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경문왕 [景⽂王, AD. ?~875] 신라 제48대 국왕(AD. 861~875)
【개인 정보】
- 이름 : 응렴(膺廉), 의렴(疑廉)
- 출생 : 기원후 846년 – 삼국유사에는 841년생으로 나와있지만 대다수의 학계에서는 즉위 당시 나이를 15세로 보고 846년생으로 본다.
사망 : 기원후 875년 7월 8일(음력)
재위 : 기원후 861년 1월 29일(음력) ~ 기원후 875년 7월 8일(음력) - 전임 : 헌안왕
후임 : 헌강왕
【가계 정보】
- 증조부 : 김헌정(金憲貞) 후일 익성왕(翌成王)으로 추존
증조모 : 포도부인(包道夫人) 후일 순성태후(順成太后)으로 추존 - 조부 : 희강왕(僖康王, ?~838, 재위 : 836~838)
조모 : 문목왕후(文穆王后) - 외조부: 신무왕(신라 45대 국왕) -김우징(장보고 관련)
외조모: 정계부인(貞繼夫人) – 정종태후(定宗太后)로 추봉 - 아버지 : 김계명(金啓明)
어머니 : 광화부인(光和夫人) – 신무왕의 딸 - 동생: 김위홍(金魏弘) 혜성왕(蕙成王)으로 추봉(追封)되었다.
동생: 단의장옹주 - 왕비 : 문의왕후 김씨(文懿王后 金氏, 841~870) – 헌안왕의 큰 딸
- 장남 : 김정(金晸) – 866년 태자 책봉, 875년 제 49대 헌강왕 즉위
며느리 : 의명부인 김씨(懿明夫人 金氏)- 손자 : 김요(金嶢) – 897년 제52대 효공왕 즉위
- 차남 : 김황(金晃) – 886년 제50대 정강왕 즉위
- 장녀 : 김만(金曼) – 887년 제51대 진성여왕 즉위
- 장남 : 김정(金晸) – 866년 태자 책봉, 875년 제 49대 헌강왕 즉위
- 차비 : 차비 김씨(次妃 金氏, 842년~?) – 헌안왕의 둘째 딸
【경문왕 연보】
【기원후 861년】 경문왕 원년
- 경문왕(景文王)이 왕위에 올랐다. 이름은 응렴(膺廉)[‘응(膺)’을 ‘의(疑)’라고도 한다.]이며, 희강왕(僖康王)의 아들인 아찬 계명(啓明)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광화(光和)[광의(光義)라고도 한다.]부인이다. 왕비는 김씨 영화부인(寧花夫人)이다.
- 3월, 임금이 무평문(武平門)에 나아가 죄수들을 크게 사면하였다.
【기원후 862년】 경문왕 2년
- 봄 정월, 이찬 김정(金正)을 상대등으로 삼고, 아찬 위진(魏琀)을 시중으로 삼았다.
- 2월, 임금이 몸소 신궁(神宮)에 제사 지냈다.
- 가을 7월,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토산물을 바쳤다.
- 8월, 당나라에 들어가던 사신 아찬 부량(富良) 등의 일행이 물에 빠져 죽었다.
【기원후 863년】 경문왕 3년
- 봄 2월, 임금이 국학에 행차하여 박사 이하 여러 사람들에게 경서의 뜻을 강론하게 하고, 차등을 두어 선물을 하사하였다.
- 겨울 10월, 복숭아와 오얏꽃이 피었다.
- 11월에 눈이 내리지 않았다.
- 영화부인의 동생을 두 번째 왕비로 맞아들였다.
- 다른 날에 임금이 흥륜사(興輪寺)의 스님에게 물었다.
“대사가 전에 말하였던 세 가지 이로움이란 무엇인가?”
스님이 대답하였다.
“당시에 왕과 왕비가 뜻대로 된 것을 기뻐하여서 당신에 대한 사랑이 점점 깊어질 것이니, 이것이 첫 번째 이로움입니다. 이로 인하여 왕위를 잇게 되었으니, 이것이 두 번째 이로움입니다. 그리고 마침내 처음부터 원하던 둘째 딸을 취하게 되었으니, 이것이 세 번째 이로움입니다.”
임금이 크게 웃었다.
【기원후 864년】 경문왕 4년
- 봄 2월, 왕이 감은사(感恩寺)에 행차하여 바다에 제사를 지냈다.
