학에 있어서 계시에 관한 주목할 만한 논의들
1. 칼 바르트와 에밀 부룬너 사이의 ‘자연신학 논쟁’(1934)
머리말
(1) 문제 : 접촉점의 문제
(2) 논쟁의 경위
(3) 문제의 초점
1) 부룬너의 입장
2) 바르트의 주장
(1) 하나님의 형상과 그 파괴 : 자연신학의 해석
(2) 신앙은 새로운 창조
(3) 신앙의 유비(analogia fidei)
2. ‘원계시’의 문제 : 알트하우스(P. Althaus)
3. 계시는 행동인가, 존재인가? : 본회퍼
1) 문제
2) ‘행동’으로서의 계시의 이해
(1) 계시는 우발적이다
(2) 본회퍼의 바르트의 계시 이해 비판
(3) 계시가 ‘행동’일 때 계시의 인식문제
(4) 신앙에 있어서 연속성의 문제
3) ‘존재’로서의 계시 이해
4) 행동과 존재의 통일로서의 교회
5) 맺는 말
4. 칼 바르트의 신학에 대한 ‘계시 실증주의’ 논쟁
머리말
1) 본회퍼가 바르트로부터 받은 영향
2) 바르트 신학에 대한 본회퍼의 ‘계시 실증주의’ 비판
3) 바르트 자신의 응답
4) 본회퍼의 ‘계시 실증주의’ 비판에 대한 해석들
(1) 레긴 푸렌터(Regin Prenter)
(2) 필립스(J. Philips)
(3) 갓시(J. Godsey)
5) 결론과 비판 ; 바르트와 계시 실증주의 비판의 타당성 문제
5. 계시의 상대화와 절대화의 극복의 시도 : 리차드 니버
[7] 계시와 이성
1. 중세기에 있어서 계시와 이성
머리말
1) 신앙이 이성의 우위에 오는 경우
(1) 계시와 이성의 상호 배격 : 터툴리안 계통
(2) 어거스틴의 게통
2) 이성이 우위에 오는 경우 : 아라비아 신학
3) 이성과 계시의 조화 : 토마스 아퀴나스
2. 오늘의 개신교에 있어서 계시와 이성
1) 현대 신학에 있어서 계시와 이성의 아포리아와 그 극복
2) 신앙과 이성
3) ‘신앙의 유비’와 ‘관계의 유비’
[8] 맺는 말 : 그리스도교 계시의 특이성
[9] 독서 안내
VI. 성서 - 교의학의 표준으로서
[1] 성서란 무엇인가
머리말
1. 성서는 계시의 증언
2. 카논으로서의 성서
3. 인간의 증언으로서의 성서
4.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성서
1) 성서의 이해에 있어서 피해야 할 것
2) 성서의 권위와 성서의 영감의 올바른 이해
[2] 오늘의 복음적 신학의 성서 영감론 : 칼 바르트
머리말
1. 영감론의 출발점으로서의 ‘하나님 말씀’
2. 성서 영감론의 표준
1) 바울의 영감론의 표준
2) 종교개혁자들, 루터와 칼빈의 성서 영감론의 표준
3. 교회상 나타난 역사적 영감론에 대한 바르트의 비판
1) 17세기 신교 정통주의의 축자영감론
(1) 17세기 신교 정통주의의 위치
(2) 축자영감론 : ‘성서 자체’가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객관적인 주장
(3) 출발점으로서의 ‘무오’
2) 로마 가톨릭 교회의 영감론
(1) 로마 가톨릭 교회의 입장 : 성서 해석의 무오의 원리로서의 ‘교회 교사직’
(2) ‘Magisterium의 무오’에 대한 바르트의 비판
3) 19세기 자유주의 신학 : 쉴라이에르마하의 영감론
(1) 쉴라이에르마하와 그의 영감론 : 영감론의 표준으로서의 신앙
(2) 영감의 표준으로서의 신앙에 대한 바르트의 비판
4. 바르트의 성서 영감론
1) 영감의 근거
(1) 영감의 근거 문제
(2) 영감의 주관적 근거로서의 신앙
(3) 영감의 객관적 근거로서의 성령의 증거
2) 영감의 본질
(1) 영감의 성서적 개념
(2) 영감론의 입장 : 본문 영감론(Verbal Inspiration)과 그 출발점
3) 종속적 영감 :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교회의 선교
5. 맺는 말
[3] 성서의 해석
1. 알레고리적 해석
2. 유형학적 해석
1) 유형학적 주석은 적절한 방법인가? : 아이히로트
2) 구약성서의 유형학적 해석 : 폰 라드
3. 성서의 실존론적 해석 : 불트만
머리말
1) 양식사 비판
2) 역사적 예수
3) 비신화화론
4) 성서의 실존론적 해석
(1) 해석학이란 무엇인가?
