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약어표
제1부. 몰트만 신학이해를 위한 길잡이
I. 어떤 저서들이 중요한가?
II. 누가 몰트만 신학에 영향을 끼쳤는가?
1. 몰트만 신학의 기원의 문제
2. 정체성과 상황 적합성
3. 바르트와 블로흐
4. 괴팅겐의 신학자들
5. 오토 베버
6. 네덜란드의 사도직 신학
7. 이반트
8. 볼프
III. 그의 신학은 얼마나 에큐메니컬한가?
IV. 셋이 한 쌍을 이루는, 세 저서의 요지는?
V. 『희망의 신학』 이전(19-20세기)의 종말론 역사?
1. 19세기의 꿈
2. 바이스와 슈바이처
3. 제1, 2차 세계대전 : 칼 바르트와 루돌프 불트만
4. 다드의 실현된 종말론과 쿨만의 구속사적 종말론
5. 미래 종말론
6. 샤르댕의 우주적 종말론
VI. 몰트만 종말론의 특징들은 무엇인가?
1. 기독론적 종말론
2. 통전적 종말론
3. 구속적 종말론
4. 과정적 종말론
5. 하나님(삼위일체 하나님) 중심적 종말론
6. 상황적 종말론
7. 정치적 목양적 책임을 촉구하는 종말론
VII. 전천년, 후천년 그리고 무천년 왕국설의 문제점은?
1. 전천년 왕국설
1) 역사
2) 요지
2. 후천년 왕국설
1) 역사
2) 요지
3. 무천년 왕국설
1) 역사
2) 요지
제2부. 몰트만 저서들의 요약
I. 희망의 신학(1964)
1. 들어가는 말
2. 내용
1) 제I장 종말론과 계시
2) 제II장 약속과 역사
3) 제III장 부활과 예수 그리스도의 미래
11. 의의 미래
12. 생명의 미래
13. 하나님 나라와 인간의 자유의 미래
4) 제IV장 종말론과 역사
8. 기독교적 선교의 해석학
1) 선교와 해석학
(a) 사도직의 해석학
5) 제V장 출애굽의 교회
II. 십자가에 달리신 하나님(1972)
1. 들어가는 말
1) 그리스도의 수난
2) 사랑의 본성
3) 인간이 당하는 고난의 문제
2. 내용
1) 제I장 기독교 신앙의 정체성과 현실 적합성
2) 제II장 십자가에 대한 잘못된 해석들에 항의하는 십자가
1. 교회 안에 있는 비종교적 십자가
2. 십자가에 대한 제의(祭儀)
3. 십자가의 신비
4. 십자가의 길
5. 십자가의 신학
3) 제III장 예수님에 대한 질문들
1. 예수님은 참 하나님이신가?
2. 예수님은 참 인간이신가?
3. 오실 그이가 당신이오니이까?
4. 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
4) 제IV장 예수님의 역사적 재판
1. 예수님과 율법 : 불경스러운 자
2. 예수님과 권위 : 반역자
3. 예수님과 하나님 : 하나님께 버림받은 자
5) 제V장 예수 그리스도의 종말론적 재판
1. 종말론과 역사
2. 죽은 자들로부터 예수님의 부활
3. 부활하신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의미
4. 십자가에 달리신 그리스도라고 하는 징표에서 보인 하나님의 미래
6) 제VI장 십자가에 달리신 하나님
III. 성령의 능력 안에 있는 교회(1975)
1. 들어가는 말
2. 내용
1) 제I장 오늘날 교회론의 제차원들
2) 제II장 역사 속에 있는 교회
3) 제III장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
4) 제IV장 하나님 나라의 교회
5) 제V장 성령의 현존 안에 있는 교회
1. 하나님 나라의 성례로서 성령의 파송
2. 복음
3. 세례
4. 성만찬
5. 예배
6. 메시아적 삶의 스타일
6) 제VI장 성령의 능력 안에 있는 교회
1. 성령의 과정 속에 있는 공동체
2. 공동체에 주어진 위탁과 공동체 내의 임무들
3. 교제로서 교회형태
IV. 삼위일체와 하나님의 나라(1980)
1. 들어가는 말
2. 내용
1) 제I장 오늘날의 삼위일체론
2) 제II장 하나님의 수난
3) 제III장 아들의 역사
1. 삼위일체론적 해석학
2. 아들의 파송
1) 예수님의 세례받으심과 소명
2) 아들의 파송
3) 삼위일체의 형식
3. 아들의 버림받으심
1) 예수님이 수난
2) 아들의 버림받으심
4. 아들의 승귀
1) 예수님의 죽은 자들로부터 부활하심
2) 아들을 계시함
3) 아들을 통한 창조적 성령의 파송
5. 아들의 미래
6. 개방된 삼위일체의 변형들
4) 제IV장 삼위일체 하나님의 세계
1. 구원사건과 창조신앙
1) 출애굽 경험과 메시아적 희망
2)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과 성령에 대한 경험
2. 아버지의 창조
1) 세계의 우연성
2) 하나님의 자기제약
3. 아들의 성육신
1) 하나님은 왜 인간이 되셨나?
