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목차 자료실]/[자]11 [중동의 눈으로 본 예수 - 고대 중동의 삶, 역사, 문화를 통해 본 복음서] - 케네스 E. 베일리(박규태 옮김) [중동의 눈으로 본 예수 - 고대 중동의 삶, 역사, 문화를 통해 본 복음서] - 케네스 E. 베일리(박규태 옮김) 서문 들어가는 글 제1부 : 예수 탄생 1장. 예수 탄생 이야기(누가복음 2:1-20) 한 기독교 소설 요약 : 예수 탄생 이야기 2장. 예수 계보와 의인 요셉(마태복음 1:1-21) [정리] 의인 요셉 요셉의 분노 요약 : 예수 계보와 의인 요셉 3장. 구원자, 현자들 그리고 이사야의 환상(마태복음 2:1-12 ; 이사야 60:1-7) [정리] 예수는 누구를 구원하러 오셨는가? 현자들은 어디서 축하하러 왔는가? 예루살렘과 이사야 60장은 성탄과 무슨 관련이 있는가? 요약 : 구원자, 현자들 그리고 이사야의 환상 4장. 헤롯의 잔학 행위, 시므온과 안나(마태복음 2:13-18 ; 누가복음 .. 2021. 8. 11. [장로교회사] - 오덕교 (합신대학원출판부, 2006) [장로교회사] - 오덕교 (합신대학원출판부, 2006) 1장. 초대교회와 장로정치 1. 교회정치의 여러 가지 형태 교황정치 감독정치 회중정치 장로정치 2. 장로정치의 성경적 배경 장로정치의 구약적 배경 구약 교회와 장로정치 장로정치의 신약적 배경 감독과 장로, 동직이명 치리장로와 강도장로 초대교회의 운영과 행정 원리 3. 초대교회의 예배와 신앙고백 사도시대의 예배 2세기 이후의 예배 초대교회의 신앙고백 4. 교부시대의 교회정치 2장. 중세시대의 장로교회 1. 감독 중심 사상의 등장 2. 교황정치의 신학적 배경 반석-베드로 논쟁 교황의 베드로의 계승 사상 3. 교회의 계급 구조화와 교황권의 절정 종교적 관용과 예배의 형식화 교회의 계급구조화 로마 교황권의 절정 스콜라 신학과 교권의 강화 4. 피터 왈도의 .. 2021. 6. 23. [장로교 정치 통전사] - 배광식 (킹덤북스, 2011) [장로교 정치 통전사] - 배광식 (킹덤북스, 2011) [01] 서론 [02] 존 칼빈과 장로교 정치 『기독교 강요』에 나타난 칼빈의 교회론과 직제론 칼빈의 교회론 : 『기독교 강요』 초판과 최종판 비교 『기독교 강요』 초판(1536년) 『기독교 강요』 최종판(1559년) 가시적 교회와 불가시적 교회 교회의 권위 교회 독자적 권위 성만찬과의 결부 마태복음 18장의 규정 훈련과 치리 칼빈의 직제론 : 초판과 최종판 비교 초판에 나타난 직제론 최종판에 나타난 직제론 장로교 치리회의 역사적 발전 과정 칼빈 이전의 제제바 상황 제네바 개혁 교회를 통한 개혁 개혁을 위한 칼빈의 투쟁 신앙 교육 제네바 권징 교회의 제삼 표지인 권징 권징의 목적(이유) 권징의 구체적 시행 정치 제도에 대한 칼빈의 견해 장로교 정치.. 2021. 6. 23. [저항인 함석헌 평전] - 김삼웅 (현암사, 2013) [저항인 함석헌 평전] - 김삼웅 (현암사, 2013) 머리말 : 20세기 한국의 대표 사상가 함석헌 프롤로그 : 독재와 싸운 저항 사상의 본질 함석헌 저항 정신의 본바탕 비폭력 저항주의의 실천 ‘상놈’으로 태어난 저항 정신 그는 본디 행동인이었다 반독재 투쟁에 앞장서다 저항으로 일관한 생애 제1부 : 씨ᄋᆞᆯ의 길, 청년 함석헌 제1장. 씨ᄋᆞᆯ의 혼, 야인의 탄생 수난의 땅 평북 용천에서 태어나다 불로 상징되는 이름 열두 살 소년이 조직한 항일결사 의사 꿈을 안고 평양고보에 진학 제2장. 민족 저항의 젊은 시절 민족 정신의 세례, 3ㆍ1운동에 앞장서다 ‘민족주의의 소굴’ 오산학교로 전학 오산에서 참스승을 만나다 일본 유학, 간토 대지진의 재앙 동경고등사범 입학, 이념적 갈등 우치무라 간조의 무교회 신.. 2021. 5. 21. [장준하 평전] - 김삼웅 (시대의창, 2009) [장준하 평전] - 김삼웅 (시대의창, 2009) 책머리에 제1장. 풀리지 않는 의문사, 반생의 위업 광복군으로 귀국 30년 뒤 의문사 외상 없는 시신 ‘실족사’로 볼 수 없는 10가지 의문점 ‘거사’ 앞두고 신변정리 ‘금지된 동작’을 맨 먼저 시작한 혁명가 장준하 장남이 털어놓은 의문점 사생결단 ‘거사’ 앞두고 모살당했을 수도 신구 합동의 명동성당 장례식 역사봉 계곡의 진혼곡 부재의 혼 제2장. 