(2) 불트만의 해석학의 원리
(3) 성서의 해석 : 실존론적 해석
5) 비신화화론에 대한 비판
(1) 내용과 형식의 문제
(2) 유일한 것과 보편적인 것의 관계
(3) 실존적 동기
6) 맺는 말
7) 참고 도서
4. 신학적 주석(1) : 칼 바르트
머리말
1) 칼 바르트와 『로마서 강해』
2) 성서 해석의 원리
(1) 성서 해석학과 카논
(2) 성서 해석의 자리 : 교회의 책임성
(3) 성서 해석학과 그 전제
(4) 성서 해석의 과제
(5) 성서 해석의 근본 형태
3) 성서 해석의 방법
(1) 해명의 과제
(2) 사고의 행동
(3) 적용의 행동
4) 문제와 전망
5) 참고 도서
5. 신학적 주석(2) : 본회퍼
1) 본회퍼와 성서 해석
2) 성서 해석의 방법론 : ‘신약성서의 해석’
(1) 성서 해석의 출발점과 표준은 성서의 사실
(2) 성서 해석의 주체는 텍스트
(3) 성서 해석은 성서 자체를 그리스도 증언으로 해석하는 것
(4) 알레고리의 해석의 가능성
(5) 우리의 증언 : 해석자의 자유
(6) 성서의 비종교적 해석의 방향
3) 본회퍼의 성서 주석의 예
(1) 창조와 타락
(2) 다윗 왕
(3) 시편 속에 있는 그리스도
6. 복음의 정치적 해석 : 몰트만
머리말
1) 왜 복음의 정치적 해석을 말하게 되었는가?
(1) 오늘의 데오디시(Theodicy)의 문제는 새로운 해석학을 요구한다
(2) 실존적 해석학은 정치적 해석학을 요구한다
(3) 마르크스주의의 종교비판과 역사의 혁명적 해석은 복음의 정치적 해석을 요구한다
2) 복음의 정치적 해석
3) 맺는 말
7. 성서 해석의 안내를 위하여
[4] 맺는 말
1. 성서 해석의 표준과 과제
1) 성서 해석의 표준
2) 성서 해석의 과제
2. 신학적 주석에 있어서 해결되어야 할 두 가지 문제
[5] 독서 안내
VII. 교회 - 교의학의 주체와 장소로서
머리말 : 교회의 신학적 이해의 요청
[1] 교회란 무엇인가?
1. 신학의 출발점으로서의 교회
2. 교회의 뜻
3. 교회는 계시의 주관적 현실의 장소
4. 교회는 땅 위에 있는 그리스도의 몸
5. 듣는 교회
6. 가르치는 교회
7. 행하는 교회
8. 교회와 혁신 문제
9. 맺는 말
[2] 현대 교회의 새로운 이해
머리말
1. 교회의 제자직의 재발견 : 본회퍼
1) 배경 : 본회퍼와 나치스 공화국에 대한 항거
(1) 배경
(2) 본회퍼의 항거
2) 교회에 대한 신학적 집중
3) 제자직의 교회를 향하여
(1) 교회 혁신의 소리
(2) ‘제자직’의 교회의 요구
(3) 제자의 길 : 산상설교
(4) 제자의 길 : 바울
2. 교회의 종말론적, 메시야적 이해 : 몰트만
1) 교회의 종말론적 이해
(1) 현대 사회와 절대자의 예배
(2) 현대 사회가 교회에 요구하는 역할들
(3) 잠정적 결론 : 교회의 엑소더스의 요구
(4) 교회의 사명(Mission)
(5) 사회에 있어서 그리스도인들의 소명
2) 교회의 메시야적 이해
(1) 엑소더스의 공동체 : 예수 그리스도의 예언자적 직분의 수행
(2) 십자가 아래 있는 공동체 : 제사장 직분의 수행
(3) 해방된 자의 공동체 : 그리스도의 왕권의 수행
(4) 우정의 공동체
(5) 그리스도의 현재 속에 있는 교회의 자리
[3] 맺는 말 : 교회 혁신의 기준
[4] 독서 안내
VIII. 윤리 - 교의학의 제목으로서
[1] 그리스도교 윤리학의 방법론적 고찰
1. 교의학과 윤리학
2. 루터에 있어서 신앙의 의와 선한 생활
1) 루터에 있어서 ‘신앙의 의’와 그리스도인의 생활
3. 그리스도교 윤리의 출발점 : 말씀
4. 전개
