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서 목차 자료실]212

[고대 이스라엘 역사 1] 헤르베르트 돈너 / 배희숙 (한국문화사) [고대 이스라엘 역사 1]헤르베르트 돈너 / 배희숙, [한국문화사] 제3판 서문제2판 서문제1판 서문역자 서문개론적 참고문헌약어표 제1부. 전제들 / 1 제1장. 자료 / 3 1. 문서 자료 / 5    1.1. 이집트    1.2. 메소포타미아    1.3. 시리아와 팔레스티나2. 고고학 자료 / 20 제2장. 기원전 제2천년기 후반기의 고대 오리엔트 민족과 나라들 / 26 1. 필리스티아인 / 472. 아람인 / 50 제3장. 팔레스티나 땅과 주민 / 51 제4장. 민족형성과정 고찰 : 분리, 모음, 배치 / 65부록 : 히브리인 / 94 제5장. 이스라엘의 선사 시대 : 땅 정복 이전 이스라엘 / 97 1. 족장 / 992. 출애굽 / 1203. 광야에 있는 하나님의 산 / 1414. 광야 유랑 /.. 2025. 2. 25.
[고대 이스라엘 - 아브라함부터 로마인의 성전 파괴까지] 허셜 생크스 / 김유기 (한국신학연구소) [고대 이스라엘 - 아브라함부터 로마인의 성전 파괴까지]허셜 생크스 엮음, 김유기 옮김 / 한국신학연구소 사진지도와 표저자들 소개약어표개정판 서문초판 서문역자 서문 제1장. 족장 시대 : 아브라함, 이삭, 야곱 / 29- 족장들은 언제 살았는가? / 30- 족장들은 역사적인 인물이었을까, 아니면 기원 인물(eponyms)이었을까? / 34- 족장들의 사회적 배경 탐구 / 35- 학문적 실패 / 41- 전승사(history of tradition) 탐구 / 45- 또 하나의 학문적 실패 / 47- 역사의 핵 / 49- 자기 이해로서 족장 역사 / 51- 인명과 지리적인 언급이 제공하는 실마리 / 53- 족장들은 계보상의 허구인가? / 58- 아브라함 / 59- 이삭 / 61- 야곱 / 63- 요셉 / 66.. 2025. 2. 25.
[고대근동의 역사와 종교] 노세영, 박종수 (대한기독교서회) [고대근동의 역사와 종교] 노세영, 박종수 / 대한기독교서회 제1부. 고대근동의 역사 제1장 : 메소포타미아의 역사 / 박종수      1. 석기시대 / 15      2. 초기 청동기시대(3100-2100 BC) / 18      3. 중기 청동기시대(2100-1600 BC) / 21      4. 후기 청동기시대(1600-1200 BC) : 바빌론의 약탈로부터 트로이의 약탈까지 / 25      5. 철기시대 : 고대근동의 종말(1200-539 BC) / 27      6. 메소포타미아의 문화와 종교 / 29 제2장 : 이집트의 역사 / 박종수       1. 개관 / 34      2. 왕조 이전 시대(-3100 BC) / 35      3. 초기 왕조시대(3100-2686 BC) / 36     .. 2025. 2. 25.
[고대 근동의 역사] 마르크 반 드 미에룹 / 김구원 (기독교문서선교회) [고대 근동의 역사]마르크 반 드 미에룹 저 / 김구원 역 / 기독교문서선교회원제 : A History of the Ancient Near East (2004) 추천사 / 5감사의 글 / 7제2판 저자 서문 / 9제1판 저자 서문 / 10역자 서문 / 13저자 노트 / 15그림 목록 / 20표 목록 / 21지도 목록 / 21보충 목록 / 22문서 목록 / 23 제1장. 서론적 문제 / 25       1. 고대 근동이란 무엇인가? / 25      2. 자료 / 30      3. 지리 / 34      4. 선사시대의 고대 근동 / 38 제1부. 도시 국가 / 47 제2장. 기원 : 우룩 현상       1. 도시의 기원 / 51      2. 문자와 행정의 발전 / 60      3. ‘우룩의 팽창’.. 2025. 2. 25.
[기독교 교파 한눈에 보기] 전희준 (이레서원, 2020) [기독교 교파 한눈에 보기] 신학ㆍ성례ㆍ교회 정치 체제를 중심으로전희준 (이레서원, 2020) 추천사 – 김관성(행신침레교회 담임목사), 김영봉(와싱톤사귐의교회 담임목사), 송인규(한국교회탐구센터 소장, 전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안상혁(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회사 교수), 이성호(고려신학대학원 교회사 교수), 이승구(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 7저자 서문 / 10 I. 서론 / 13 1. 교파 공부의 유익 / 132. 교파와 교단 용어 정리 / 163. 내용 소개 / 17 II. 각 교파의 형성 과정 및 특징 / 19 1.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개신교 / 19    1)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개신교의 분열         동서 교회의 대분열    2) 로마 .. 2024. 10. 31.
