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서 목차 자료실]/[가]

[고대 이스라엘 - 아브라함부터 로마인의 성전 파괴까지] 허셜 생크스 / 김유기 (한국신학연구소)

by [수호천사] 2025. 2. 25.
728x90

[고대 이스라엘 - 아브라함부터 로마인의 성전 파괴까지]

허셜 생크스 엮음, 김유기 옮김 / 한국신학연구소

 

사진

지도와 표

저자들 소개

약어표

개정판 서문

초판 서문

역자 서문

 

제1장. 족장 시대 : 아브라함, 이삭, 야곱 / 29

- 족장들은 언제 살았는가? / 30

- 족장들은 역사적인 인물이었을까, 아니면 기원 인물(eponyms)이었을까? / 34

- 족장들의 사회적 배경 탐구 / 35

- 학문적 실패 / 41

- 전승사(history of tradition) 탐구 / 45

- 또 하나의 학문적 실패 / 47

- 역사의 핵 / 49

- 자기 이해로서 족장 역사 / 51

- 인명과 지리적인 언급이 제공하는 실마리 / 53

- 족장들은 계보상의 허구인가? / 58

- 아브라함 / 59

- 이삭 / 61

- 야곱 / 63

- 요셉 / 66

- 야곱의 다른 아들들 / 71

 

제2장. 이집트로 간 이스라엘 : 이집트 체류와 출애굽 / 73

- 역사적 맥락에서 출애굽 이야기의 위치 / 78

- 이집트 체류가 허구일 수는 없다 / 79

- 출애굽의 적절한 맥락 찾기 / 80

- 출애굽에 대한 부인 / 83

- 연대의 문제점들 / 84

- 15세기 출애굽의 문제점들 / 85

- 13세기 출애굽? / 86

- 람세스 2/ 86

- 메르넵타 기념비 / 89

- 수세기에 걸친 출애굽 / 89

- 가나안 정착 / 90

- 성서 이야기의 역사성 평가 / 91

- 출애굽 기록의 역사적 핵 캐내기 / 93

- 출애굽의 경로 / 94

- 홍해 또는 갈대 바다 / 95

- 시내산 찾기 / 97

- 가데스-바네아의 경우 / 97

- 우리가 출애굽에 관해 알 수 있는 것 / 99

- 힉소스 / 100

- 어느 창세기 전승을 만들어낸 영감 / 101

 

제3장. 가나안 정착: 사사들의 시대 / 105

- 여호수아와 사사기 / 106

- 여러 세대에 걸친 개정을 반영하는 성서의 정복 전승 / 108

- 이스라엘은 정복에 의해 땅을 차지했을까? / 111

- 가나안의 도시국가들 / 112

- 이스라엘의 군사 전략 / 115

- 지세에 대한 고려 / 117

- 여리고의 고고학자들 / 118

- 아이와 기브온의 문제 / 121

- 다른 피정복도시들 / 123

- 하솔(Hazor) / 124

- 군사적 정복이 있었을까? / 126

- 다른 관점 : 평화적 잠입 / 128

- 농부들의 반란 / 131

- 새로운 고고학적 증거 / 133

- 격변의 시대 / 135

- 메르넵타 기념비 / 136

- 이스라엘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이었을까? / 138

- 사회 조직 / 143

- 지파의 할당 영토 / 145

- 초기 이스라엘 / 147

- 사사들 - 왕정의 전주곡 / 151

 

제4장. 연합 왕정 : 사울, 다윗, 솔로몬 / 153

사울(기원전 1030?-1009년경) / 155

- 블레셋의 위협 / 155

- 사울의 선택 / 158

- 전사 사울 / 159

- 사울 통치에 대한 잠정적인 평가 / 160

다윗(기원전 1009/1001-969년경) / 164

- 모범적인 왕 / 165

- 다윗 왕 / 167

- 초기 국가의 미숙성 / 170

- 계승의 문제 / 172

- 성서에 대한 평가 / 173

솔로몬(기원전 970/969-931년경) / 176

- 솔로몬의 통치에 대한 위협 / 176

- 솔로몬 통치기의 교역과 건설 / 179

- 성서와 역사 / 182

- 이집트와의 관계 / 183

- 페니키아와의 관계 / 184

- 스바의 여왕 / 185

- 에돔-혹은 아람?-과의 관계 / 186

- 기록 / 186

- 솔로몬과 고고학 / 188

- 사회적 정치적 긴장 / 191

 

