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독교회사] 민경배 (대한기독교출판사)

목차, 머리말, 서론 / 15
1. 기독교회사의 뜻
2. 한국 교회사의 제 문제
3. 교회와 나라와의 관계
[1] 근대 이전의 기독교와의 접촉 / 29
1. 당(唐)을 통하여 접촉된 경교 / 31
2. 몽고를 통하여 접촉된 가톨릭 교회 / 36
3. 일본을 통하여 접촉된 기독교 / 40
3-1. 일본 안의 기독교와 임진왜란
3-2. 일본 침략군과 함께 스쳐간 기독교
3-3. 일본 속의 조선 기독교인들
[2] 한국의 로마 가톨릭 교회 / 51
4. 선교 이전의 구도 / 53
4-1. 병자호란과 소현세자
4-2. 조선 학자들의 서학 접촉
4-3. 이승훈의 입신과 조선 천주교회의 터
5. 체제와 전통에 이질로 경험된 기독교 / 66
5-1. 신해교난(1791)
5-2. 신유교난(1801)
6. 황사영 백서 사건 - 힘의 신앙 / 72
6-1. 힘의 신앙의 생태
6-2. 황사영의 백서
6-3. 토사교문의 핵심
7. 정하상의 『상재상서』 - 조선인의 신앙 / 78
7-1. 조선 교구의 설립
7-2. 《상재상서》 저작의 동기 ; 기해대교난
7-3. 정하상과 《상재상서》
7-4. 서교와 조선 서민문학
8. 근대조선의 대외 접촉과 제교난 / 93
8-1. 김대건의 순교
8-2. 병인교난
8-3. 신미교난과 미국
8-4. 조선 천주교회의 신앙 형태
[3] 한국의 프로테스탄트교회 / 117
9. 그 배경의 일반적 서술 / 119
9-1. 선교지로서의 한국
9-2. 선교의 실현 과정
10. 한국에 들어온 프로테스탄트의 유형 / 134
10-1. 이루지 못한 서구 교회의 선교
10-2. 경건주의 및 복음주의와 근대 선교
10-3. 미국적 교파 교회의 선교
10-4. 그 외 교파형 교회의 선교
11. 한국교회 초창기와 그 신앙 형태 / 164
11-1. 중국에서 입교한 “이름 없는 사람들”
11-2. 이수정의 일본에서의 입교
11-3. 서상륜의 권서행로
11-4. 성서와 성례
11-5. 한국 초대교회의 수난
11-6. 초기 교회의 신앙 형태
12. 외국 선교사의 선교 정책 / 191
12-1. 네비우스 방법의 설정과 지역 분할
12-2. 감리교의 선교 정책
12-3. 한국 교회 비정치화 문제의 시작
13. 틀을 잡아간 한국교회 / 204
13-1. 한말의 비운과 기독교회
13-2. 애국과 반일의 민족 교회
13-3. 교회와 개화
14. 신앙생활의 형태 구형 / 249
14-1. 1907년의 대부흥
14-2. 교회의 조직과 연합과 선교
14-3. 한국 민족 교회 형성의 좌절
15. 십자가를 걸머지는 한국교회 / 278
15-1. 십자가가 메워지던 날
15-2. 한국 장로교 총회의 조직과 한국 여러 교회의 해외 선교
15-3. 감리교의 신앙과 교회의 구형(構形)
15-4. 개정 사립학교 규칙과 기독교 교육의 위기
16. 한국교회와 3ㆍ1운동 / 304
16-1. 한국 교회 참여의 경로와 경과
16-2. 교회의 피해 : 그 안과 밖
16-3. 선교사의 관여도
16-4. 한국 교회 3ㆍ1운동 참여의 의의 문제
16-5. 일본 기독교의 반응 - 민족 교회의 성격 문제
17. 사회변화에 직면한 교회와 그 반응 / 326
17-1. 이광수의 교회 비판
17-2. 한국 교회의 사회의식과 그 운동
17-3. 연합공의회의 사회신조
17-4. 선교사에 대한 한국 교회의 반발
17-5. 경제적 시련 속의 교회
17-6. 부흥회 : 그 신앙과 사회개혁적 요소
18. 한국 교회 종파 운동의 시작과 연합운동 / 357
18-1. 자유교의 산발적 조직
18-2. 김교신과 《성서조선》
18-3. 최태용의 복음교회
18-4. 변성옥 일파의 조선 기독교회
18-5. 적극신앙단
18-6. “하나님의 교회”의 문제
18-7. 연합운동의 정신과 그 발전
19. 이용도의 신비주의 - 내면화의 신앙과 그 여운 / 386
19-1. 이용도의 “고난받으시는 그리스도” 신비주의
19-2. 이용도와 “예수교회”와 원산의 입류접신 신비주의자들
19-3. 황국주의 일원적 열광신비주의
20. 위기 속에서 설 땅을 찾는 교회의 모습 / 402
20-1. 사회적 위기의 현상
20-2. 공산주의의 도전 앞에 선 교회
20-3. 국학 연구와 기독교
20-4. 장로교 분열의 징조들
20-5. 조선 감리교회의 형성 - 남북 감리교의 합동
21. 타도 타버리지 않는 숲 / 424
21-1. 신사참배 - 형극의 길
21-2. 무너진 일각에 선 교회의 모습
22. 저녁이 되며 아침이 되니 - 해방된 교회 / 452
22-1. 해방된 교회의 재건
22-2. 6ㆍ25 : 민족의 분열, 교회의 분열
23. 한국 교회의 새 기상도 / 476
23-1.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의 형체화
23-2. 북한 교회의 생존 문제
23-3. 한국적 신학 형성의 모색
맺는말 / 497
한국기독교회사 연대표 / 502
참고문헌, 찾아보기 / 521
'[도서 목차 자료실] > [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기독교회사 2] 1910-1960, 박용규 [생명의말씀사] (0) | 2025.02.25 |
---|---|
[한말ㆍ일제강점기 선교사 연구] 김승태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0) | 2025.02.25 |
[한국 초기 개신교 선교운동과 선교신학] 백종구 (한국교회사학연구원) (1) | 2025.02.25 |
[하나되는 교회 그리고 세계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70년 연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70년 역사편찬위원회 (대한기독교서회) (0) | 2025.02.25 |
[한국 그리스도교 신학사] 주재용 (대한기독교서회) (0) | 2025.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