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서 목차 자료실]/[하]

[한국 기독교 형성사 - 한국 종교와 개신교의 만남 1876-1910] - 옥성득 (새물결플러스, 2013)

by [수호천사] 2021. 4. 10.
728x90

 

머리말

감사의 글

약어표

이미지(사진, 그림, 지도, 표, 도표) 목록

 

서론 : 경쟁하는 담론들 / 39

1. 개신교와 한국 종교들의 만남에 관한 탈식민주의 담론 / 43

    미국 선교사에 대한 진보와 보수 신학의 판에 박힌 평가

    브라운 패러다임의 문제

2. 초기 선교사들의 한국 종교 이해 / 55

    초기의 인상 : 무종교

    천주교와의 차별화

    수정한 반응 : 다중 종교성

 

제1장 : 하나님 - 용어 문제와 신조어 하ᄂᆞ님의 채택 / 85

1. 중국의 용어 문제 / 92

    로마 가톨릭 : 上帝, 天主와 전례 논쟁

    개신교 : 에 대한 上帝의 우위성

2. 한국의 용어 문제 / 105

    로마 가톨릭의 텬쥬(天主)

    존 로스의 하느님(하나님) 채택

    이수정의 신() 사용

    언더우드의 다양한 실험과 송순용의 상뎨 지지

    텬쥬와 하ᄂᆞ님의 경쟁

3. 유일신 하ᄂᆞ님의 창출 : 선교사와 한국인의 합작 / 137

    한글 기독교 주간 신문의 원시 유일신론 논증

    독립신문의 하ᄂᆞ님 지지

    게일과 주시경 : 하ᄂᆞ님을 -크신-로 만들다

    헐버트의 삼위일체론적 단군신화 해석

    한국사 서술과 항일 운동에 나타난 한국인 기독교인의 단군 이해

    언더우드의 하ᄂᆞ님 수용

    성신과 성령

    성취론과 하나님, 1910-1924

결론 : 신조어 하ᄂᆞ님의 창출 / 179

 

제2장 : 구세주 - 정감록 예언과 십자가 파자 풀이 / 187

1. 경합하는 천년왕국적 미래상들 / 194

    북미의 복음주의적 천년왕국론

    정감록의 말세 예언

2. 로마 가톨릭의 십자고상 / 210

    18세기 조선 부연사들이 북경 천주당에서 본 십자가

    19세기 전반 북경 러시아 공관에서 본 십자고상

    辟邪紀實유포와 영아소동

3. 개신교의 붉은 십자기와 암호 해독 / 225

    천로역정과 십자가의 새 이미지

    정감록 예언의 기독교적 풀이, 1895-1905

    성 게오르기우스 십자가에서 예수기로

    국권 회복을 위한 십자기

4. 적십자의 일본 제국주의 이미지, 1904-1910 / 260

    일본의 적십자사병원과 간호부

    십자가에서 처형된 한국인 의병

결론 : 종교적 메시아와 정치적 메시아 / 271

 

제3장 : 성령 - 무교의 신령과 기독교 축귀 / 277

1. 귀신 숭배에 대한 선교사의 우상 파괴적 태도 / 283

    수용한 전통 : 귀신 숭배 금지

    거행한 의식 : 주물 불태우기와 당집 파괴

    이론 적용 : 귀신을 이긴 세균론

2. 한국 샤머니즘에 관한 개신교 선교사의 연구 / 297

    조지 하버 존스

    엘리 바 랜디스

    제임스 게일

    호머 B. 헐버트

    호레이스 G. 언더우드

3. 귀신들림과 기독교 축귀 의식 / 320

    산동에서 존 네비어스와 귀신들림

    한국에서 기독교 축귀 의식

    축귀하는 전도부인

    귀신들림에 대한 전근대적 관점 수용

결론 : 실천적 은사지속론과 샤머니즘의 공생 / 337

 

제4장 : 조상 - 유교 제사와 기독교 추도회 / 345

1. 한국 유교의 제사 / 353

2. 한문 소책자의 제사 금지 변증론 / 357

    매드허스트의 淸明掃墓之論(1826)

    네비어스의 祀先辨謬(1859)