2) 하나님의 자기비움(kenosis)
3) 독생자, 많은 형제 중 맏형
4) 삼위일체적 성육신
4. 성령의 변형시키심
1) 부활과 성령의 부어짐
2) 영광의 시작
3) 주체로서의 성령
4) 삼위일체적 영화롭게 되심
5) 제V장 삼위일체의 신비
2. 송영론적 삼위일체
1) 구원의 경세와 송영
2) 구원에 대한 역사적 경험
3)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세적 삼위일체의 관계
3. 내재적 삼위일체 하나님
1) 삼위일체 하나님의 구성
(a) 아버지는 누구신가?
(b) 아들은 누구신가?
(c) 성령은 누구신가?
2) 삼위일체적 하나님의 삶
(a) 위격과 관계
(b) 상호 침투적 사랑과 변형
3) 삼위일체 하나님의 일체성
4. 성령은 성부로부터 나오시고 ‘또한 성자로부터’(filioque) 나오시는가?
1) filioque에 대한 논의의 역사
2)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조와 그것의 신학적 해석
3) 아들의 아버지로부터 성령의 발출
4) 성령이 아들로부터 무엇을 받는가?
5. 유일무이성을 지닌, 삼위일체의 원리
6) 제VI장 자유의 나라
1. 정치적 유일신론과 성직상 유일신론에 대한 비판
2. 삼위일체론적 하나님 나라 교리
3. 삼위일체론적 자유 교리
1) 여러 형태의 인간의 자유들
2) 삼위일체 하나님과 자유
3) 삼위일체 하나님의 나라 안에 있는 자유
V. 창조세계 안에 계신 하나님(1985)
1. 들어가는 말
2. 내용
1) 제I장 창조세계 안에 계신 하나님
1. 하나님의 창조로서 자연에 대한 지식은 참여적 지식이다
2. 영광을 위한 창조세계
3. 창조의 안식일
4. 하나님 나라가 되기 위한, 창조세계의 메시아적 준비
5. 성령 안에서 창조
6. 하나님의 세계 안에 내재
1) 랍비적, 카발라적 Shekinah(내주) 교리
2) 기독교적 삼위일체교리
7. 상호 침투의 원리
8. 우주적 성령과 인간의 역사
2) 제II장 생태학적 위기
3) 제III장 창조세계에 대한 지식
1. 언약, 창조 그리고 하나님 나라
2. 자연신학
3. 약속과 예기(豫期)로서 이 세상
4. 이 세계에 대한 메시아적 지식
5. 성만찬적 공동체로서 창조세계
4) 제IV장 창조자 하나님
1.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2. 창조자가 되시려는, 하나님의 자기결단
3. 무로부터의 창조(creatio ex hihilo)
4. 삼위일체론적 창조 교리
1) 우주적 그리스도
2) 창조자로서 성령
5. 우주적 성령
5) 제V장 창조의 신앙
4. 하나님의 역사(歷史) 속에서의 시간의 경험
5. 섞어 짜여진, 역사의 시간들
1) 역사의 미래 시야에서 얻어지는, 역사의 경험
2) 현재의 과거의 역사화
3) 현재의 미래의 미래화
4) 역사적 시간의 동시화(synchronization)
5) 역사적 시간과 자연적 시간의 동시화
6) 제VI장 창조세계의 공간
1. 생태학적 공간개념
2. 동질적인 공간개념
3. 공간들의 창조와 창조세계의 공간
4. 절대공간의 문제
7) 제VII장 하늘과 땅
1. 왜 창조세계는 이원적인 세계인가?
2. 자연의 하늘
3. 예수 그리스도의 하늘
4. 근대의 ‘하늘에 대한 비판’
5. 하나님의 영광은 ‘땅에서처럼 하늘에서도’
8) 제VIII장 창조세계의 진화
1. 인간-창조의 역사 속에 있는 피조물
2. 진화 혹은 창조? 잘못된 대립-진정한 문제는?