- 여름 4월, 일본국에서 사신이 왔다.
【기원후 865년】 경문왕 5년
- 여름 4월, 당나라 의종(懿宗)이 사신 태자우유덕어사중승(太子右諭德御史中丞) 호귀후(胡歸厚)와 부사 광록주부겸감찰어사(光祿主簿兼監察御史) 배광(裴光) 등을 보내, 선왕을 조문하는 제사를 지내고 동시에 비단 1천 필을 부의로 주고, 임금을 개부의동삼사검교대위지절대도독계림주제군사상주국신라왕(開府儀同三司檢校太尉持節大都督雞林州諸軍事上柱國新羅王)으로 삼았다.
그리고 임금에게 관직을 임명하는 문건 한 통, 황제의 신임표 한 벌, 비단 5백 필, 옷 두 벌, 금은 그릇 일곱 개를 하사하고, 왕비에게는 비단 50필, 옷 한 벌, 은그릇 두 개를 하사하고, 왕태자에게는 비단 40필, 옷 한 벌, 은그릇 한 개를 하사하고, 대재상에게는 비단 30필, 옷 한 벌, 은그릇 한 개를 하사하고, 다음 재상에게는 비단 20필, 옷 한 벌, 은그릇 한 개를 하사하였다.
【기원후 866년】 경문왕 6년
- 봄 정월, 임금의 아버지를 의공대왕(懿恭大王)으로 추봉하고, 어머니 박씨 광화부인을 광의왕태후(光懿王太后)로 추봉하고, 부인 김씨를 문의왕비(文懿王妃)로 책봉하고, 왕자 정(晸)을 왕태자로 삼았다.
- 15일, 왕이 황룡사(皇龍寺)에 행차하여 연등행사를 보고 그 자리에서 백관들을 위하여 연회를 베풀었다.
- 겨울 10월, 이찬 윤흥(允興)이 동생 숙흥(叔興)ㆍ계흥(季興)과 함께 반역을 모의하다가 일이 발각되어 대산군(岱山郡)으로 도망하였다. 임금이 명을 내려 그들을 붙잡아 죽이고 삼족을 멸하였다.
【기원후 867년】 경문왕 7년
- 봄 정월, 임해전을 중수하였다.
- 여름 5월, 서울에 전염병이 돌았다.
- 가을 8월, 홍수가 나고 곡식이 잘 여물지 않았다.
- 겨울 10월, 사자(使者)들을 나누어 여러 곳으로 파견하여 백성들을 위문하였다.
- 12월, 객성(客星, 혜성 또는 신성)이 태백성을 침범하였다.
【기원후 868년】 경문왕 8년
- 봄 정월, 이찬 김예(金銳)와 김현(金鉉) 등이 반란을 모의하였기에 사형에 처하였다.
- 여름 6월, 황룡사 탑에 벼락이 쳤다.
- 가을 8월, 조원전(朝元殿)을 중수하였다.
【기원후 869년】 경문왕 9년
- 가을 7월, 왕자 소판 김윤(金胤) 등을 당나라에 보내 은혜에 감사드리고 동시에 말 2필, 부금(麩金) 1백 냥, 은 2백 냥, 우황 15냥, 인삼 1백 근, 대화어아금(大花魚牙錦)1) 10필, 소화어아금(小花魚牙錦) 10필, 조하금(朝霞錦) 20필, 사십승2) 흰 모직 40필, 삼십승 새모시 40필, 넉자 5치짜리 머리털 150냥, 석자 다섯치짜리 머리털 3백 냥, 금비녀ㆍ오색 댕기ㆍ반흉(班胸) 각 10개, 응금쇄선자병분삽홍도(鷹金鏁鏇子幷紛鎝紅幍) 20개, 신양응금쇄선자분삽오색도(新樣鷹金鏁鏇子紛鎝五色幍) 30개, 응은쇄선자분삽홍도(鷹銀鏁鏇子紛鎝紅幍) 20개, 신양응은쇄선자분삽오색도(新樣鷹銀鏁鏇子紛鎝五色幍) 30개, 요자금쇄선자분삽홍도(鷂子金鏁鏇子紛鎝紅幍) 20개, 신양요자금쇄선자분삽오색도(新樣鷂子金鏁鏇子紛鎝五色幍) 30개, 요자은쇄선자분삽홍도(鷂子銀鏁鏇子紛鎝紅幍) 20개, 신양요자은쇄선자분삽오색도(新樣鷂子銀鏁鏇子紛鎝五色幍) 30개, 금화응령자(金花鷹鈴子) 2백 과, 금화요자령자(金花鷂子鈴子) 2백 과, 금루응미통(金鏤鷹尾筒) 50쌍, 금루요자미통(金鏤鷂子尾筒) 50쌍, 은루응미통(銀鏤鷹尾筒) 50쌍, 은루요자미통(銀鏤鷂子尾筒) 50쌍, 계응비힐피(繫鷹緋纈皮) 1백 쌍, 계요자비힐피(繫鷂子緋纈皮) 1백 쌍, 슬슬전금침통(瑟瑟鈿金針筒) 30구, 금화은침통(金花銀針筒) 30구, 바늘 1천5백 개를 바쳤다. 또한 학생 이동(李同) 등 세 사람에게 진봉(進奉) 사신 김윤(金胤)을 수행하게 하여 당나라에 보내 학습하게 하고, 이어 책값으로 은 3백 냥을 하사하였다.
