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목차 자료실]212 [유스토 곤잘레스의 간추린 교회사] 유스토 L. 곤잘레스 / 주재용 (1998, 은성) [유스토 곤잘레스의 간추린 교회사] 유스토 L. 곤잘레스 / 주재용 (1998, 은성) 서론 / 9이 책의 목적이 책의 구조참고도서 개관 / 15 제1장 : 초대교회 : 기독교의 시작에서 콘스탄틴이 박해를 끝낼 때까지(밀라노 칙령, 313년) / 35 제2장 : 기독교 제국 : 밀라노 칙령(313)에서 마지막 서로마제국 황제의 몰락(476)까지 / 51 제3장 : 중세의 초기 : 로물루스 아우구스투의 몰락(476)에서 동ㆍ서 교회의 분열(1054)까지 / 65 제4장 : 중세의 절정기 : 동방교회와 서방교회의 분열(1054)에서 교황권 몰락의 초기(1303)까지 / 81 제5장 : 중세 후기 : 교황권 몰락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한 때(1303)부터 콘스탄티노플의 함락(1453)까지 / 97 제6장 : .. 2025. 2. 27. [한국기독교회사 2] 1910-1960, 박용규 [생명의말씀사] [한국기독교회사 2] 1910-1960, 박용규 [생명의말씀사] 머리말 제1부 : 제도적인 틀을 다지는 한국교회 1장 : 틀을 다져 가는 한국교회 / 15 1. 남북감리교와 감리교 협성신학교2. 대한예수교장로회의 조직3. 동양선교회와 대한기독교의 발전 2장 : 초기 한국교회 해외선교 / 85 1. 대한예수교장로회의 제주선교2. 일본으로 확대되는 해외선교3.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토크 선교4. 만주와 중국선교 제2부 : 민족주의 발흥과 기독교 사회개혁 3장 : 일본의 신민화 작업과 민족주의 발흥 / 113 1. 한일합방과 국권의 상실2. 항일운동과 기독교 민족주의3. 일본의 한국통치에 대한 선교회의 태도4. 105인 사건과 일제의 기독교 탄압5. 3ㆍ1운동6. 관동 대지진과 한국인 학살 4장 : 변천하는 사.. 2025. 2. 25. [한국기독교회사] 민경배 (대한기독교출판사) [한국기독교회사] 민경배 (대한기독교출판사) 목차, 머리말, 서론 / 151. 기독교회사의 뜻2. 한국 교회사의 제 문제3. 교회와 나라와의 관계 [1] 근대 이전의 기독교와의 접촉 / 29 1. 당(唐)을 통하여 접촉된 경교 / 312. 몽고를 통하여 접촉된 가톨릭 교회 / 363. 일본을 통하여 접촉된 기독교 / 40 3-1. 일본 안의 기독교와 임진왜란 3-2. 일본 침략군과 함께 스쳐간 기독교 3-3. 일본 속의 조선 기독교인들 [2] 한국의 로마 가톨릭 교회 / 51 4. 선교 이전의 구도 / 53 4-1. 병자호란과 소현세자 4-2. 조선 학자들의 서학 접촉 4-3. 이승훈의 입신과 조선 천주교회의 터5. 체제와 전통에 이질로 경험된 기독교 / 66 5-1.. 2025. 2. 25. [한말ㆍ일제강점기 선교사 연구] 김승태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한말ㆍ일제강점기 선교사 연구] 김승태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간행사, 머리말, 차례간행사 / 김흥수지은이 머리말 / 김승태차례 I. 양화진 외국인 묘지 설정 과정과 선교사 / 11 1. 머리말 / 112. 개신교의 전래와 양화진 외국인 매장지 설정 과정 / 123. 외국인 묘지에 묻힌 대표적인 개신교 선교사들 / 264. 맺음말 / 38 II. 한말ㆍ일제 침략기 일제와 선교사의 관계 연구, 1894-1910 / 39 1. 머리말 / 392. 일제의 선교사 견제기(1894-1905) / 423. 일제의 선교사 회유ㆍ이용기(1906-1910)4. 맺음말 / 75 III. 한말 캐나다장로회 선교사들의 한국선교 연구, 1898-1910 / 77 1. 머리말 / 772. 캐나다장로회의 한국선교 배경 / 803.. 2025. 2. 25. [한국 초기 개신교 선교운동과 선교신학] 백종구 (한국교회사학연구원) [한국 초기 개신교 선교운동과 선교신학] 백종구 (한국교회사학연구원) 저자서문 제1장. 서론 / 1 1. 문제제기 : 기존연구의 반성 / 12. 방법론 / 73. 연구의 구조 / 8 제2장. 한국 전통사회의 변화 / 11 1. 서론 / 112. 전통사회 / 113. 전통사회의 변화 / 244. 사회개혁운동 / 375. 결론 / 60 제3장. 