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물 사전]106

문진훤 [文晋烜, 1862~?] 장로교 목사 문진훤 [文晋烜, 1862~?]장로교 목사 【1862년】평북 용천에서 출생하였다. 【1907년】용천군 동하면 소재 덕흥교회(德興敎會) 초기 신자로 1907년 초대 장로로 장립되었다.덕흥교회는 1900년 평북 용천군 동하면 덕흥동에 설립된 장로교회다. 일찍이 김학호ㆍ양기화 등이 믿고 또 이들의 전도로 이상겸ㆍ이학주ㆍ이형춘ㆍ장승무ㆍ문진훤 등이 믿고 이웃 동문교회(東門敎會)와 의주의 남산교회(南山敎會)에 출석하며 예배를 드렸다. 그후 교인이 계속 증가하자 11간 예배당을 신축하고 교회를 설립하였다. 1907년 문진훤을 장로로 장립하여 당회를 조직하였다. 1940년 당시 김도희 전도사와 장로 최낙서ㆍ이성실 등이 시무하였다. [『기독교대백과사전 제4권 31쪽』] 【1910년】평양 장로회신학교를 졸업하였다(제3회).. 2024. 9. 4.
한 [Hahn, August, 1792-1863] 한 [Hahn, August, 1792-1863]루터교도 【1792년】3월 27일, 프러시아 작센의 쿠에르푸르트 근처에 있는 그로소스테르하우젠에서 출생하였다.어렸을 때 아버지가 죽어서 그 마을 목사의 양육과 교육을 받으며 자랐다. 【1807년】아이슬레벤의 김나지움으로 보내졌다. 【1810년】라이프치히대학교에 들어갔다. 신학을 공부하는 동안 고대 언어들을 완전히 습득했다.로젠뮐러가 그에게 시리아어와 아라비아어를 가르쳐 주었다.카일이 그에게 동양어를 가르쳐 주었다. 【1813년】신학 과정을 마치고 강사가 되었다. 【1817년】비텐베르크에 새로 설립된 신학교에 들어갔다. 이곳에서 그의 스승들은 쉴류스너와 휴브너였다.그곳에서 그는 라이프치히에서 일시적으로 잃었던 옛 신앙을 다시 찾았다. 【1819년】쾨니히스베르.. 2024. 9. 4.
박예헌 [朴禮憲, 1879~1963] 장로교 목사, 교육가 박예헌 [朴禮憲, 1879~1963]장로교 목사, 교육가 【1879년】평남 영규에서 박정찬 목사의 아들로 출생하였다.그의 부친이 기울어가는 가세를 한탄하며 가출해 버리자 어머니를 모시고 지내던 중 한석진 조사의 전도를 받고서 기독교인이 되었다. 【1907년】아버지 박정찬 목사와 함께 평양 장로회신학교에 입학하였다. (이때 가출한 부친과 가출 이후 처음 상봉했다고 한다) 【1910년】평양 장로회신학교를 아버지 박정찬 목사와 함께 졸업하였다(제3회).목사안수를 받고 캐나다장로회 선교구역인 함경도 지방에서 목회를 시작하였다. 【1911년】푸트(W. R. Foote, 부두일)와 동사목사로 원산 남쪽에서 시무하였으며 1911년 원산 창앞교회(후의 광석동교회)에 부임하여 함남지방 선교에 헌신하였다.광석동교회는 원산.. 2024. 9. 4.
송문정 [宋文正, 1898~?] 장로교 목사, 독립운동가 송문정 [宋文正, 1898~?]장로교 목사, 독립운동가 【1898년】평북 용천에서 출생하였다. 【1903년】용천 동문밖교회 설립자의 한 사람이다.한경희(韓敬禧) 목사가 당시 동문밖교회 전도인이었던 송문정이 주고 간 전도지 구세론(救世論)을 읽고 회심하여 기독교인이 되었고 동문밖교회에 출석하게 되었다. 【1910년】6월, 평양 장로회신학교를 졸업하였다(제3회).9월, 목사안수를 받았다.평북 의주군 교관면에 있는 토교리교회목사로 부임하였고 그후 월화교회에서도 시무하였다. 【1919년】3ㆍ1운동 당시에는 평북내의 오지인 창성ㆍ삭주ㆍ벽동지역의 만세시위를 가능하도록 기민한 활동을 폈다. 즉 이승훈ㆍ양전백ㆍ유여대 등 민족대표들의 청을 받고 위 지역의 시위운동 책임자로 선정하고 그들과 접촉하였다.[☞ 창성 3ㆍ1운동.. 2024. 9. 3.
심취명 [沈就明, 1875~1958] 장로교 목사, 부산ㆍ경남지역 최초의 목사 심취명 [沈就明, 1875~1958] 장로교 목사, 부산ㆍ경남지역 최초의 목사 【1875년】12월 5일, 심인택의 둘째 아들로 경남 부산에서 출생하였다.본명은 심상호(沈相鎬)였으나 후일 기독교 신자가 되면서 심취명으로 개명하였다. 【1894년】10월 중순 경, 부산지방 첫 수세자인 그의 형 심상현(沈相鉉)의 죽음으로 부모가 신앙을 갖게 되었다. 【1895년】11월에 세례를 받아 부산지방에서 두 번째 수세자가 되었다. 세례를 받은 심취명은 형의 뒤를 이어 처음에는 선교사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선생으로 봉사하였으나 후에는 일신여학교 교사로, 그리고 선교부가 주관하는 신앙교육을 담당하였다. 【1896년】6월 10일, 부산진의 호주 선교사관에서 호주 선교사 아담슨의 주례로 김봉숙(金鳳叔)과 부산지방 최초의 기.. 2024. 9. 3.
