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I. 서론
[1] 신학을 공부하려는 이들에게
1. 신학의 카리스마
2. 신학하는 태도
1) 학문적 에로드
2) 성실하게 심자
3. 근심하며 떠나가는 ‘니고데모’이야기
[2] 교의학 방법론의 의미, 내용, 재료 및 전개 방법
1. 교의학 방법론의 의미
1) ‘교의학’의 이름
2) 교의학 방법론은 교의학 ‘서론’(Prolegomena)의 이름
3) 신학의 길
2. 내용, 재료 및 전개 방법
1) 내용
2) 재료
3) 전개방법
II. 신학이란 무엇인가?
[1] 신학이란 무엇인가?
1. 그리스도교 신학의 주류 : 복음의 하나님
1) 신학은 겸허한 학문
2) 신학은 행복한 학문
2. ‘신학’이란 말의 뜻과 그 역사
3. ‘하나님의 말씀’에 관한 학문으로서의 신학
4. 교회의 기능으로서의 신학
1) ‘교회의 신앙고백’으로서의 신학
2) 학문으로서의 신학
5. 학문적 신학의 기원
6. 학문적 신학의 과제
1) 교회의 안내와 파수군의 역할
2) 말씀의 봉사
7. 학문적 신학의 본질과 특징
1) 학문(science)으로서의 신학의 문제
2) 학문으로서의 신학의 표준
3) 특수한 학문으로서의 신학
8. 신학이 자체의 학문성을 정당화하는 요소들
머리말
1) 하나님의 말씀
2) 구약과 신약의 증인들
3) 교회
4) 성령
[부록] 교회에 있어서 학문적 신학의 역할과 그 예증 : 『원리강론』에 나타난 통일교 사상에 대한 신학적 비판 머리말 1) 『원리강론』의 성격과 구조 및 해명의 방법 (1) 『원리강론』의 성격 : 『원리강론』과 성서 (2) 『원리강론』의 구조 : 『원리강론』과 『기독교의 근본원리』 (3) 해명의 방법 2) 하나님 이해 (1) 음과 양의 이원적 원리로 존재하는 하나님 (2) 『원리강론』의 삼위일체가 의미하는 것 3) 인간과 그의 타락 (1) 인간의 이원적 이해 (2) 『원리강론』의 ‘원죄’는 아담과 이브의 성적 행위 4)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속죄 (1) 예수는 하나님의 구원 역사의 성취자가 아니다 (2) 십자가의 죽음에서 일어난 속죄는 미완성이다 5) 부활과 재림 (1) 부활 (2) 재림 사상 6) 맺는 말 |
9. 독서 안내
[2] 신학과 철학
1. 머리말
2. 로마 가톨릭 교회에 있어서 ‘신학과 철학’ : 토마스 아퀴나스
3. 프로테스탄트 신학
1) 폴 틸리히에 있어서 신학과 철학의 관계
2) 칼 바르트의 신학에 있어서 철학의 사용
4. 신학과 종교철학 : 신교 신학에 있어서 종교철학의 자리
1) 조직신학과 종교철학 : 아울렌(G. Aulen)
2) 그리스도교 신학의 ‘한 장’인 종교철학 : 부룬너(E. Brunner)
5. 신학과 분석철학
머리말
1) 논리적 실증주의
2) 언어의 기능적 분석
3) 반 뷰렌의 복음적 분석철학적 이해의 시도
(1) 반 뷰렌의 프로그램 : 언어 분석을 복음 이해의 도구로
(2) 신학적 언어의 분석
(3) 복음이란 무엇인가?
(4) 언어 분석에 의한 부활의 이해
(5) 신앙을 ‘blick’로
(6) 교회의 이해
(7) 설교와 성만찬의 의미
(8) 기도와 설교
(9) 결론과 평가
4) 신학적 언어의 특성
5) 분석철학과 칼 바르트의 신학
6. 독서 안내
[3] 신학과 과학(자연과학)
1. 신학과 자연과학
1) 과학과 신학이 접촉 : 접촉과 충돌
2) 신학과 과학에 있어서 창조의 의미
(1) 신학의 경우 : 유신론적 창조관
(2) 과학의 경우 : 창조는 세계의 시작인가? 물질의 계속적 창조인가?
3) 진화론과 신학
(1) 과학과 신학의 대화
(2) 진화론의 종교적 의의
4) 새로운 과학과 교회의 도전 : 생명의 기원에 대한 최신 과학의 해석
2. 창조와 자연과학
1) 창조적 신앙과 과학적 세계관의 관계
2) 성서의 신앙과 과학의 충돌, 그 해결
3) 창조적 이야기와 과학을 조화시키려는 시도
(1) 맥크라디
(2) 비즐리
(3) 찰스 하지
3. 창조의 신앙
1) 창조론은 신앙의 항복이다.
