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관련]/[한국사]66

【단기고사(檀奇古史)】에 등장하는 고조선 역대 군주 목록 【단기고사(檀奇古史)】에 등장하는 고조선 역대 군주 목록 아래의 자료는 【단기고사(檀奇古史)】에 등장하는 군주 목록을 정리한 것이다.  【단기고사(檀奇古史)】는 발해의 시조 대조영의 아우 대야발이 기록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보다 후대에 쓰여진 위서라는 주장도 있다.  전단군조선과 후단군조선의 군주 목록은 【환단고기】와 비교하여 약간의 오차가 있지만 대체로 일치하며, 【규원사화】의 기록과는 재위기간이 다르지만 목록의 순서에는 거의 차이가 없다. 각 군주의 이름을 클릭하면 자세한 설명을 볼 수 있다. 【제1편 전단군조선】  이름단기고사 재위기간규원사화 재위기간 (즉위년도)제1세단군왕검(檀君王儉)93년93년 (기원전 2333년 즉위)제2세부루(扶婁)58년34년 (기원전 2240년 즉위)제3세가륵(嘉勒)45년.. 2024. 7. 25.
[신라 3대 국왕] 유리이사금(儒理尼師今, 24~57) [신라 3대 국왕] 유리이사금(儒理尼師今, 24~57) 재위 : 기원후 24년 ~ 57년 출생 : 기원후 ?년 사망 : 기원후 57년 유리이사금(儒理尼師今) 또는 노례이사금(弩禮尼師今)은 신라의 제3대 국왕으로 남해차차웅의 태자이며 어머니는 운제부인(雲帝夫人)이고, 박혁거세의 손자이다. 왕후는 일지(日知) 갈문왕(葛文王)의 딸, 혹은 허루왕(許婁王)의 딸 박씨라는 설이 있지만, 삼국유사에 나오는 사요 갈문왕의 딸일 가능성이 높다. 아들 둘을 두었다. 다른 이름으로는 노례(弩禮), 치리(治理), 치리(齒理), 치리적(治理赤) 등이 있다. 삼국유사에서는 노례이다. 24년부터 57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24년부터 43년까지 친정하였고 43년부터 57년 붕어할 때까지 매제 석탈해(훗날 탈해이사금)가 대보의 신분으.. 2022. 4. 9.
[신라 2대 국왕] 남해차차웅(南解次次雄, 4~24) [신라 2대 국왕] 남해차차웅(南解次次雄, 4~24) 재위 : 기원후 4년 ~ 기원후 24년 출생 : 기원후 50년 사망 : 기원후 24년 남해차차웅(南解次次雄)은 신라의 2대 국왕으로, 혁거세왕과 알영부인의 적자이다. 이름은 남해(南解), 다른 이름은 민해(愍海)이다. 그의 칭호에 대하여는 국왕이면서 동시에 제사장 역할을 했다는 설이 있다. [차차웅] “차차웅”이라는 왕호에 대해서 《삼국사기》는 김대문을 인용하여, “차차웅 혹은 자충(慈充)은 무당을 이른다. 세상 사람들이 무당이 귀신을 섬기고 제사를 받들기에, 그를 외경해 마침내 존귀한 어른을 일컬어 자충이라고 하게 되었다.”고 전하며, 이는 신라가 초기에는 샤머니즘의 사회였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이태진 교수는 “차차웅”은 가가웅으로도 읽을 수 있으며.. 2022. 4. 9.
[신라 1대 국왕] 혁거게 거서간(赫居世 居西干, BC 57 ~ AD 4) [신라 1대 국왕] 혁거게 거서간(赫居世 居西干, BC 57 ~ AD 4) 재위 : 기원전 57년 4월 28일 ~ 기원후 4년 3월 출생 : 기원전 69년 3월 1일 사망 : 기원후 4년 3월 신라의 초대 국왕. 삼국유사에는 불구내(弗矩內)라고도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삼국사기》에서는 혁거세 거서간 전용으로 쓰이며, 《삼국유사》에서는 박혁거세뿐만 아니라 2대 남해 차차웅도 남해 거서간이라고 했다. 초기에 잠깐 쓰였고 이후 중국의 영향을 받아 왕(王) 칭호를 쓰기 전까지 이사금, 마립간이라는 새로운 왕호를 사용하게 된다. 의미는 진한 말로 임금, 혹은 존귀한 사람을 칭하는 말이라고 한다. '간(干)' 자는 우두머리를 뜻하는 중앙아시아 유목민족의 호칭 가한과 관련이 있다고 보기도 한다. [기원전 69년] .. 2022. 4. 9.
