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자료실]/[도서 정리]275

제4장. “1959년 한국장로교회 분열 : 통합ㆍ합동의 역사 해석의 차이” - 정병준 제4장. “1959년 한국장로교회 분열 : 통합ㆍ합동의 역사 해석의 차이”정병준, 『한국교회 역사 속 에큐메니컬 운동』, 115-139쪽 중에서 I. 머리말 분열된 장로교회들은 자기 교단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교단 옹호적인 역사 서술을 시도했다. 한국장로교회 분열에 대한 연구들이 상당히 진행되었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로 객관적이지 못했다.첫째, 한국장로교회 분열에 대한 초기 역사는 주로 분열 당사자들의 기록과 기억에 근거했기 때문에 교단별로 같은 사건에 대한 다른 해석이 고착화되었다. 둘째, 분열 당사자들은 각 교단의 지도자였기 때문에 그 후배들이 사건 상에서 그들의 약점을 지적하기 어려웠다. 셋째, 교회 분열 사건을 다룰 때 실증적 사실보다 교권의 이익과 신학적 가치 평가에 우선 순위를 두면서 객.. 2024. 9. 2.
제3장. “조선신학교와 장로회신학교의 갈등과 분립 연구”(1945-1955) - 정병준 제3장. “조선신학교와 장로회신학교의 갈등과 분립 연구”(1945-1955)정병준, 『한국교회 역사 속 에큐메니컬 운동』, 79-113쪽 중에서 I. 머리말 조선신학교와 장로회신학교의 갈등과 분열 과정은 해방 이전 평양신학교 선교사들의 신학교육 주도권과 획일성, 서북 장로교회의 패권과 지역갈등, 일제 황민화 정책에 대한 협력 문제, 박형룡과 김재준으로 대표되는 한국인 지도자들 사이의 신학갈등과 감정 문제, 해방 이후 분단과 전쟁으로 인한 월남 기독교인의 증가, 조선신학교 지지자들과 장로회신학교 지지자들 사이의 교권투쟁, 선교사들의 개입과 영향력 확대 등 다양하고 복합적인 문제들로 얽혀있다. 또한 북장로회, 남장로회, 호주장로회, 캐나다선교회 사이에도 이 문제에 대한 견해가 다양했고, 한국인 지도자들 사이.. 2024. 8. 31.
제2장. “해방 이전 한국교회 연합운동에 대한 고찰” - 정병준 제2장. “해방 이전 한국교회 연합운동에 대한 고찰”정병준, 『한국교회 역사 속 에큐메니컬 운동』, 41-77쪽 중에서 I. 머리말  한국교회 안의 교회사 연구는 여전히 교파 옹호론적인 입장이 강하다. 그 이유는 분열을 겪으면서 성장한 한국의 교파 교회들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교회사를 통해 분열을 정당화하려는 심리적 기제를 가지고 있고, 교회사 교육을 통해 정체성을 형성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파 옹호론을 넘어 에큐메니컬적 관점에서 한국교회사를 연구해야 할 필요성과 타당성이 크다. [42-43] 에큐메니컬은 고대교회 시대에는 보편교회를 지칭했고, 종교개혁 이후로는 교파 간의 관계성을 의미했다. WCC 창립 이후 현대 에큐메니컬 운동의 개념은 교회 일치를 넘어 정의ㆍ평화ㆍ창조질서의 보전(JPIC)을 포.. 2024. 8. 31.
제1장. “해방 이전 교회ㆍ국가 관계의 구조적 변화” - 정병준 제1장. “해방 이전 교회ㆍ국가 관계의 구조적 변화”정병준, 『한국교회 역사 속 에큐메니컬 운동』, 11~39쪽 중에서I. 머리말 이 연구는 19세기초 천주교회의 박해부터 일제 말기까지의 역사 속에 나타난 교회ㆍ국가 관계의 변화를 유형론적으로 분석하겨 그 안에서 교회ㆍ국가 관계가 선교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려는 것이다. [12] 서구 기독교 역사 안에는 다섯 가지 유형이 나타난다. 1) 카타콤 유형은 이교적 종교국가에 의해 교회가 박해받는 모형이다. 2) 종교국가 유형은 종교가 국가를 이용하는 모형이다. 3) 국가종교 유형은 국가가 종교를 이용하는 모형이다. 4) 배타적 국가-종교 관계 유형은 국가로부터 교회의 철저한 분리를 원하는 모형이다. 5) 정교분리 유형은 정부와 종교가 우호적으로 협력하는.. 2024. 8. 29.
