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목차 자료실]/[바]5 [바울과 로마제국 - 로마 제국주의 사회의 종교와 권력] - 리차드 홀슬리 편집 / 홍성철 (기독교문서선교회, 2007) [바울과 로마제국 - 로마 제국주의 사회의 종교와 권력] - 리차드 홀슬리 편집 / 홍성철 (기독교문서선교회, 2007) 편집자 한국어판 서문 역사 서문 전체 서론 로마 제국주의 구원의 복음 후원관계와 제사장직과 권력 바울의 반제국주의 복음 로마 제국을 반대하는 대안 사회 건설 제1부. 로마 제국주의의 구원의 복음 서론 1. 아우구스투스 황제 시대의 종교와 정치 2. 바울의 선교 사역 현장에서의 로마 제국주의 사상 [1] 로마 제국의 영광 - P. A. 브룬트 제국들에 대한 로마와 아테나 사람들의 견해들 로마 제국의 확장과 신들의 뜻 제국의 개념과 무한한 세력 확장 로마인의 관대하고 온유함 종속과 지배를 위한 정의 [2] 진정한 예언의 성취자 - 디터 게오기 [3] 종교 의식과 권력 - S. R. F. .. 2021. 6. 17. [백범일지] - 도진순 주해 (돌베개, 1997) [백범일지] - 도진순 주해 (돌베개, 1997) 교감 원칙 현대성의 원칙 순수성의 원칙 비평성의 원칙 현장성의 원칙 보완성의 원칙 일러두기 백범 출간사 - 1947.11.15 백범일지 : 상권 인ㆍ신 두 아들에게 1. 황해도 벽촌의 어린 시절 1) 조상과 가정 2) 난산의 개구쟁이 3) 궁핍한 배움길 2. 시련의 사회 진출 1) 과거 낙방 2) 동학의 세계로 3) 팔봉 접주 4) 청계동 안진사 5) 스승 고능선 3. 질풍노도의 청년기 1) 북행 견문과 청국 시찰 2) 김이언 의병 3) 인연이 없는 스승의 손자사위 4) 복수 의거, 치하포 사건 5) 첫 번째 투옥 6) 역사적인 심문 7) 사형수 옥중생활 8) 파옥 4. 방랑과 모색 1) 서울로 도피 2) 삼남견문록 3) 출세간의 길 4) 장발의 걸사승 .. 2021. 5. 6. [분단과 민족 - 민족운동사의 시각으로 본 분단사회] - 송건호(지식산업사, 1986) 머리말 1. 분단조국의 전개 한국민족통일운동사론 머리말 민족분단과 통일운동 : 1945~1969 남북대화 남북관계의 再冷却(재냉각) 남북 관계의 악화 8ㆍ15 후의 한국민족주의 해방과 민족진영 주체성 없는 정치세력의 등장 자주세력의 좌절 남북협상의 길 경제ㆍ문화적 여건 이승만체제의 기반 구축 민족주의의 부정적 발전 분단시대의 개막 8ㆍ15의 감격 8ㆍ15 직후의 정치상황 좌우익 정당의 통일노력 이승만 좌파의 통일노력 좌절 임정과 인공과의 합작운동 찬반탁과 통일운동 2. 분단상황 속의 민중 탁치안의 제의와 찬반탁 논쟁 각 정당의 반응 이승만(李承晩)의 반탁 미국의 신탁통치정책 좌파의 모스크바 3상협상 지지 합작운동의 실패 분단상황 속의 民衆像(민중상) - 작품 속에 나타난 한국인 친일파와 반공 구한말과 오.. 2021. 4. 22. [북간도 정재면의 독립운동사 - 하늘에는 총총한 별들이] - 정대위(청맥, 1993) 머리말 - 정재면ㆍ이주선 추천사 - 신용하 추천사 - 서영훈 제1장. 정재면 목사 일대기 - 서굉일 참고문헌 제2장. 아버님과 박계주(朴啓周)의 - 정대위 1. 잃어버린 원고 2. 발표 ‘시기 상조’의 의미 제3장. 별들이 긋고 지나간 자취를 에서 찾는다 1. ‘백산’(白山)이 이야기하는 북간도 독립 운동의 계보 2. 독립군의 무장을 위하여 3. 마적과 일본의 결탁, 그리고 홍범도 장군의 전투 4. 비장한 유격전 5. 무력 항쟁의 피날레 6. ‘백산’의 절규 7. 히다카 헤이지로 제4장. 어제인 듯한 70년 전 옛 기억 1. 정재면 선생과 기독교 - 고 김신문 여사 2. 만주에서의 나의 청년 시절 - 고 이환신 감독 제5장. 북간도 ‘대한국민회’의 조직 형태에 관한 연구 - 송우혜 1. 서론 2. 191.. 2021. 4. 22. [보재 이상설 평전 - 독립운동의 선구자] - 김삼웅(채륜, 2016) 여는말 - 이상설 선생, 그는 누구인가? 항일독립운동의 선구자 보재 이상설 ‘역사정의’ 짓밟힌 시대, 이상설 정신과 함께 추천하는 말 : 보재 이상설, 그분을 다시 광장에서 만납시다 - 이재정 1장. 출생과 학문 연구 시기 진산군 덕산면 선비 아들로 태어나 7세에 양부따라 상경 수재들과 신구학문, 과거급제 2장. 학문 연찬과 출사시기 독학으로 외국어 익히고 신학문연구 『비유자문답(非有子問答』에 쓴 서문 일제 황무지개척권 반대상소 의정부참찬, 을사늑약 막고자 했으나 이시영이 증언한 ‘늑약’ 저지의 역할 고종에게 ‘죽음으로 비준거부하라’ 상소 이상설이 기록한 ‘늑약의 현장’ 3장. 벼슬을 버리고 구국운동에 나서 거듭 사직소, 벼슬 던지다 을사늑약 파기운동 주도 ‘서전서숙’ 설립 민족교육 효시 사재 털어 학교.. 2021. 4. 2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