[2] 그리스도인의 생활 - 그리스도의 모방 : 칼빈
머리말
1. 칼빈의 그리스도교 윤리의 형성
1) ‘신앙만으로의 의’와 윤리
2) 그리스도교 윤리의 형성
2. 그리스도인의 생활 표준으로서의 ‘그리스도의 모방’
3. 그리스도인의 생활 : 그리스도의 모방
1) 자기 부정
(1) 그리스도교 윤리의 성서적 교훈 : 자기 부정
(2) 십자가를 지는 것
3) 그리스도인의 생활과 장래의 희망
4) 그리스도인의 생활과 소명
4. 맺는 말
[3] 찬양의 윤리 : 칼 바르트
1. 『교회교의학』에 나타난 그리스도교 윤리와 그 방법론
2. 신학적 윤리의 원리
1) 말씀을 행하는 사람
2) 하나님의 사랑과 그 응답
(1) 하나님의 사랑
(2) 인간의 응답
3) 하나님의 찬양
(1) 이웃 사랑
(2) 하나님의 찬양 : 사마리아 사람의 이야기
4. 신학적 윤리의 특성 : 이웃 사랑의 신학적 의미
1) 이웃으로서의 교회 : 교회의 사마리아 사람의 사명
2) 이웃의 그리스도론적 이해
3) 사랑과 계명 : 네 이웃을 사랑하라
(1) 이웃은 질문
(2) 이웃과의 관계는 복음에서 출발한다
(3) 이웃 사랑은 ‘증언’이다
(4)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
(5) 신학적 윤리의 특징
5. 맺는 말
[4] 그리스도 현실의 윤리 : 본회퍼
머리말
1. 그리스도교 윤리의 형성 및 과제
1) 그리스도교 윤리의 형성
2) 그리스도교 윤리의 과제
(1) 그리스도교 윤리의 출발점 : 현실
(2) 형성으로서의 윤리
3) 그리스도교 전통의 오늘과 그 혁신
(1) 부패한 오늘의 그리스도교 전통
(2) 교회의 각성 : 죄의 고백
(3) 그 갱신, 상처의 치료
2. 그리스도 ‘현실’의 윤리의 이해를 위한 예비적 고찰 : 거룩과 세속의 그리스도론적 해명
3. 그리스도인의 삶의 의미 : 하나님의 ‘위임들’에서 사는 삶
1) ‘위임’의 개념
2) 노동의 위임
3) 결혼의 위임
4) 정부의 위임
5) 교회의 위임
4. 책임적인 삶의 구조
1) 대리적
2) 현실과 일치하는 것
3) 죄를 대신 지는 것
4) 자유
5. 책임의 장소 : 소명
1) 소명의 성서적 의미
2) 책임의 장소로서의 소명의 의미
6. ‘궁극적인 것’과 ‘궁극 이전의 것’
1) 옳다고 인정을 받는 것
2) 궁극 이전의 것
3) 길을 예비하는 것
4) 자연적인 것
[5] 맺는 말 : 그리스도교 윤리의 과제
[6] 독서 안내
부록
[1] 새로운 윤리 : 상황윤리
1. 불트만
2. 로빈슨(J.A.T. Robinson)
3. 플래처(J. Fletcher)
[2] 교의학 방법론에 관한 간략한 도서 안내
'[기타 자료실] > [도서 목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3ㆍ1 혁명과 임시정부 - 대한민국의 뿌리] - 김삼웅(두레, 2019) (0) | 2021.04.09 |
---|---|
[간도역사의 연구] - 윤병석(국학자료원, 2006) (0) | 2021.04.09 |
[교의학방법론 I] - 박봉랑(대한기독교출판사, 1986) (0) | 2021.04.09 |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1권] 한국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 - 조동걸 (0) | 2021.04.08 |
김경재, 『틸리히 신학 되새김』 (0) | 2021.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