【기원후 870년】 경문왕 10년
- 봄 2월, 사찬 김인(金因)을 당나라에 보내 숙위(宿衛)하게 하였다.
- 여름 4월, 서울에 지진이 있었다.
- 5월, 왕비가 죽었다.
- 가을 7월, 홍수가 났다.
- 겨울, 눈이 내리지 않았다. 백성들이 전염병에 많이 걸렸다.
【기원후 871년】 경문왕 11년
- 봄 정월, 임금이 담당관에게 명하여, 황룡사 탑을 다시 고치게 하였다.
- 2월, 월상루(月上樓)를 중수하였다.
【기원후 872년】 경문왕 12년
- 봄 2월, 임금이 몸소 신궁에 제사 지냈다.
- 여름 4월, 서울에 지진이 있었다.
- 가을 8월, 나라 안의 주와 군에 메뚜기떼가 나타나 곡식을 해쳤다.
【기원후 873년】 경문왕 13년
- 봄, 백성들이 굶주리고 또한 전염병이 돌았으므로, 임금이 사람을 보내 백성들을 구제하였다.
- 가을 9월, 황룡사 탑이 완성되었다. 9층으로 되어 있고 높이가 스물두 장이었다.
【기원후 874년】 경문왕 14년
- 봄 정월, 상대등 김정이 죽었기에, 시중 위진을 상대등으로 삼고, 인흥(藺興)을 시중으로 삼았다.
- 여름 4월, 당나라 희종(僖宗)이 사신을 보내와 황제의 뜻을 선포하였다.
- 5월, 이찬 근종(近宗)이 모반하여 궁궐을 침범하므로, 궁을 지키는 군사를 내어 격파하였다. 근종이 그의 무리들과 함께 밤에 성을 나가 도망하였는데, 그를 추격하여 붙잡아 수레에 매어 찢어 죽였다.
- 가을 9월, 월정당(月正堂)을 중수하였다.
- 최치원(崔致遠)이 당나라에서 과거에 급제하였다.
【기원후 875년】 경문왕 15년
- 봄 2월, 서울과 동쪽 지방에 지진이 있었다. 혜성이 동쪽에 나타났다가 20일 만에 없어졌다.
- 여름 5월, 용이 왕궁의 우물에 나타났는데, 잠시 후 구름과 안개가 사방에서 모여들자 날아갔다.
- 가을 7월 8일, 임금이 돌아가셨다. 시호를 경문(景文)이라 하였다.
728x90
반응형
'[인물 자료실] > 인물 [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림이사금 [基臨尼師今, AD. ?~310] 신라의 제15대 국왕(AD. 298~310) (0) | 2025.06.24 |
---|---|
경덕왕 [景德王, AD. 723~765] 신라 제35대 국왕(AD. 742~765) (3) | 2025.06.24 |
경명왕 [景明王, AD. ?~924] 신라 제54대 국왕(AD. 917~924) (1) | 2025.06.24 |
경애왕 [景哀王, AD. ?~927] 신라 제55대 국왕(AD. 924~927) (0) | 2025.06.24 |
경순왕 [敬順王, AD. ?~978] 신라 제56대 국왕(AD. 927~935) (2) | 2025.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