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 이스라엘사]
김희보 [총신대학교 출판부]
제1편 : 이스라엘 민족의 형성과 수난
족장시대의 역사성에 대한 문제와 고고학 / 13
1. 앗수르바니팔의 도서관
2. 마리서판
3. 뉴지서판
4. 타스ㆍ솨마라 서판
5. 아마르나 서판
6. 저주문헌
제1장 : 족장시대의 사회적 배경
1. 수메르의 도시국가 / 18
2. 악갓제국 / 19
3. 아모리 족속과 마리 왕국 / 20
4. 가나안의 초기 원주민들 / 22
(1) 르바 족속 / (2) 엠 족속 / (3) 호리 족속 / (4) 수스 족속
(5) 아낙 족속 / (6) 기타 족속
5. 가나안의 후기 원주민들 / 27
(1) 헷 족속 / (2) 가나안 족속 / (3) 블레셋 족속 / (4) 히위 족속 /
(5) 여부스 족속 / (6) 브리스 족속 / (7) 기르가스 족속
제2장 : 족장시대의 문화적 배경
1. 가나안의 종교 / 34
2. 족장시대의 이방법 / 34
3. 족장시대의 사회생활 / 58
4. 족장시대의 일상생활 / 60
5. 족장사회에 있어서의 족장들의 권한 / 64
제3장 : 아브라함과 하나님의 언약
1. 아브라함의 출생 연대 / 66
2. 아브라함과의 언약 / 67
3. 아브라함이 우거했던 지역들 / 69
(1) 우르 / (2) 하란 / (3) 세겜 / (4) 벧엘 / (5) 브엘세바 / (6) 헤브론 / (7) 남방(네게브)
제4장 : 애굽에서의 이스라엘
1. 이스라엘 거주 당시의 애굽 역사 / 75
2. 애굽의 압박 / 78
3. 모세의 탄생과 바로의 딸 / 79
4. 모세의 성장과 피란 / 82
5. 모세의 귀환 / 86
6. 바로와의 대결 / 87
7. 유월절 / 90
8. 출애굽의 노정 / 91
9. 홍해의 기적 / 93
* 애굽의 정착기간과 출애굽의 연대 / 95
- 애굽에서의 정착기간
(1) 215년간에 대한 학설 / (2) 430년간에 대한 학설
- 출애굽의 연대
제2편 : 이스라엘의 승리와 배반
제5장 : 시내산에서의 이스라엘
1. 스르 광야와 신 광야에서 / 107
2. 르비딤의 생수와 아말렉 전쟁 / 109
3. 이드로의 방문과 시내산 도착 / 110
4. 십계명과 언약서 / 111
5. 금송아지의 우상과 두 돌판 / 113
6. 모세의 법(도덕법, 시민법, 의식법) / 114
7. 종교적 제도 / 116
5대 제사 / 116
3대 절기 / 120
안식일, 안식년 및 희년 / 122
나팔절과 속죄일 124
제6장 : 광야에서의 이스라엘
1. 이스라엘의 불평과 70인 장로의 새 제도 / 126
2. 가나안 입성의 실패 / 128
3. 38년의 유리생활 / 129
4. 이스라엘의 북진과 헤스본 왕 시혼과 바산 왕 옥 정복 / 132
5. 발람과 바알브올의 사건 / 134
6. 모세의 유언적 설교와 죽음 / 137
7. 신명기와 십계명 / 139
제7장 : 가나안 정복
1. 새로운 지도자 여호수아 / 142
2. 요단의 이적과 가나안 입성 / 143
3. 중부 가나안 정복 / 146
1) 여리고 점령 / 146
2) 아이성에서의 실패와 성공 / 148
3) 벧엘의 점령 / 149
4) 에발산과 그리심산을 찾은 이스라엘 / 150
5) 기브온과의 화평 조약 / 151
6) 남북 가나안 정복 / 152
7) 토지분배 / 155
제8장 : 사사시대의 혼란과 고통
1. 사사시대의 특징 / 161
2. 사사들의 공적 / 163
(1) 옷니엘과 메소포타미아와의 전쟁 / 163