2) 창조론의 대상은 ‘하늘과 땅’이다
3) 창조의 인식 : 그리스도론적 인식
4) 계속적 창조(creatio continuata)와 무에서의 창조(creatio ex nihilo)
4. 창조의 역사 : 창조의 기사의 해석학적 고려
머리말
1) 칼 바르트
(1) 창조의 기사는 역이나 특수한 역사, ‘비역사과학적’ 역사이다
(2) 특수한 역사(Geschichte)로서 창조의 기사는 설화(Sage)이다
(3) 특수한 역사로서의 창조의 기사와 해석학적 문제
2) 폰 라드의 해석
3) 본회퍼의 창조적 기사의 해석이 시사하는 것
5. 현대 과학의 세계와 오늘의 신학
1) 그리스도교의 진화론적 해석 : 데이야르 드 샤르댕
머리말 : 신학의 새로운 관심
(1) 샤르댕이 하려고 한 것
(2) 샤르댕의 주장
(3) 샤르댕의 의의
(4) 독서 안내
2) 생태학과 신학 : 과학에 대한 신학의 적극적 관심
(1) 에콜로지, 오늘의 신학의 새로운 관심
(2) 에콜로지의 신하적 논의와 ‘생태학적 위기’
(3) 생태학의 위기와 인간의 교만(hybris)
(4) 신학의 에콜로지
(5) 창조의 생태학을 요구한다
(6) 맺는 말 : 생태학적 윤리를 향하여
6. 현대 과학의 세계와 오늘의 신학 : 문제와 전망
1) 문제 : 신학과 현대 과학
2) 신학과 과학, 신앙과 이성의 분리의 역사
3) 신앙과 과학의 분리는 타당하지 않다
4) 신학과 과학의 대화가 의미하는 것
[4] 신학의 실존
1. 머리말
2. 신학자를 신학자로 만드는 것
1) 놀라움
2) 관심
3) 위탁
3. 신학을 위협하는 것
1) 고독
2) 회의
4. 신학을 가능하게 하는 것
1) 신앙
2) 기도
3) 연구
(1) 신학 연구의 의미
(2) 신학 연구의 ‘분야들’과 ‘훈련들’
[5] 신학과 목회
1. 머리말
2. 목회의 아포리아
3. 목회 형성과 신학
4. 목회자의 형상 : ‘신학자-목사’는 가능한가?
5. 바람직한 목회의 스타일 : 복음적 목회의 모색
1) 목회자의 마지막 말
2) 순진한 목회
3) 적응주의, 성공주의적 목회가 아니다
4) 오로지 복음에 충성하는 목회
6. 책임적인 목회와 ‘작은 목회자’인 신학생의 신학적 훈련의 자리
7. 신학적 훈련의 방향 모색
1) 신학적 훈련의 기본 방향
2) 신학의 훈련
3) 신학도의 훈련
8. 이 세대의 목회자, 신학도에게 요구되는 것은 ‘요나’의 징조뿐
[6] 신학과 인간학 : 신학적 인간론
1. 머리말 : 신학과 인간학
2. 문제와 과제 : 제4의 인간의 탄생
3. 그리스도론적 인간 이해 : 인간 이해의 방법론
1) 그리스도교와 휴머니즘
2) 그리스도론적 인간 이해
4. 피조물로서의 인간 : 인권의 그리스도론적 기초
1) 피조물 인간
2) ‘하나님의 형상’인 인간
5. 현실의 인간 : 인간 해방의 과제
1) 스스로를 자유하게 할 수 없는 인간의 현실
2) 죄의 포로 속에 있는 인간
3) 인간의 해방
6. 희망 속에 있는 인간
1) 시간의 조말과 그 미래
2) 부활 : 희망의 근거
[7] 오늘의 신학의 문제와 과제, 그 전망
1. 20세기 후반의 신학의 동향
1) 머리말
2) 본회퍼의 역할
3) 신의 죽음의 신학
4) 희망의 신학
5) 정치신학
6) 오늘의 한국 교회의 신학적 논의
2. 오늘의 신학의 문제와 과제
1) 문제 : 양극화의 현상
(1) 동일성과 관련성의 긴장
(2) 복음화와 인간화의 과제
3. 맺는 말 : 우리의 과제
III. 교의학의 과제 및 방법 - 복음적 교의학을 향하여
[1] 교의학의 과제
1. 문제
2. 복음적 교의학을 향해서
1) 상황과 케리그마, 질문과 대답의 상관의 원리 위에 있는 변증법, 종교철학적 교의학 :
옛 자유주의의 부활(폴 틸리히)
2) ‘이해의 학’으로서의 신학(불트만)
3) 해석학적 탐구로서의 교의학 : 오트
(1) 후기 하이데거 논쟁과 오트
(2) 조직신학이란 무엇인가?
(3) 조직신학적 과제와 기능
4) 복음적 교의학을 향해서
3. 교의학의 과제
1) 교의학은 신학적 훈련의 하나
2) 교의학의 표준과 출발점
3) ‘도그마’의 학으로서의 교의학(Theologia Dogmatica)
4) ‘학문’으로서의 교의학
5) 정규 교의학과 비정규 교의학의 문제
6) 신앙의 행동으로서의 교의학
(1) 신앙은 교의학적 진리의 지식의 근본 전제이다
(2) 참된 신학은 인간과 만나고 행동하시는 하나님에 의한 결단과 요구이다.