안승원 [安承源, 1872~1941] 장로교 목사, 독립운동, 선천의 독립운동가 안준(安濬)의 동생. 안승원 [安承源, 1872~1941]장로교 목사, 독립운동가, 본명은 안해(安海), 일명 안원형(安元亨), ‘승원’은 그의 자이다. 선천의 독립운동가 안준(安濬)의 동생. 【1872년】평북 철산군 여한면 연수(連水)동에서 출생하였다.유학자의 집안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한학을 수학하였으며 철산읍교회 창설자 장관선 목사의 전도를 받아 기독교인이 되었다.훗날 목사가 되는 유여대는 안승원의 전도로 기독교에 입신하여 의주서교회에 출석하였다. 【1907년】철산읍교회로 출석하다가 1907년에 이르러 같은 동리 교인 김석창ㆍ홍석륜ㆍ김의풍 등과 함께 동리에 연수동교회를 설립하였다. 【1909년】4월부터 조사로 피택되어 평북 초산ㆍ위원ㆍ벽동 등지의 교회를 돌보았다. 【1910년】평양 장로회신학교를 졸업하였다(제3회).목사.. 2024. 9. 3.
우종서 [禹鍾瑞, 1871~?] 장로교 목사, 독립운동가. 우종서 [禹鍾瑞, 1871~?]장로교 목사, 독립운동가. 【1871년】황해도 신천군 초리면 월산리에서 출생하였다. 【1901년】일찌기 교인이 되어 전도인으로 활약하였는데 1901년 그의 전도로 은율에 계림리교회(桂林里敎會)가 설립되었다. 【1902년】백범 김구의 자서전 『백범일지』에서는 백범이 27세이던 1902년(1903년) 친구 우종서 조사의 권유로 입교하기로 결심하였다고 한다. 【1907년】고향에 종산교회(鍾山敎會)를 설립하였다. 종산교회는 우종서 씨가 예수 믿고 우응제, 정영우 씨를 전도하여 교회를 세웠다. 여자인 정계전, 정영복이 주님을 뜨겁게 만난 후 전 재산을 교회에 헌납하여 교회를 확장하였다.장로로 안수받아 독노회에 문화(文化)ㆍ종산교회 대표로 참석하였다. 【1909년】종산교회 부설로 종산.. 2024. 9. 3.
정명리 [鄭明理, 1860~1935] 장로교 목사 정명리 [鄭明理, 1860~1935]장로교 목사 【1860년】출생하였다.일찌기 기독교인이 되었고 조사로 황주군 주동(注洞)교회 등지에서 시무하였다. 【1910년】평양 장로회신학교를 졸업하였다(제3회).독노회에서 목사안수를 받았다.황주읍교회ㆍ농소리교회 전도목사로 부임하였다.이후 강동군 표대리교회(1908년 설립)ㆍ송오리교회 등지에서 목회하였다.당시 독노회에서 신문위원으로 선출되어 예수교회보 창간을 위한 모금에 동참하였다.1907년 12월부터 장로교ㆍ감리교 합동으로 발행하던 『기독교신보』가 1910년 2월 21일 폐간하게 되자 예수교장로회 제3회 대한노회(大韓老會, 1909년 9월 3일)에서 이미 신문위원으로 선출된 한석진(韓錫晉)ㆍ게일(Gale, J. S.)ㆍ김관곤ㆍ김창보ㆍ배유진ㆍ이명혁ㆍ차학연ㆍ정명리 등 .. 2024. 9. 3.
주공삼 [朱孔三, 1875~?] 장로교 목사, 주요한ㆍ주요섭의 아버지 주공삼 [朱孔三, 1875~?]장로교 목사 【1875년】평양 근교 궁골에서 출생하였다.본관은 신안(新安)이며 아명(兒名)은 주진우(朱珍雨)이며 호(號)도 신안(新安)이다. 【1880년】어려서부터 한학을 수학하였고 주자(朱子)와 공자(孔子) 뒤에 자기가 있다고 하여 이름을 주공삼(朱孔三)이라 하였다. 【1881년】그의 부친은 본래 함경도 출신이었으나 평양 근교로 이주한 후에 농사를 짓다가 그가 7세 되던 해 사망하였다.성장하여 보부상이 되어 어느 날 평양에 갔다가 마펫(S. A. Moffett) 선교사를 만나 전도를 받고 기독교인이 되었다.이후 마펫의 비서 겸 어학선생으로 일하면서 장대현교회에 출석하였다. 【1893년】장대현교회에서 장로 장립을 받았다.음서로 천거되어 대한제국 조선 황조 하급관료직을 지냈다.. 2024. 9.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