(2) 에훗과 모압 연합군 / 164
(3) 삼갈과 블레셋 / 165
(4) 드보라와 하솔왕 야빈 / 166
(5) 기드온과 미디안의 침략 / 168
(6) 아비멜렉의 반역 / 170
(7) 돌라와 야일 / 172
(8) 입다와 암몬의 침략 / 173
(9) 삼손과 블레셋의 침략 / 176
3. 사사시대의 동족상쟁 / 178
(1) 길르앗과 에브라임의 내전 / 178
(2) 베냐민 자손과의 내전 / 179
4. 단 지파의 라이스 이민 점령 / 180
제9장 : 왕국의 시작과 사울왕의 통치
1. 왕국의 시작 / 183
2. 사울왕의 통치 / 188
3. 버림받은 사울 왕 / 189
4. 미친자 된 사울 / 192
5. 다윗을 죽이려한 사울 / 192
6. 다시 블레셋으로 쫓기어가는 다윗 / 195
7. 시글락에서의 다윗 / 197
8. 사울의 타락과 최후 / 200
9. 사울의 죽음과 다윗의 슬픈 노래 / 201
(1) 아말렉 소년의 보고에 대하여 / 202
(2) 다윗의 활 노래에 대하여 / 203
제10장 : 다윗 왕의 통치
1. 다윗왕의 통치 / 204
(1) 다윗왕의 등위 / 204
(2) 새로운 수도 예루살렘 / 207
(3) 다윗과의 언약 / 210
(4) 다윗왕의 전쟁과 승리 / 211
(5) 다윗왕국의 판도와 새질서 / 216
2. 다윗왕의 선행과 악행 / 220
3. 다윗의 말년과 계속되는 반역 / 224
(1) 압살롬의 반역 / 225
(2) 세바의 반역 / 231
(3) 아도니야의 반역과 솔로몬의 즉위 / 233
제11장 : 솔로몬왕의 통치
1. 그 왕국의 번영 / 236
(1) 외교와 국방 / 238
(2) 재정과 경제 / 243
(3) 성전건축 / 248
(4) 왕궁건축 / 251
(5) 솔로몬시대의 문서 활동 / 252
2. 솔로몬의 타락과 징계 / 253
제3편 : 이스라엘의 분열과 반역 (I)
제12장 : 북이스라엘 왕국
1. 이스라엘 왕국의 창건왕, 여로보암 / 258
2. 여로보암 왕의 정책과 그 범죄상 / 260
3. 여로보암의 두 금송아지에 대하여 / 262
4. 여로보암 왕가의 징벌 / 263
5. 바아사왕과 그 왕가의 몰락 / 265
6. 오므리의 통일 / 267
제13장 : 오므리 왕가의 번영과 몰락
1. 오므리왕가 창건까지의 북방 이스라엘의 상태 / 269
2. 오므리 왕가의 번영 / 271
3. 아합 왕의 권세와 그의 전사 / 276
4. 오므리 왕가의 몰락 / 284
5. 오므리 왕가가 유다에 미친 영향 / 286
6. 엘리야와 엘리사의 활동 / 287
제14장 : 예후 왕가의 발흥과 몰락
1. 예후와 오므리 왕가의 멸망 / 292
2. 예후 왕과 다메섹(아람) 및 앗수르의 침략 / 295
3. 구원자를 만난 여호아하스 / 298
4. 국세를 회복한 요아스왕 / 299
5. 이스라엘을 부강케 한 여로보암 2세 / 300
6. 호세아와 아모스의 활동과 그 메시지 / 302
호세아 / 302
아모스 / 306
요나의 선교 / 312
7. 예후 가의 최후 왕 스가랴 / 314
제15장 : 북방 이스라엘의 쇠퇴와 멸망
1. 성공 못한 살룸왕 / 315
2. 혁명으로 죽은 므나헴 왕가의 브가히야 왕 / 318
3. 앗수르에 굴복한 베가 / 318
4. 최후의 왕 호세아 / 320
5. 앗수르와 이스라엘 / 322
앗수르의 문화 / 328
제4편 : 이스라엘의 분열과 반역 (II)
제16장 : 남북 투쟁시대의 유다왕국
1. 분열 유다의 첫왕 르호보암과 애굽의 침략 / 335
