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로로그
Section 1 : 그리스도인은 누구일까
네로는 정말 노래를 불렀을까 / 18
- 기름창고의 화재
- 박해, 그리고 순교
기독교가 박해를 받은 까닭 / 26
- 신을 안 믿는 기독교
- 낯선 기독교
- 부도덕한 기독교
- 가치관이 다른 기독교
예루살렘의 몰락 / 34
- 욕심이 초래한 비극
- 반란의 진압
박해를 감내하는 그리스도인 / 48
- 로마의 박해
- 순교의 시대
신앙의 옹호자들 / 55
- 순교자 유스티누스
- 사도적 증인 이레나에우스
순교자의 피는 교회의 씨앗이다 / 59
- 성장의 동력들
- 블란디나와 페루페투아
Section 2. 변화하는 기독교, 그리고 전통
변화하는 기독교 / 71
- 내부의 위협, 영지주의
- 마르키온, 영지주의의 사도
- 오리게네스, 영지주의의 흔적
새로운 전통의 수립 / 82
- 신앙의 내용, 정경
- 신앙의 규범, 고백
- 신앙의 수호자, 주교들
하나님의 새로운 음성 / 91
- 전통인가 성령인가
신앙을 보존하려는 노력들 / 95
Section 3. 기독교 승리와 실패
몰락하는 로마제국과 기독교 / 103
- 파티가 부른 비극
- 사과는 어느 선에서
- 마지막으로 찾아온 박해
밀비아누스 다리의 전투 / 113
- 콘스탄티누스의 꿈
- 기독교의 새로운 협력자
행복한 황제의 죽음과 교리 논쟁 / 123
- 배반자 율리아누스와 아타나시우스
- 위대한 카파도키아인들
사막의 은둔자들 / 129
- 히에로니무스와 여성 금욕자들
Section 4. 국가 종교 기독교와 제국의 멸망
야만인들의 대공세 / 138
- “남쪽으로 내려가자!”
- 재앙의 원인은
북아프리카의 교부 / 146
- 방탕한 아프리카 청년
- 히포에서의 헤프닝
- 하나님의 도시, 인간의 도시
황제와 교회의 갈등 / 159
- 암브로시우스와 테오도시우스
- 올림피아스와 테오도시우스
동방교회의 분열과 서방제국의 종언 / 166
- 영원한 맞수, 네스토리우스와 키릴로스
- 어정쩡한 화해의 부산물
- 마침내 찾아온 제국의 종말
Section 5. 기독교 세계의 분열과 이민족의 개종
최초의 사제, 교황 / 181
- 시인(詩人) 주교 다마수스
- 베드로의 대리자 레오
- 하나님의 명사 그레고리우스
야만인과 수도사 / 188
- 베니덱투스의 『규칙』
- 부활절 스캔들
남쪽에서 불어온 폭풍 / 194
- 유목민들의 정복전쟁
- 동방과 서방교회의 격리
그림이 빚은 갈등 / 202
- 성상 파괴자들
- 성상 지지자들
프랑크족이 우두머리가 되다 / 207
- 잔인한 전도자 샤를르
- 상처 입은 교황
- 멜기세덱 같은 황제
반목하는 동서교회 / 216
- “그리고 아들로부터”라고?