의주에서 태어나 삭주에서 자라 역사의 길, 현실의 길 정도를 택한 의인의 길 독실한 기독교 가정에서 태어나 첩첩산중의 청계동 마을로 이사 신성중학교에서 사회의식에 눈떠 평생의 도반 ‘함 도깨비 선생’ 제3장. 가정이 어려워 진학 포기하고 교직생활 신성학교 교사로 3년 재직 동맹시위 벌여 일경과 맞서 창공을 바라.. 2021. 5. 20. [장로회신학대학교 100년사] - 김인수(2002) [장로회신학대학교 100년사] - 김인수(2002) 발간사 - 고용수 축사 - 마삼락 집필자의 말 - 김인수 서론 제1부 : 어두운 땅에 비친 여명(개교 이전의 역사 : 1901년 이전) 제1장. 개신교의 한국 전래와 수용 한국에 처음 온 개신교인들 - 하멜(H. Hamel) - 맥스웰과 홀(M. Maxwell and B. Hall) 새벽을 깨운 사람들 : 한국에 처음 온 개신교 성직자들 - 칼 귀츨라프 - 토머스(Robert J. Thomas) 제2장. 나라 밖에서 입교(入敎)한 한국인들 만주에서 입교한 의주(義州) 청년들 만주에서의 한글 성경 번역 일본에서 입교한 이수정 제3장. 선교사들의 내한과 선교 사역 선교 정지작업 : 병자, 한ㆍ미 조약 체결 선교 초석을 놓은 사람들 : 감리교의 가우처와 장로.. 2021. 4. 29. [장로교 최초 목사 7인 리더십] - 김수진, 차종순, 정성한, 임희국, 탁지일 (쿰란출판사, 2010) 발간사 : 2010년 8월 20일 - 이만규 목사 1. 방기창 목사의 목회 리더십 - 탁지일 복음적 원칙주의자, 실천적 민족주의자 방기창 목사 1. 양반 방기창(1851~1883), 봉건사회의 리더 2. 동학 접주 방기창(1883~1893), 민족운동의 리더 3. 목회자 방기창(1893~1911), 한국교회의 리더 4. 방기창의 목회 리더십 2. 서경조 목사의 목회 리더십 - 차종순 서경조를 필두로 서씨와 김시 양 가문을 중심으로 소래교회 초기 출신들의 이야기 1. 초기 개종자의 전형적인 모습 2. 기독교계 지도자로서의 과정 (1) 소래교회의 지도자 : 의리 있는 목회자 (2) 목사 임직과 황해도 지역의 목회자 1) 유능한 성경교사 2) 유능한 서기 3) 감사절 제청과 제정 4) 새문안교회 목회와 경기지.. 2021. 4. 26. [잠언 미드라쉬 : 잠언에 대한 랍비들의 해석서] 조철주 역주 (성서와 함께, 2007) “초기 유대교 문헌 총서” 기획의 글 머리말 일러두기 서론 1. 미드라쉬란 무엇인가? 2. 잠언 미드라쉬 개요 잠언 미드라쉬 본문 1장. 지혜와 이해는 어디에서 찾을 수 있나? 2장. 토라를 소중히 여기고 선행을 할 수 있다면 3장. 4장. 토라의 말슴을 두려워하지 않는 길이 무엇인가? 5장. 생명의 길을 벗어나지 말라 6장. 토라는 악한 길에서 생명을 지켜준다 7장. 지혜를 찾는 가운데 분별력으로 대답을 얻는다 8장. 토라의 말씀에 열중하면 9장. 지혜를 가르치며 공덕을 쌓는다면 10장. 가르침을 지키는 자는 행복하다 11장. 토라는 심판의 날에 그를 구한다 12장. 그가 온전함으로 걸을 때 그렇다 13장. 자기 목숨을 토라의 말씀으로 채워라 14장. 자선은 위대하다 15장. 토라의 말씀을 얻기 위해 .. 2021. 4. 26. [종교개혁과 신학자들] - 카터 린드버그, 조영천 옮김 (기독교문서선교회, 2012) 추천사 감사의 글 역사 서문 기고자들에 대한 소개 약어표 서론 신학자들 종교개혁 제1부 : 인문주의 신학자들 제1장 : 자크 르페브르 테타플(c.1460-1536) 르페브르가 활동했던 네 지역 1) 파리 2) 모(Meaux) 3) 스트라스부르그 4) 네락 성경해석학 칭의, 믿음 그리고 행위 성례 서신서와 복음서의 교리 그리스도에 대한 일치 제2장 : 데시데리우스 에라스무스(1469-1536) 초창기 활동 기독교 인문주의 그리스도의 철학 에라스무스의 기독론 성례 신약성경 연구 루터와의 논쟁 에라스무스의 후기 활동 제2부 : 루터파 신학자들 제3장 : 마틴 루터(1483-1546) 신학의 정의 신학의 주제 : 죄인된 인간과 의롭다 하시는 하나님 약속 : 루터의 신학에 나타나는 종교개혁적 전환과 그 중심, 율.. 2021. 4. 1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