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자료실]/[도서 목차]

[미국 선교사와 한미관계, 1931~1948 : 교육철수, 전시협력 그리고 미군정] - 안종철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0)

by [수호천사] 2021. 6. 11.
728x90

[미국 선교사와 한미관계, 1931~1948 : 교육철수, 전시협력 그리고 미군정] - 안종철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0)

 

간행사 - 김흥수

감사의 말

 

서론

  1. 문제제기와 연구현황
  2. 책의 구성과 자료

 

제1부. 신사참배, 식민권력, 그리고 선교사들의 내분

 

제1장.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와 선교사들의 대응

  1. 1931년 ‘만주사변’ 전후 일제의 기독교정책과 신사참배
    1) 1930년대 전반 한국기독교와 신사참배 문제
        1930년대 전반 한국기독교의 상황
        1920년대 신사참배 논란
    2) ‘만주사변’ 이후 신사참배 강요
  2. 신사참배 강요에 대한 각 교파 선교부의 대응
    1) 북장로교 측의 초기 대응
    2) 타 교파 선교부들의 대응
        남장로교의 대응
        호주장로교의 반응
        캐나다장로회의 대응
        일본 기독교계의 반응

 

제2장. 교육사업 철수를 둘러싼 갈등

  1. 선교사들의 철수 결정과 갈등
    1) 선교사들과 외교관들의 협의
    2) 교육사업 철수 결정에 대한 한국인들의 반응
        북장로교파의 교육철수 결정과 갈등
        남장로교 측의 교육철수 결정과 파장
  2. 중일전쟁 이후 북장로교 교육사업 철수문제와 갈등
    1) 철수문제를 둘러싼 갈등
    2) 갈등의 전개와 철수과정
        기독교기관의 ‘조선인화’
        서울지부의 학교들
        대구지부의 학교들
        선천지부의 학교들
        조선선교부와 해외선교부의 갈등

 

제2부. 전시협력, 재입국, 그리고 미군정

 

제3장. 태평양전쟁기 선교사들의 귀국과 전쟁협력

  1. 태평양전쟁과 미국인들의 귀국
    1) 전쟁 발발 전후 선교사들의 귀국
    2) 송환 선교사 및 외교관들의 한국 정세 인식
        일본의 전쟁 동원과 한국인들의 반응
        한국 민족주의운동에 대한 평가
        정책적 제언
  2. 선교사 및 관련 인사들의 전시협력활동
    1) 북장로교 선교사 관련 인사들의 활동
    2) 한국관련 미 정부 관리들의 한국문제 인식
        한국 관련 국무부 담당자들의 한국 인식
        선교 배경의 미 정보담당 인사들의 한국문제 인식
        국무부의 신탁통치안 확정과 논리

 

제4장. 해방 후 선교사들의 재입국과 미군정 참여

  1. 미군정의 기독교정책과 선교사들의 귀환
    1) 연합국사령부 맥아더의 종교정책과 기독교
    2) 미군정사령관 하지의 종교정책과 선교사
  2. 선교사들의 재입국과 미군정
    1) 북장로교 해외선교부와 언더우드의 활동
    2) 각 교파 선교부들의 복구와 미군정, 정부수립
        선교부들의 복구과 미군정
        선교사들과 대한민국 정부수립
        선교사들과 한국인 엘리트

 

결론

참고문헌

 

부록

  • 20세기 전반 한국관련 미 외교관료
  • 평양지역 기독교 구역(선교사 거주지, 학교, 교회 등)
  • 해방 전후 한국 관련(군인, 미국관료, 교육자) 주요 선교사 및 2, 3세 명단과 활동

 

찾아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