3. 중국 개신교의 선교대회와 제사 금지 정책 / 366

    1877년 상하이 선교대회와 제사 문제

    1890년 상하이 선교대회

    1907년 백주년 선교대회

4. 내한 선교사들의 제사 금지 정책 / 374

    제사 금지 이론과 이유

    제사 금지 정책

    1904년 선교 20주년 대회와 신중론

5. 한국교회 반응과 한국인의 효도 신학 / 386

    제사 폐지와 박해 안내

    원시 유교 천제론과 기독교-유교 공존론

    제사 폐지 변증론과 조상 구원의 문제

6. 기독교 상례와 토착적인 추도회의 발전 / 403

    상례의 발전

    사회 추도식과 기독교식 단체 추도회

    가정 추도회의 발전

결론 : 효도신학과 추도회의 창출 / 415

 

제5장 : 예배당 - 근대성과 토착성의 조화 / 423

1. 수용 : 세 가지 통로에 따른 다양한 양식의 수용과 정착 / 426

    미국 : 고딕 복고 양식과 로마네스크 복고 양식

    만주 : 중서(中西) 절충형과 ㄱ자형

    산둥 : 예배당의 자급 원칙

2. 성장 : 예배 공간의 양적, 지리적 확산 과정과 특징 / 439

    양적 확산 : 전쟁과 부흥운동의 영향

    지리적 확산 : 서북 지역의 우세

3. 발전 : 대표적인 예배당들의 건축 과정과 특성 / 444

    황해도 장연군 소래교회

    평양 장대현교회

    전주 서문밖교회

    서울 정동제일교회

    원산감리교회, 1903

4. 외형 특징 / 477

    규모 : 자급형

    위치 : 풍수, 묘지, 성황당과의 갈등

    양식 : 한양 절충식으로 전통과 근대를 통합함

    형태 : ‘자형, ‘자형, ‘자형의 공존

    십자기 : 교권과 교폐의 갈등

    주련

5. 내부 특징 / 503

    휘장과 병풍 : 남녀 좌석의 분리

    양반석과 백정석 : 신분 분리가 교회 분리로

결론 : 개신교 근대성과 토착성의 병존 / 509

 

제6장 : 서적 - 한문 문서와 한글 번역 / 515

1. 동아시아의 기독교 인쇄 문화와 선교사들의 그물망 관계 / 519

2. 초기 한국 기독교인 지식인층 / 522

    지적인 중산층

    양반층의 개종

    한성감옥 도서관의 한문 기독교 서적과 양반층의 집단 개종

3. 한국에서 사용된 한문 성경 / 541

    대표자 역본과 한글 성경

    국한문 병용본과 국한문 혼용체본

4. 한국에서 사용된 한문 소책자 / 556

    번역 없이 보급된 한문 전도문서와 서적

    한글로 번역된 한문 전도문서

    한문 전도 책자의 메시지

5. 찬송가 : 번역의 토착화 / 594

    중국 찬송의 번역

    한국 찬송가 : 불교 용어의 사용

결론 : 우상 파괴론과 성취론의 공존 / 605

 

제7장 : 부흥 - 평양과 선도와 새벽기도 / 609

1. 19세기말 민간 종교와 선도 / 613

2. 청일전쟁과 평양 선도인들의 개종 / 622

    평양의 첫 기독교인들

    선도인들의 개종

3. 길선주의 개종 : 도교의 사적 구원에서 기독교의 공적 구원으로 / 633

    개종 동기

    개종 과정

4. 길선주의 새벽기도 : 개인 기도에서 공동체 기도로 / 647

    개인 아침 묵상, 신경

    장로교회 사경회에서 새벽기도회 시작

    감리교회 부흥운동과 새벽기도회

    길선주의 새벽기도회

5. 길선주의 평양 부흥회 : 부흥의 주역이 선교사에서 한국인 목회자로 / 664

    길선주의 부흥 설교와 영성

    모국어 설교와 한국인 지도자들의 부상

    통감부의 계몽과 선교사들의 계몽

6. 길선주의 서울 부흥회 : 교회의 무게 중심이 서울에서 평양으로 / 676

결론 : 대부흥의 해석사 / 681

 

결론 : 한국적 기독교의 토착화 / 691

1. 태평양 횡단 확산 : 북미 복음주의의 전파 / 695

2. 황해 횡단 확산 : 중국 개신교의 수용 / 698

3. 한국 종교와 혼종 : 한국 개신교 형성 / 701

 

참고문헌 / 713

색인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