제5장. 분열 왕정 : 유다 왕국과 이스라엘 왕국 / 197

초창기 / 197

- 솔로몬 사후의 분열 / 197

- 시삭의 공격 / 200

- 여로보암의 종교 개혁 / 203

- 이스라엘의 왕들 / 206

- 초기 분열 왕정의 전쟁 / 208

오므리 왕조 / 211

- 오므리 왕과 무역 강국으로 회복된 이스라엘 / 211

- 아합의 통치 / 214

- 살만에셀 3세와 아시리아 제국의 등장 / 217

다메섹의 패권 아래 이스라엘과 유다 / 221

- 예후의 반란 / 221

- 하사엘의 등극 / 226

8세기의 번영 / 232

- 이스라엘과 유다의 재기 / 232

- 여로보암 2세와 아사랴의 통치 / 237

- 다윗 왕조 시대의 일상생활 / 243

아시리아 제국 아래의 이스라엘과 유다 / 245

- 디글랏 빌레셀 3/ 245

- 사마리아의 함락 / 253

- 산헤립의 유다 침공 / 258

- 므낫세의 통치와 아시리아의 이집트 정복 / 269

유다 왕국의 마지막 / 275

- 요시야의 통치와 아시리아 제국의 종말 / 275

- 예루살렘의 함락 / 282

맺음말 / 287

 

제6장. 바빌론 유수(幽囚)와 귀환 : 바빌론에 의한 파괴로부터 유대 국가의 재건까지

바빌로니아로 가는 포로들 / 291

- 포로들의 수 / 292

바빌론의 강가에서” : 바빌로니아의 유대인 포로들 / 296

- 바빌로니아에서의 삶 / 297

- 유배중인 지도자 여호야긴 / 300

- 바빌론의 성전 / 302

- 동화 / 305

혹자는 시님 땅에서” : 이집트의 유대인 디아스포라 / 308

- 이집트 디아스포라의 고고학적 증거 / 310

- 페르시아 시대의 귀환과 회복 / 312

- 포로들의 귀환을 허락하는 고레스 칙령 / 313

- 성전의 재건 / 314

- 사마리아 사람들 / 317

-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 318

- 고고학적 증거 / 319

- 에스라 / 321

- 느헤미야 / 323

- 페르시아 시대의 고고학적 증거 / 324

- 유다의 경계 / 325

- 페르시아 시대의 자료들 / 327

 

제7장. 헬레니즘 시대 : 알렉산더 대왕과 하스모니아 왕국의 흥망 / 331

- 유대의 핵심적 위치 / 332

- 헬레니즘에 대한 유대인들의 반응 평가 / 335

- 안티오쿠스 4세의 무거운 짐과 마카비 가문의 등장 / 340

- 유대 독립 국가 건설을 위한 투쟁 / 343

- 유대의 하스모니아 지도자들, 기원전 142-37 / 345

- 마카비의 성공에 대한 설명 / 347

- 정치 권력과 종교 권력의 결합 / 347

- 하스모니아 통치의 확장 / 348

- 하스모니아 지도자들의 종교적 이념 / 350

- 헬레니즘과 유대주의의 독특한 통합 / 352

- 하스모니아 통치하의 예루살렘, 성전, 제사장들 / 359

- 바리새파, 사두개파, 에세네파, 그 외의 분파들 / 363

- 사두개파 / 365

- 바리새파 / 367

- 에세네파 / 370

- 대중적 유대교 / 374

- 유대 주권의 종말 / 377

 

제8장. 로마의 지배 : 유대인 반란과 제2성전의 파괴 / 379

- 폼페이가 예루살렘을 정복하다 / 380

- 헤롯 왕조의 등장 / 382

- 요세푸스의 신뢰성 / 382

- 헤롯 대왕 / 385

- 헤롯의 사망에서 제1유대인 반란에 이르기까지 / 391

- 로마-유대 관계 / 392

- 알렉산드리아 폭동 / 394

- 아그립바 1/ 396

- 다채로운 유대교 / 398

- 바리새파, 사두개파, 에세네파 / 401

- 기독교인들 / 405

- 1차 유대인 반란의 추이 / 411

- 전쟁 중 휴식 기간의 낭비 / 414

- 로마의 예루살렘 포위 / 416

- 마사다 / 419

- 새로운 시작 / 422

 

미주 / 425

- 1. 족장시대 / 425

- 2. 이집트로 간 이스라엘 / 437

- 3. 가나안 정착 / 443

- 4. 연합 왕정 / 451

- 5. 분열 왕정 / 470

- 6. 바빌론 유수와 귀환 / 506

- 7. 헬레니즘 시대 / 514

- 8. 로마의 지배 / 523

 

일반 색인 / 529

현대학자 색인 / 54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