(3) 교의학의 난관
(4) 교의학의 태도로서의 기도
7) 맺는 말 : 탐구로서의 교의학
4. 독서 안내
[2] 교의학의 방법론
1. 교의학의 방법론의 필요와 간으성
1) 교의학의 방법론의 필요
2) 변증의 문제
3) 교의학의 방법론의 필요는 케리그마
4) 교의학 방법론의 가능성
2. 인간학적 방법
1) 쉴라이에르마허(F. Shleiermacher)
2) 리츨(A. Ritschl)과 트렐취(E. Troeltsch)
3) 폴 틸리히
(1) 생애
(2) 신학의 성격
(3) 사상적 노정
(4) 조직신학의 방법
(5) 결론과 평가
5. 복음적 신학의 방법
1) 칼 바르트
(1) 칼 바르트는 누구인가?
(2) 변증법적 신학의 출현
(3) 변증법적 신학의 기원
(4) 나그네의 신학(Theologia Viatorum)
(5) 방법론적인 관점
2) 칼빈의 복음적 신학의 오늘의 부활
(1) 바르트의 신학의 근본 성격
(2) 칼빈 신학의 근본 성격
(3) 칼빈의 가르침의 오늘의 부활 : 바르트의 칼빈 해석
3) 복음적 신학의 오늘의 모습
(1) 본회퍼
(2) 불트만
(가) 텍스트와 컨텍스트 : 신학의 텍스트는 성서
(나) 계시(구약과 신약)에서 출발한다
(다) 특수한 것으로부터 일반적인 것으로, 역사적인 것으로부터 종말론적인 것으로
(라) 하나님의 인식
4. 독서 안내
[3] 부록 : 진리와 도그마
1) 운명과 이념
2) 도그마의 의미
3) 진리란 무엇인가?
4) 독단주의와 회의주의
5) 진리와 도그마
[4] 맺는 말
IV. 선교(Verkundung, Proclamation) - 교의학의 재료로서
[1] 교의학의 재료로서의 선교
1. ‘선교’(케류그, Verkundung, Proclamation)는 교회의 존재 이유
2. ‘선교’란 무엇인가?
3. ‘선교’로서의 조건
4. 특별히 위탁된 교회의 ‘선교’는 설교와 성례전이다.
5. 설교를 설교되게 하는 요소들
6. ‘선교’의 권위 문제
[2] ‘선교’의 행동으로서의 교회의 신앙고백
1. 계시, 성서, 교회
2. 선교의 행동으로서의 교회의 신앙고백
[3] 역사적 신앙고백들에 대한 신학적 해설
1.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Westminster Confession, 1648)에 나타난 신학
1) 성서
2) 하나님과 그 인식
3) 예정
4) 그리스도
5) 성령
6) 계약
7) 교회
8) 국가
9) 참고 도서
2. 바르멘 선언에 대한 신학적 해설
3. 1967년 미국 연합장로교 신앙고백서 해설
머리말 : 새 신앙고백서 해설의 신학적 의의
1) 새 신앙고백서의 근본 정신
(1) 왜 역사적 신앙고백이 일어났는가?
(2) 개혁교 정신에 따른다
(3)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정신을 따라서
(4) 과거의 신앙고백들을 안내로 하여
2) 새 신앙고백서의 성격, 그 구조와 방법
(1) 성격
(2) 구조 및 방법
3) 새 신앙고백서의 내용과 비판
(1) 신앙고백의 원리와 출발점으로서의 “하나님의 화해의 사업”
(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
(나) 하나님의 사랑
(다) 성령의 교제
(2) 화해의 봉사
(가) 교회의 사명
(나) 교회의 다양성과 통일성의 문제
(다) 교회의 질서와 그 의미
(라) 교회의 선교에 따르는 문제
(마) 교회의 장비
4) 화해의 성취
4. 한국기독교장로회의 ‘새 신앙고백서’의 신학적 해설
머리말
1) 신앙고백서가 공포되기까지
2) 신앙고백서의 동기, 구조 및 성격
(1) 동기
(2) 구조
(3) 성격
3) 신앙고백서에 나타난 신학
(1) 하나님
(2) 성서
(3) 창조
(4) 인간의 본질과 죄
(5) 예수 그리스도
(6) 성령
(7) 교회
(8) 종말
[4] 맺는 말
'[기타 자료실] > [도서 목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도역사의 연구] - 윤병석(국학자료원, 2006) (0) | 2021.04.09 |
---|---|
[교의학방법론 II] - 박봉랑(대한기독교출판사, 1987) (0) | 2021.04.09 |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1권] 한국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 - 조동걸 (0) | 2021.04.08 |
김경재, 『틸리히 신학 되새김』 (0) | 2021.03.07 |
서굉일, 『일제하 북간도 기독교 민족운동사』 (0) | 2021.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