3. 자연에서 진화론적 배경
4. 계속적인 창조
9) 제IX장 창조세계 속에서의 하나님의 형상 : 인간
1. 인간의 본래 명칭(imago Dei)
2. 인간의 메시아적 소명(imago Christi)
3. 인간의 종말론적 영화(glorification)
4. 하나님의 형상인 동시에 죄인
5. 사회적 하나님 형상(Social Likeness To God)
10) 제X장 ‘체현(體現)은 모든 하나님의 창작물의 목적이다’
1. 영혼의 우선성
2. 영혼과 몸
1) 구약에서 몸적 사고
2) 몸과 영혼의 상호 침투적 모형
3) 영과 형태
4) 기대(anticipation)로서의 영
5) 의사소통으로서의 영
6) 삶의 긍정으로서 영
3. 건강과 병 가운데 있는 삶
11) 제XI장 안식일 : 창조의 축제
1. 창조의 완성
2. 창조세계에 대한 복 주심
3. 창조세계를 거룩하게 하심
4. 구속의 축제
5. 예수님과 안식일
6. 주일(Sunday) : 시작의 축제
VI. 예수 그리스도의 길(1989)
1. 들어가는 말
2. 내용
1) 제1장 메시아적 전망
1. 메시아 희망의 기원
2. 메시아상의 성장
1) 메시아
2) 인자(人子)
3. 메시아적 범주들
4. 기독론을 둘러싼, 유대교와 기독교의 대화
2) 제II장 기독론의 경향들과 변천들
1. 기독론의 정체성과 그것의 적합성
1) 성서적 주제로서 기독론
4. 과학기술 문명의 모순들 속에 있는 기독론
1) 오늘날의 종말론적 기독론의 주제와 구도
3) 제III장 그리스도의 메시아적 사명
1. 성령 기독론
2. 성량 안에서의 그리스도 탄생
1) 역사적 관점에서 보인, 성령 안에서의 그리스도 탄생
2) 신학적인 전망에서 보인, 성령 안에서의 그리스도 탄생
3. 그리스도의 성령세례
1) 세례자 요한과 갈릴리의 예수님
2) 성령의 자기비하 - 예수님의 성령받으심
4. 가난한 자들을 위한 하나님 나라의 복음
1) 자유의 복음
2) 하나님 나라와 새 창조
3) 가난한 자들의 존엄성
4) 회심을 통한 해방
5. 병든 자들의 치유-축귀
1) 치유와 축귀
2) 치유하는 신앙
6. 버림받은 자들의 용납-굴욕당한 자들의 높임
7. 메시아적 생활 방식
1) 기독교 윤리와 그리스도의 윤리적 지식
2) 메시아적 안식일
3) 메시아적 토라
4) 메시아적 평화
5) “칼을 쳐서 보습을 만들고”
8. 예수님-생성(生成)하는 메시아 인격(위격, person)
1) 예수님의 메시아적 위격
2) 예수님-하나님의 아이
3) 예수님-사회적 관계 속에 있는 위격
(1) 예수님과 그분의 여성, 남성과의 교제
(2) 예수님과 이스라엘 백성
(3) 예수님과 사람들
4) 예수 그리스도의 3차원적 위격
4) 제IV장 그리스도의 묵시적 고난
1. 세계역사의 묵시적 지평
2. 그리스도의 인간적 고난 : 예수님은 어떤 죽음을 죽으셨나?
1) 예수님의 재판
2) 메시아의 죽음
3) 하나님의 아이의 죽음
4) 유대인의 죽음
5) 노예의 죽음
6) 살아 있는 자의 죽음
3. 그리스도의 신적인 고난 - 하나님은 어디에 계신가?
1) 골고다 언덕의 신정(神正) 재판
2) 그리스도 포기의 신학
3) 하나님의 동반 수난(com-passion)
4. 그리스도의 고난으로부터 나온 의(義) - 그리스도는 왜 죽으셨나?