2. 여로보암을 이긴 아비야 왕 / 339
3. 개혁자 아사왕의 성공과 실수 / 340
제17장 : 남북 동맹시대의 유다왕국
1. 여호사밧의 경건과 잘못된 화해정책 / 347
2. 아달리야의 영향밑에 있던 두 왕 여호람과 아하시야 / 352
3. 아합의 딸 아달리야의 학정 / 355
제18장 : 남북 평행시대의 유다왕국
1. 제사장 여호야다의 반정과 요아스 왕 / 357
2. 아마샤 왕의 승리와 실패 / 360
3. 유다 왕국을 부강케 한 웃시야 왕 / 362
4. 앗수르의 발흥과 요담과 아하스 왕 / 364
제19장 : 유다 왕국의 단독 시대
1. 반 앗수르의 개혁왕 히스기야 / 370
2. 암흑시대의 므낫세와 아몬 왕 / 381
제20장 : 신흥 바벨론과 유다 왕국의 멸망
1. 유다 왕국 최후의 개혁왕 요시야 / 387
2. 애굽 왕에게 폐위된 여호아하스 / 392
3. 두루마리를 태운 극악한 여호야김 왕 / 393
4. 여호야긴 왕과 유다의 첫 포로 / 398
5. 시드기야 왕과 유댜 왕국의 멸망 / 399
제5편 : 이스라엘의 징계와 회복
제21장 : 포로가 된 언약의 백성들
1. 바벨론에 끌려간 유다인들 / 409
2. 유다에 남은 백성들 / 410
3. 애굽으로 간 유다인들 / 412
4. 예레미야의 최후의 예언과 그 성취 / 415
제22장 : 포로기간 중의 바벨론의 정세
1. 바벨론의 새 왕 나보니더스 / 417
2. 나보니더스와 벨사살에 대하여 / 419
3. 메데와 파사의 관계에 대하여 / 420
4. 나보니더스의 종교정책과 유다의 포로들 / 422
제23장 : 이스라엘의 해방과 귀환
1. 고레스 왕의 새로운 정치 / 424
2. 이스라엘의 귀환 / 427
3. 고레스 왕의 최후 / 429
제24장 : 예루살렘의 성전 건축
1. 성전 건축 중단 기간 중의 파사의 정치정세 / 432
2. 학개와 스가랴 선지의 활동 / 433
3. 아하수에로 왕의 사적 / 436
4. 에스라의 귀환 / 436
5. 에스라의 귀환시대에 관한 이론(異論) / 438
제25장 : 느헤미야의 귀환과 성곽 건축
1. 아닥사스다 왕의 성곽 건축 협조 / 441
2. 새로운 원수 산발랏 / 441
3. 산발랏과 도비야에 관한 고고학적 자료 / 443
4. 느헤미야 7:70의 ‘다릭’에 대한 고고학적 자료 / 444
5. 건축된 성곽문들 / 445
제26장 : 느헤미야의 총독시대와 에스라의 신앙부흥
1. 최후 선지 말라기 / 450
참고 문헌, 색인, 지도, 도표
역사서, 사전류, 지도, 고고학서 / 453
주제 및 인명 색인 / 457
성구 색인 / 463
지도
도표
'[도서 목차 자료실] > [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 이스라엘 역사 1] 헤르베르트 돈너 / 배희숙 (한국문화사) (0) | 2025.02.25 |
---|---|
[고대 이스라엘 - 아브라함부터 로마인의 성전 파괴까지] 허셜 생크스 / 김유기 (한국신학연구소) (0) | 2025.02.25 |
[고대근동의 역사와 종교] 노세영, 박종수 (대한기독교서회) (0) | 2025.02.25 |
[고대 근동의 역사] 마르크 반 드 미에룹 / 김구원 (기독교문서선교회) (0) | 2025.02.25 |
[기독교 교파 한눈에 보기] 전희준 (이레서원, 2020) (0) | 2024.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