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서 목차 자료실]/[하]

[한국 그리스도교 신학사] 주재용 (대한기독교서회)

by [수호천사] 2025. 2. 25.
728x90

[한국 그리스도교 신학사] 주재용 (대한기독교서회)

 

머리말 / 8

서론 - 한국 신학사의 시대 구분과 서술 방향 / 11

 

I. 한국의 전통 사상에서 그리스도교의 수용과 해석(1784-1900)

 

1. 한국의 전통 사상들과 서학 운동 / 21

    1-1. 서학을 통한 초기 천주교 형성

    1-2. 강학회와 천주교 신학

2. 한국의 주체적 그리스도교(개신교) 수용과 개화 사상 / 27

    2-1. 민족적 관심에서 그리스도교 수용

    2-2. 민중의 해방 열망 속에서 그리스도교 수용

    2-3. 윤치호의 나라사랑의 선교신학

    2-4. 길선주의 말세론적 보수신학

    2-5. 최병헌의 종교적 변증신학

 

II. 선교사 신학에 의해 지배받던 한국 신학의 바빌론 포로기(1901-1933)

 

1. 선교사들의 선교 정책과 신학 교육 / 51

2. 식민신학의 유형과 그 특성 / 56

    2-1. 언더우드의 선교신학

    2-2. 아펜젤러의 교육신학

    2-3. 헐버트의 정치신학

    2-4. 모페트의 보수주의 신학

    2-5. 레이놀즈의 변증신학

    2-6. 클라크의 목회신학

    2-7. 스코트의 진보주의 신학

    2-8. 하디의 성령부흥주의 신학

3. 선교사 신학의 한계와 문제점 / 96

4. 한국 신학의 선구자들 / 101

    4-1. 양주삼의 성서비평신학

    4-2. 남궁 혁의 신약주석신학

    4-3. 변홍규의 구약주석신학

    4-4. 송창근의 윤리신학

    4-5. 백낙준의 역사신학

 

III. 보수와 진보주의 신학의 갈등과 투쟁기(1934-1959)

 

1. 보수주의적인 교권 구조와 신학 노선의 갈등 / 131

    1-1. 이용도의 신비주의 운동과 신학

    1-2. 김교신의 무교회주의 운동과 신학

    1-3. 최태용의 복음교회 운동과 신학

2. 보수-진보주의 신학 논쟁과 교파 분열 / 152

    2-1. 모세저작설, 여권 해석 논쟁

    2-2. 아빙돈 단권 성서 주석 사건

    2-3. 성서영감론 논쟁과 교파 분열

3. 한국 신학의 세 가지 원형 / 174

    3-1. 한국 신학 이해의 전제

    3-2. 김재준의 신학과 그 위치

    3-3. 박형룡의 신학과 그 위치

    3-4. 정경옥의 신학과 그 방법

 

IV. 한국 토양에서 주체적인 한국 신학을 형성하려는 해산의 고통(1960-1972)

 

1. “한국적인 것”의 추구와 토착화신학 논쟁 / 223

    1-1. 교회의 선교와 토착화

    1-2. 복음의 한국적 이해

    1-3. 한국적 신학 형성의 시론

    1-4. 60년대 토착화 논쟁의 배경

    1-5. 60년대 토착화 논쟁의 경과

    1-6. 신학에 대한 논쟁

2. 에큐메니칼 운동과 교류하며 신학 지평 확대 / 259

    2-1. 세속화 시대의 하나님 이해

    2-2. 복음 전달과 세속화 논쟁

    2-3. 1967년 신앙고백 논쟁

 

V. 한국의 문화ㆍ역사 현실에서 한국 신학의 전개(1973-)

 

1. 한국 교회 성장과 하나님의 선교신학 / 281

    1-1. 초기 한국 교회의 선교신학(1895-1910)

    1-2. 70년대 교회성장의 신학

    1-3. 70년대 하나님의 선교 신학

    1-4. 개인 구원과 사회 구원 논쟁

2. 민중 현실의 발견과 신학적 모형(Paradigm)의 변화 / 309

    2-1. 민중의 개념과 성서 해석

    2-2. 신학의 주제와 한국 민족주의

    2-3. 민족의 시각에서 바라본 한국 그리스도교사

    2-4. 한국 신학의 민족 문제 인식

    2-5. 오늘날 한국 신학에서 민족 문제에 대한 인식

3. 종교 다원적 문화 상황 속에서 신학의 대화 / 357

    3-1. 변선환과 박아론의 논쟁 - 구원의 영역과 선교

    3-2. 구원의 개방성과 계시의 연속성

    3-3. 포스트모던 신학과 부활 신앙

    3-4. 종교다원주의와 한국 신학 형성

 

VI. 종합적 결론 : 한국 신학 형성의 과제

 

한국 신학 형성의 과제 / 413

 

찾아보기 / 4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