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1930년대 중국 관내지역 정당통일운동의 성과
제1절. 일본의 팽창방식과 운동공간
제2절. 연구방법과 방향
제2장. 정당통일운동의 배경
제1절. 운동주체의 국내외적 조건
제2절. 임시정부론의 대안, 신당론
제3장. 정당통일운동 세력의 재규합과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
제1절. 만주사변ㆍ윤봉길의거와 민족운동
제2절.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의 결성과정
제3절.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의 전선 통일 논의와 경과
제4절. 정당통일운동 세력 대 임시정부 옹호 세력
제4장. 민족혁명당의 결성과 정당통일운동 세력의 다수파 형성
제1절. ‘혁명적 중심’ 조직으로서 민족혁명당의 성립
1. 신당 결성의 당위성과 기본원칙
2. 조직체계의 특징
3. 기본방침
4. 통일전선방침
제2절. 조직의 변화
1. 일시적 동요 : 일부 한국독립당 관계자들의 이탈
2. 조직의 안정과 김원봉 중심의 당운형
3. 제3차 민족혁명당 전당 대표회의(1937.1)와 갈등 봉합
4. 극명한 대립과 정당통일운동의 결집체로서의 의미 퇴색
제3절. (조선)민족혁명당의 활동
1. 군사공작
2. 특무부의 활동방향과 정보 수집
3. 자금 조달과 조직 운영 및 활동방향
4. 출판 및 선전활동
5. 민족혁명당 당원의 자격과 육성
제5장. 민족운동 세력의 양립화
제1절. 김구(임시정부)의 재기와 반(조선)민족혁명당 세력의 연대 모색
1. 한국국민당
1) 한국국민당의 결성과 지향
2) 한국국민당의 활동
3) 한국국민당과 민족운동 세력의 연대문제
2. ‘재건 한국독립당’
3. 조선혁명당
제2절. 관내지역 민족운동 세력의 양립화
1.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
2. 조선민족전선연맹
1) 결성과 정치적 지향
2) 민족전선의 임무 및 위상과 특징
3) 조선의용대의 성립과 북상항일
제3절. 정당 통일 노력과 좌절
1. 통일을 위한 움직임의 재개
2. ‘7당 통일회의’와 ‘3당 통일회의’
제6장. 정당통일운동 세력의 중경 임시정부 합류
제1절. 중국 정세의 변화와 조선민족해방동맹의 합류 과정
제2절. 조선민족혁명당의 참가 과정
제7장. 정당통일운동의 역사적 성격
제1절. 정당통일운동과 정치
제2절. 정당통일운동의 사상적 지형과 민족운동사에서의 위치
부록
1. 한국민족혁명당창립대회선언(1935.7.5)
2. 민족혁명당 당의ㆍ당강ㆍ정책ㆍ당장
3. 본당의 기본강령과 현단계의 중심임무
4. 한국국민당 선언(1935.11)
5. 한국국민당의 당의 당강
6. 한국광복운동단체 연합선언(1937.8)
7. 조선민족전선연맹의 기본강령과 투쟁강령
9. 한국독립당 창립선언(1940.5.9)
10. 조선민족혁명당 제6차 전당 대표대회 선언(1941.12.10)
참고문헌
찾아보기
'[기타 자료실] > [도서 목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50권] 1920년대 후반 만주지역 항일무장투쟁 - 채영국 (0) | 2021.04.18 |
---|---|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49권] 1920년대 전반 만주ㆍ러시아지역 항일무장투쟁 - 반병률 (0) | 2021.04.18 |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47권] 1920년대 재중항일세력의 통일운동 - 이현주 (0) | 2021.04.18 |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46권] 신간회의 민족운동 - 신용하 (0) | 2021.04.18 |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45권] 아나키스트들의 민족해방운동 - 이호룡 (0) | 2021.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