[기독교 명저 60선] 편집부 (종로서적, 1985) [기독교 명저 60선] 편집부 책을 내면서책명 찾아보기 고백록 / 아우구스티누스 - 이종성 / 5신국론 / 아우구스티누스 - 이종성 / 12쿠르 데우스 호모 / 안셀무스 - 이종성 / 19신학 대전 / 토마스 아퀴나스 - 편집부 / 27신곡 / 단테 – 김희보 / 33그리스도를 본받아 / 아 켐피스 – 이현주 / 39그리스도인의 자유 / 루터 – 전경연 / 45기독교 강요 / 칼빈 – 이종성 / 52개혁된 목사 / 박스터 – 이기춘 / 59실낙원 / 밀턴 – 김희보 / 66팡세 / 파스칼 – 김형석 / 72천로역정 / 번연 – 박화목 / 78기독자의 완전 / 웨슬레 – 변선환 / 84기독교 신앙 / 쉴라이에르마허 – 김명혁 / 91파우스트 / 괴테 – 김희보 / 98기독교의 본질 / 포이에르 바하 – 편.. 2024. 10. 31.
[기독교 세계관과 현대사상] 제임스 사이어 / 김헌수 (IVP, 1985) [기독교 세계관과 현대사상]제임스 사이어 / 김헌수 (IVP, 1985) 추천사 / 9제4판 서문 / 11 1. 세계관의 차이 / 17세계관이란 무엇인가? / 21일곱 가지 기본 질문 / 26토론을 위한 질문 / 29 2. 하나님의 장엄으로 가득 찬 우주 : 기독교 유신론 / 31기독교 유신론의 기본 내용 / 34하나님의 장엄 / 60토론을 위한 질문 / 61 3. 시계와 같은 우주 : 이신론 / 63이신론의 기본 내용 / 67불안정한 복합체 / 77토론을 위한 질문 / 81 4. 유한한 우주의 침묵 : 자연주의 / 83자연주의의 기본 내용 / 86세속적 인문주의 / 107마르크스주의 / 108자연주의의 지속성 / 117토론을 위한 질문 / 120 5. 영점(零點) : 허무주의 / 123첫 번째 다리 :.. 2024. 10. 31.
[기독교 인물ㆍ사상 사전] 토니 레인 / 박도웅ㆍ양정호 (홍성사, 2002) [기독교 인물ㆍ사상 사전]토니 레인 / 박도웅ㆍ양정호 (홍성사, 2002) 한국의 독자들에게 / 9머리말 / 13 1부. 초대교회 시대에서 주후 500년까지 플라톤주의와 그리스 철학 / 23사도적 교부들 – 사도 시대 이후 / 26순교자 저스틴 – 신앙의 수호자 / 28이레니우스 – 이단에 맞서 / 31터툴리안 – 라틴 신학의 아버지 / 34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 – 지성적 정통주의자 / 39오리겐 – 플라톤주의의 전도자 / 42키프리안 – 순교한 감독 / 47가이사랴의 유세비우스 – 교회사의 아버지 / 52니케아 공의회(325년) / 54아타나시우스 – 그리스도의 신성(神性) / 58시리아의 에프렘 – 성령의 시인(詩人) / 63갑바도기아 교부들 – 삼위일체를 정의하다 / 64콘스탄티노플 공의회(381.. 2024. 10. 31.
[기독교 조직신학 V] 김균진(연세대학교출판부, 1999) [기독교 조직신학 V] 김균진(연세대학교출판부, 1999) XII. 종말론 1. 종말론의 개념, 신학적 위치와 기능 / 9A. 종말론의 개념 / 9B. 종말론의 신학적 기능 / 15C. 종말론의 출발점 / 19D. 종말론에 대한 오늘의 관심 / 24 2. 종말론의 성서적 배경 / 35A. 구약성서의 종말론 / 35B. 신약성서의 종말론 / 60 3. 종말론의 역사 / 87A. 초대 교회 시대의 종말론 / 87B. 중세 스콜라 신학의 종말론 / 90C. 종교개혁 신학의 종말론 / 95D. 계몽주의 시대의 종말론 / 97E. 현대신학의 종말론 / 100 4. 죽음의 문제 / 121A. 삶의 지혜의 교사로서의 죽음 / 121B. 죽음에 대한 태도 / 127C. 삶 속에서 경험되는 죽음 / 134D. 죽음이란 .. 2024. 1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