개신교 선교운동 / 62 1. 서론 / 622. 개신교 선교의 탄생과 성장 / 623. 개신교 선교운동과 한국 정부 / 784. 개신교 선교운동과 전통 종교, 그리고 사회개혁운동 / 905. 결론 / 115 제4장. 개신교 선교부의 신학 / 117 1. 서론 / 1172. 기독교서적의 신학적 성격 / 1173. 신의 존재와 성격 / 1224. 인간의 본성과 구원의 .. 2025. 2. 25. [하나되는 교회 그리고 세계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70년 연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70년 역사편찬위원회 (대한기독교서회) [하나되는 교회 그리고 세계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70년 연표]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70년 역사편찬위원회 (대한기독교서회) 발간사, 머리말, 차례 1. 한국교회연합운동을 위한 모색(1882-1917) / 11 2. 협력하여 열리는 한국 선교의 새로운 지평(1918-1923) / 14 3. 민족계몽과 복음의 공동증거(1924-1937) / 15 4. 8ㆍ15해방과 새 시대 건설(1945-1950) / 23 5. 전후교회와 사회의 재건을 위한 노력들(1951-1960) / 24 6. 평신도운동과 한국교회 갱신(1961-1970) / 33 7. 민주화 인권운동의 선두에서(1971-1980) / 41 8. 통일희년을 향한 믿음의 행진(1981-1990) / 55 9. 하나되는 교회, 그리고 세계(1991-) .. 2025. 2. 25. [한국 그리스도교 신학사] 주재용 (대한기독교서회) [한국 그리스도교 신학사] 주재용 (대한기독교서회) 머리말 / 8서론 - 한국 신학사의 시대 구분과 서술 방향 / 11 I. 한국의 전통 사상에서 그리스도교의 수용과 해석(1784-1900) 1. 한국의 전통 사상들과 서학 운동 / 21 1-1. 서학을 통한 초기 천주교 형성 1-2. 강학회와 천주교 신학2. 한국의 주체적 그리스도교(개신교) 수용과 개화 사상 / 27 2-1. 민족적 관심에서 그리스도교 수용 2-2. 민중의 해방 열망 속에서 그리스도교 수용 2-3. 윤치호의 “나라사랑”의 선교신학 2-4. 길선주의 말세론적 보수신학 2-5. 최병헌의 종교적 변증신학 II. 선교사 신학에 의해 지배받던 한국 신학의 바빌론 포로기(1901-1933) 1. 선교사들의 선.. 2025. 2. 25. [현대교회사] 후스토 L. 곤잘레스 / 엄성옥 (은성) [현대교회사] 후스토 L. 곤잘레스 / 엄성옥 [은성] 서문개정증보판 서문 제1부. 정통주의, 합리주의, 그리고 경건주의 제1장. 도그마와 회의의 시대 / 15 제2장. 30년 전쟁 / 19 폭풍의 예고 / 20전쟁의 진행 / 22베스트팔렌 평화조약 / 27 제3장. 광야 교회 / 31 제4장. 청교도 혁명 / 41 제임스 1세 / 41찰스 1세 / 49장기 의회 / 52내란 / 55호국경 제도 / 59왕정 복고 / 61 제5장. 가톨릭 정통주의 / 65 갈리아주의와 교황권 반대 / 66얀센주의(Jansenism) / 69정적주의(Quietism) / 74 제6장. 루터교 정통주의 / 79 필립파와 엄수 루터파 / 80정통신앙의 승리 / 83게오르그 칼릭스투스와 종교혼합주의 / 87 제7장. 개혁파 정통.. 2025. 2. 25. [구약 이스라엘사] 김희보 (총신대학교 출판부) [구약 이스라엘사]김희보 [총신대학교 출판부] 제1편 : 이스라엘 민족의 형성과 수난족장시대의 역사성에 대한 문제와 고고학 / 13 1. 앗수르바니팔의 도서관2. 마리서판3. 뉴지서판4. 타스ㆍ솨마라 서판5. 아마르나 서판6. 저주문헌 제1장 : 족장시대의 사회적 배경 1. 수메르의 도시국가 / 182. 악갓제국 / 193. 아모리 족속과 마리 왕국 / 204. 가나안의 초기 원주민들 / 22 (1) 르바 족속 / (2) 엠 족속 / (3) 호리 족속 / (4) 수스 족속 (5) 아낙 족속 / (6) 기타 족속5. 가나안의 후기 원주민들 / 27 (1) 헷 족속 / (2) 가나안 족속 / (3) 블레셋 족속 / (4) 히위 족속 / (5) 여부스 족속 / (6) 브리스 족속 / .. 2025. 2. 25. 이전 1 2 3 4 ···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