백제 역대왕 계보 정리 [이미지] 백제 역대왕 계보 정리 [위키피디아를 참조하여 만들었습니다] 2022. 4. 8.
백제 역대왕 가계도 백제 역대왕 가계도 [각각의 국왕의 이름을 클릭하면 세부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1] 온조왕 BC18~AD28 [2] 다루왕 28~77 [3] 기루왕 77~128 [4] 개루왕 128~166 [5] 초고왕 166~214 [8] 고이왕 234~286 [6] 구수왕 214~234 [9] 책계왕 286~298 [7] 사반왕 234 [11] 비류왕 304~344 [10] 분서왕 298~304 [13] 근초고왕 346~375 [12] 계왕 344~346 [14] 근구수왕 375~384 [15] 침류왕 384~385 [16] 진사왕 385~392 [17] 아신왕 392~405 [18] 전지왕 405~420 [19] 구이신왕 420~427 [20] 비유왕 427~455 [21] 개로왕 455~475 [22] 문주.. 2022. 4. 8.
[백제 31대 국왕] 의자왕(義慈王, 641~660) [백제 31대 국왕] 의자왕(義慈王, 641~660) 재위 : 641년 ~ 660년 출생일 : 미상 사망일 : 660년 의자왕(義慈王)은 백제의 제31대, 마지막 국왕이다. 이름은 부여의자(扶餘義慈)며 망국의 군주이기 때문에 시호를 받지 못했다. 어린 시절, 우애가 깊어 해동증자(海東曾子)라 일컬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말년에 방탕과 실정으로 나ㆍ당 연합군의 공격을 받음으로써 초대 온조왕으로부터 이어진 백제는 완전히 멸망하였고, 의자왕을 비롯한 왕족들과 수많은 백성들은 당나라 낙양으로 끌려갔다. [615년] 아들 부여융이 태어나다 [632년] 무왕 33년 정월에 태자로 책봉되었다. [641년] 3월 무왕이 죽자 뒤를 이었고, 당으로부터 주국(柱國) 대방군왕(帶方郡王) 백제왕으로 책봉되었다. 《삼국사기》에는.. 2022. 4. 8.
[백제 30대 국왕] 무왕(武王, 600~641) [백제 30대 국왕] 무왕(武王, 600~641) 재위 : 600년 ~ 641년 3월(음력) 출생일 : 580년 사망일 : 641년 3월(음력) 무왕(武王)의 성은 부여(扶餘), 휘는 장(璋), 아명은 서동(薯童) 혹은 일기사덕(一耆篩德)이다. 출생지는 전라도 익산이다. 법왕의 아들이라는 설과 위덕왕의 서자라는 설이 존재한다. 재위 기간 신라에 공세를 취하는 한편 고구려와 수나라가 각축전을 벌일 때 중립 외교를 펼쳤다. 왕권 강화를 위해 대규모 역사(役事)를 단행하였다. 630년에 백성을 징발하여 사비궁을 중수하였으며 익산에 별도를 경영하고, 장차 천도할 계획까지 세우고 있었다. 또한 정실 왕후인 사택씨(沙宅氏) 세력의 지원으로 막대한 경비와 시간을 들여 익산에 백제 최대 규모의 미륵사를 창건했다. [출.. 2022. 4. 8.
[백제 29대 국왕] 법왕(法王, 599~600) [백제 29대 국왕] 법왕(法王, 599~600) 재위 : 599년 ~ 600년 5월 출생일 : 미상 사망일 : 600년 5월 법왕(法王)은 제29대 왕이다. 《삼국사기》 권27 법왕편에 따르면, 법왕은 혜왕의 아들이다. 이름은 선(宣) 또는 효순(孝順)이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따르면, 법왕은 혜왕의 아들이다. 한편, 김부식은 삼국사기에서 중국 사서인 《수서》의 내용도 기록하여 “법왕은 혜왕의 장자이고 혜왕이 죽자 법왕이 계승했는데, 《수서》에서는 위덕왕의 아들이라 한다”고 부기하였다. 《일본서기》에는 언급되지 않는다. [598년] 9월, 위덕왕이 중국 수나라에 표문과 조공을 바치자, 고구려는 이를 문제삼아 백제의 변경을 공격하였다. 이때 효순은 백제 장군으로 고구려군을 맞아 싸웠다. 효순은.. 2022. 4.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