[한국기독교 100년사] 조선신학교의 역사적 의의 [한국기독교 100년사] 한국기독교장로회 역사편찬위원회 편 제6장. 한국기독교 개혁운동과 민족주체적인 교회 형성 제2절. 조선신학교의 설립과 교육이념 4. 조선신학교의 역사적 의의 [347-350] 장공 김재준 목사는 조선신학원이 설립되기 이전 한국교회의 과거는 진정한 의미에서 ‘역사’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규정한다. 그 이유는, 역사는 자주적이며 주체성을 지닌 한국인에 의해 창조일 때만 한국기독교회로서 자기기록이 된다는 것이다. 한국교회는 미국 기타 서구제국의 선교국 교회들의 ‘선교사’의 일부로서 구성될 수는 없는 것이며, 그것이 한국기독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기독교사상에 비판이 있어야 하며 얼이 없이 단지 주입되고 추종되는 가운데 교회성장이 늘었다면 늘인 정도로 한국교회로서의역사성이 아니라는 것이다. .. 2022. 6. 28.
[한국기독교 100년사] 일제의 식민통치와 조선신학교 [한국기독교 100년사] 한국기독교장로회 역사편찬위원회 편 제6장. 한국기독교 개혁운동과 민족주체적인 교회 형성 제2절. 조선신학교의 설립과 교육이념 3. 일제의 식민통치와 조선신학교 [343-347] 1936년 이래 일본제국주의의 한국 말살정책이 급격하게 강행됨에 따라 신사참배문제를 필두로 온갖 분야에서 일본화 운동이 치열해졌다. 따라서 한국교회는 갑자기 시련에 들어갔다. 기독교가 존속하려면 일본사상적인 기독교로 개변되어야 한다는 것인 그들의 강요였다. 결국 선교사들은 미ㆍ일전쟁을 계기로 본국으로 떠났고 한국교회는 지도자없는 교회로서 일본정부와 압제와 농락에 대결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1931년 만주사변을 시작으로 일제의 전시체제의 전환은 이전까지의 종교정책과는 다른 종교정책을 시행하지 않을 수 .. 2022. 6. 28.
[한국기독교 100년사] 조선신학교의 신학교육과 신학사상 [한국기독교 100년사] 한국기독교장로회 역사편찬위원회 편 제6장. 한국기독교 개혁운동과 민족주체적인 교회 형성 제2절. 조선신학교의 설립과 교육이념 2. 조선신학교의 신학교육과 신학사상 [332-343] 1890년 봄 초기 선교사들은 중국에서 활동하던 선배선교사 네비우스 목사를 초빙하여 그의 자문을 얻어 선교정책을 수립하였다. 그 내용은 강력한 자립성과 광범위한 순회선교, 성서에 대한 압도적인 강조 등이었다. 이 네비우스선교방법은 선교정책과 독립교회를 세우는 데 방법적인 기준이 되었다. 그리하여 1893년 장로회 제1회 공의회에서는 몇 가지 세부적인 항목을 추가하여 선교정책을 세웠는데 이 10개 항목 중 제4항목은 ‘한국인 교역자양성에 힘쓸 것’이라는 신학교육에 관한 내용이었다. 그 후 남장로회 선교사.. 2022. 6. 28.
[한국기독교 100년사] 외래 선교사와 조선신학교의 관계 [한국기독교 100년사] 한국기독교장로회 역사편찬위원회 편 (325-332) 제6장. 한국기독교 개혁운동과 민족주체적인 교회 형성 제2절. 조선신학교의 설립과 교육이념 1. 외래 선교사와 조선신학교의 관계 1939년 초에 함태영, 김대현, 채필근, 송창근 등 여러 교역자들이 서울에 장로회신학교를 설립할 필요성을 인정하고 경향각지의 장로회 교회지도자들의 호응을 얻어 동년 3월 27일에 ‘장로회신학교 설립기성회 실행위원회’를 조직하였다. 이 기성회는 아래와 같은 조선신학교 설립취지서를 발표하였다. 우리 조선반도에 들어온 기독신교가 과거 50여 년 동안 급속한 발달과 장족의 진보를 보게 된 것은 세인이 경이할 만한 바가 있었다. 이것은 물론 하나님의 무한하신 은총과 환경의 복잡한 변천이 가장 큰 원인이 되었거.. 2022. 6. 28.
[한국기독교 100년사] 조선신학교의 설립과 교육이념 [한국기독교 100년사] 한국기독교장로회 역사편찬위원회 편 (323-325) 제2절. 조선신학교의 설립과 교육이념 조선신학교는 1939년 3월 고 김대현 장로의 헌금으로 설립기성회가 조직되고 1940년 4월 서울 승동교회에서 조선신학원으로 첫개강을 하였다. 이 당시 한국 기독교계는 서양성교사들에 의해 지배되고 있었기 때문에 우리 민족의 재원과 지도력으로 우리 교계의 지도자들을 양성하기 위한 조선신학원 설립은 한국기독교계와 민족에 중요한 사건이었다. 이러한 조선신학원의 자주와 자립정신은 곧 민족독립의 의지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해방될 때까지 여러 선생님과 학생들이 연행, 구속당하였고 1945년에는 학생들과 선생들이 함께 평양 종연화학 공장에서 중노동을 하기도 하였다. 또한 그 당시에는 매년 학교인가를 다시.. 2022. 6.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