- 두 명의 총대주교
- 돌아올 수 없는 다리를 건너다
Section 6. 지상에 있는 하나님의 도시
십자군 원정대 / 229
- 원정대의 결성
- 제4차 십자군과 ‘쩐’의 전쟁
거룩한 삶에서 접하는 하나님의 도시 / 241
- 사냥터를 포기한 공작
- 성공을 부른 모라비아에서의 실패
신비주의자와 하나님의 도시 / 249
- 교황보다 높은 수도사 베르나르
- 중세의 푸른 보석 힐데가르트
탁발수도사와 하나님의 도시 / 257
- 리옹의 가난한 사람 왈도
- 하나님의 광대 프란체스코
스콜라철학자와 하나님의 도시 / 266
- 스콜라철학의 조상들
- 벙어리 황소의 울음소리
Section 7. 기독교의 분열과 경건의 열망
분열하는 교회 / 285
- 아비뇽의 유배
- 하나님의 심판, 페스트
- 카타리나와 서방의 대분열
진정한 교회는 어디에 있을까 / 299
- 성서에 근거한 교회
- 경건한 삶에 근거한 교회
동방제국의 멸망, 그리고 르네상스 / 311
- 콘스탄티노플의 함락
- 르네상스의 탄생
- 교황과 예술가들
- 인문주의자 에라스무스
Section 8. 새 하늘, 그리고 새 땅
루터의 종교개혁 / 335
- 소심한 수도사 루터
- 술 취한 야생 멧돼지
- 농민들이 비극과 신부의 결혼
- 루터와 쯔빙글리
칼뱅의 종교개혁 / 355
- 파렐과의 만남
- 그리스도의 학교, 제네바
급진적 종교개혁 / 362
- 세례가 부른 박해
- 뮌스터의 학살
- 마침내 찾아온 평안
잉글랜드의 종교개혁 / 369
- 헨리 8세의 스캔들
- 틴들의 성서 번역
- 블러디 메리
반종교개혁 / 382
- 로욜라의 예수회
- 종교개혁의 영향과 로마교회
Section 9. 유럽의 확장과 변화하는 세계
정치의 변화 / 395
- 위그노의 참극
- 프라하의 투척사건
- 청교도들은 고루하다?
- 땜장이 설교자, 번연
세계관의 변화 / 412
- 그리스도는 모두를 위해 죽었다
- “그래도 지구는 돌고 있다”
변화하는 세계 지형 / 421
- 예수냐 죽음이냐
- 또 다른 유럽의 저주, 전염병
- 선교방식을 둘러싼 논쟁
Section 10. 선교와 혁명의 시대
과학과 철학의 혁명 / 436
- 거인들의 어깨에서
- 차가운 신론, 이신론
새로운 질서를 위한 혁명 / 443
- 신대륙에서의 실험
- 식민지의 마녀사냥
경건주의자들의 혁명 / 452
- 친첸돌프와 헤른후트
- 불타다 남은 나무토막
- 제1차 대각성운동과 에드워즈
두 대륙의 정치혁명 / 466
- 자유로운 신세계
- 혁명의 열기 속으로
Section 11. 낙관과 의심의 시대
근대 신학의 발생 / 479
- 칸트와 이성 비판
- 근대 신학의 아버지, 슐라이어마허
- 역사적 예수와 신앙의 그리스도
기독교와 사회 변혁 / 492
- 빨강 자선냄비와 부스
- 설교의 왕 스펄전
낙관주의와 신앙운동 / 501
- 구두수선공 선교사
- 개신교의 선교사들
- 대각성운동과 찰스 피니
낙관주의의 붕괴 / 515
- 대각성운동과 미국의 내전
- 근대의 거부자, 무디
- 피우스 9세와 제1차 바티칸공회
Section 12. 근대를 지나 다시 새로운 천 년으로
신학자들의 놀이터에 날아든 폭탄 / 529
- 자펜빌의 종교사회주의자
- 자유주의신학과의 결별
악과 맞서는 싸움 / 536
- 제자가 되기 위한 대가
- 유대인과 함께 부르는 노래
- 전후의 에큐메니칼운동
근본주의의 등장 / 548
- 버틀러 법과 원숭이 재판
- 근본주의 진영의 분열
- 신복음주의의 성장
변화하는 로마 가톨릭 / 562
- 요한 23세와 제2차 바티칸공회
- 동방과 서방, 구교와 신교의 화해
동방정교회의 수난과 발전 / 570
- 공산당과 러시아정교회
-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상황
에필로그 : 옛것에서 새것으로, 다시 새것에서 옛것으로 / 577
찾아보기 / 582
'[도서 목차 자료실] > [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인, 옥한흠 - 나는 죽고 교회는 살아야 한다] - 김대조 (두란노, 2010) (0) | 2021.05.03 |
---|---|
[기독교 교리사] - J.L. 니브 / O.W. 헤이크 / 서남동 (대한기독교서회, 1992) (0) | 2021.04.09 |
[개신교 신학 사상사] - 윌리엄 A. 스코트 / 김쾌상(대한기독교출판사, 1987) (0) | 2021.04.09 |
[간도역사의 연구] - 윤병석(국학자료원, 2006) (0) | 2021.04.09 |
[교의학방법론 II] - 박봉랑(대한기독교출판사, 1987) (0) | 2021.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