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서 목차 자료실]/[다]5

[돌베게 - 장준하의 항일대장정] - 장준하(돌베개, 2015) [돌베개 - 장준하의 항일대장정] - 장준하(돌베개, 2015) 『돌베개』에 부치는 말 탈출 불로하 강변의 애국가 동족상잔의 와중에서 잊히지 않는 얼굴들 광복군훈련반에서 3개월 라오허커우의 공연 파촉령 넘어 태극기 눈물의 바다 자링 청수는 양쯔 탁류로 8ㆍ15 전후 I 8ㆍ15 전후 II 임시정부의 환국 - 송진우 씨 - 여운형 씨 - 안재홍 씨 - 허헌 씨 주요 등장인물 소개 연보 2021. 5. 3.
[디트리히 본회퍼의 신학] - 존. D. 갓시 / 유석성ㆍ김성복 옮김(대한기독교서회, 2006) 한국어 독자를 위한 서문 역자 서문 서문 제1장. 신학적 토대 A. 전기(傳記) 소개(1906~1931) B. 신학적 해석 1. “성도의 교제” 2. “행위와 존재” 제2장. 신학적 적용 A. 전기 소개(1932~1939) B. 신학적 해석 1. 에큐메니컬 운동 2. 독일교회투쟁 3. 성서의 신학적 해석 a. “창조와 타락” b. “다윗 왕”(King David) c. “나를 따르라”(The Cost of Discipleship) d. “유혹”(Temptation) e. “신도의 공동생활”(Life Together) f. “성서의 기도책”(The Prayer Book of the Bible) 제3장. 신학적 단편 A. 전기 소개(1940~1945) B. 신학적 해석 1. “윤리학”(Ethics) 2. “.. 2021. 4. 22.
[독립운동의 성지 간도를 가다] - 주성화 외 (산과글, 2014) 머리말 : 2010년부터 이어진 토요답사, 용정과 명동을 거쳐 청산리까지 1장 : 용정으로 이주한 한인들의 삶 서전서숙과 이상설 선생 - 중국 한인 근대교육의 시원 용주사와 일송정, 강경애 문학비 - 해란강이 휘돌아 감도는 비암산 기슭에 서다 대포산, 용정 학생들의 소풍길 - 대포산 정상에서 해란강을 내려다보다 15만원 탈취사건과 러시아 무기 - 일제에 맞서 무장투쟁을 준비한 사람들 5ㆍ30 폭동기념비, 주덕해와 조선혁명군정학교 - 이념을 넘어선 민족의 항일투쟁사 2장 : 명동촌의 한인들 명동학교의 성쇠 - 근대 민족학교, 서전서숙의 맥을 잇다 명동촌 4대 가문, 문재린 목사 - 명동촌 지도자 문병규의 손자이자 문익환의 아버지 김약연과 정재면의 명동촌 - 간도 조선인의 자부심 명동을 일구다 명동촌과 윤동.. 2021. 4. 15.
[대한예수교장로회백년사] -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1984) 인사말 간행사 머리말(1984년 4월) 제1장 : 대한예수교장로교회의 草創(초창) 1절. 한국민족교회의 播種(파종) 가. 만주에서 씨앗을 받다 나. 성경의 간행과 賣書(매서) 다. 서상륜의 입국과 교회 설립 라. 새문안 교회의 설립 마. 한국초창기 신앙형태와 성경 바. 이수정의 일본에서의 성경번역 사. 부산에서의 성경 頒布(반포) 2절. 외국 선교사의 선교 가. 서구 선교의 여러 企圖(기도)들 ㄱ. 칼ㆍ구쯜라프 ㄴ. 로버트ㆍ토마스 ㄷ. 알렉산더ㆍ윌리암손 ㄹ. 서구교회 선교 企圖(기도)의 의의 나. 선교자유실현의 먼 과정 ㄱ. 鎖國攘夷(쇄국양이)의 來歷 ㄴ. 朝野(조야)의 척사위정 ㄷ. 선교의 외형적 윤허 과정 ㄹ. 선교윤허 실현의 원인문제 다. 외국 장로교선교사들의 교파교회 선교 ㄱ. 의료선교의 초기사 .. 2021. 4. 15.
[다시, 독립의 기억을 걷다] - 노성태(살림터, 2018) 전설로 남은 독립 영웅들 1부 연해주 답사 1장 : 항일독립운동의 성지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 1. 극동대학교 한국학 대학 내가 만난 고려인 비올레타 장도빈과 한국학 대학 2. 연해주 독립운동의 메카 신한촌 연해주에서의 독립운동 라게르산 언덕의 달동네 독립운동의 메카 신한촌 신한촌 기념탑 전설로 남은 독립 영웅들 3. 한인들의 첫 둥지 개척리 마을 개척리 마을 아르세니예프 향토 박물관 블라디보스토크 역 2장 : 이상설과 최재형의 혼이 서린 우수리스크 1. 중앙아시아 강제 이주의 출발지 라즈돌리노예 역 명령번호 1428-326 소련의 역사 왜곡 2. 국외 독립운동의 선구자 이상설 헤이그 특사로만 알려진 이상설 수이푼 강변의 이상설 유허비 자결로 저항한 이범진 스물한 살의 헤이그 특사 이위종 3. 연해주 독립.. 2021. 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