1) 그리스도의 역사의 목적
5. 그리스도의 고난에의 참여 - 오늘의 순교
6. 그리스도의 고난에 대한 기억
1) 그리스도의 기억과 하나님에 대한 생각
2) 심연으로부터의 절규
5) 제V장 그리스도의 종말론적 부활
1. 기독교적 부활신앙의 기원과 독특성
2. 역사와 그리스도의 부활 - 신학적인 문제
1) 신적 역사라는 범주
2) 실존적 역사라고 하는 범주
3. 그리스도의 부활과 역사 - 역사적 문제
1) 보편사라고 하는 범주
2) 역사적 기대의 지평과 역사적 경험의 영역
3) 부활의 역사적 과정
4. 자연과 그리스도의 부활 - 신학적인 문제
1) 성령으로부터 그리스도의 다시 태어나심
2) 유추에 대한 자연의 개방성
5. 그리스도의 부활과 자연 - 자연의 문제
1) 우주적 차원
2) 새 창조세계로의 ‘그리스도의 이월’(Chist's Transition)
3) 죽은 자들의 부활 - 몸의 부활 - 자연의 부활
6. 부활의 성령으로 살아나기 - 분리되었던 것의 연합
1) 몸과 영혼의 통일성
2) 시간 속에서 인격의 통일성
3) 인격과 공동체의 통일성
4) 세대계약 속에 있는 인류의 통일성
5) 인류문명과 자연의 통일성
6) 제VI장 우주적 그리스도
1. 더욱 크신 그리스도
1) 최근의 에큐메니컬 논의
2) 초기 기독교 전통
3) 세분화된 우주적 기독론
2. 그리스도 - 창조세계의 초석
1) 성령과 말씀을 통한 창조
2) 창조세계의 안전
3) 창조세계의 갱신
3. 그리스도 - 진화의 추진력인가, 그것의 희생물이신가?
4. 그리스도 - 진화의 구속자
5. 창조세계의 공동체는 율법에 근거한 공동체다
1) 인류와 자연의 화해
2) 율법에 근거한, 인간과 동물과 식물의 공동체
7) 제VII장 그리스도의 재림
1. 재림에 대하여 설명해야할 간단한 변명
2. 오시는 분
1) 하나님 자신
2) 주님
3) 메시아
4) 인자
5) 창조적 지혜
3. 주님의 날
1) ‘날들 중 마지막 날’ - 날들 중의 날
2) 원초적 순간과 종말론적 순간
3) Aeon - 피조물의 상대적 영원
4. 저리로서 산 자와 죽은 자를 심판하러 오시리라 - 하늘이라는 범주
5. “…산 자와 죽은 자를 심판하러…”
1) 정의를 창조하시는 하나님의 공의
2) 묵시적 보상법
3) 기독교적 진퇴양난
6. 기대되는 창조성 - 재림에 대한 기대와 긍정되는 구체화
VII. 생명의 영 : 보편적 긍정(1991)
1. 들어가는 말
2. 내용
- 제1부 성령의 경험들 -
1) 제I장 생의 경험과 하나님 경험
2) 제II장 성령에 대한 역사적 경험
1. 영 - 신적 생명 에너지
2. 자기 백성 안에 영으로 현존하시는 하나님의 현존
3. 하나님의 영과 그분의 Shekinah
4. 영에 대한 메시아적 기대들
3) 제III장 성령에 대한 삼위일체론적 경험
1. 하나님의 영의 그리스도 - 에수님의 영성
2. 그리스도의 성령 : 그의 백성의 공동체의 영성
3. 하나님의 영과 그의 아들 사이의 삼위일체론적 상호성
4. 희망과 슬픔 가운데 있는 성령의 기대
1) 적극적인 차원
2) 부정적인 차원
- 제1부 성령 안에 있는 생명
4) 제IV장 생명의 영
1. 영성인가 혹은 생명성인가?
2. ‘영’과 ‘육’의 갈등
3. 묵시적 갈등에 대한 영지주의적 오해
4. 새로운 생명성 : 죽음에 대항하는 생명
5) 제V장 삶을 위한 해방
1. 해방의 경험으로서 하나님 경험 : 출애굽과 부활
2. 근대의 양자택일 : 하나님이냐, 자유나?
1) 자유라고 하는 혁명적 원리
2) 라틴 아메리카의 해방신학
3. 삶으로 해방시키는 성령
1) 자유케 하는 신앙 : 주체성으로서의 자유
2) 자유케 하는 사랑 : 사회성으로서의 자유
3) 자유케 하는 희망 : 미래로서 자유
4) 하나님 경험으로서 자유에 대한 경험
6) 제VI장 삶에 대한 칭의
1. 죄인들에 대한 칭의 : 보편적인 칭의인가 혹은 특수한 칭의인가?
2. 피해자들을 위해서 정의를 창조하는, 하나님의 공의와 정의
3. 가해자들을 위한 하나님의 의롭다 하시는 공의와 정의
4. 구조악을 바로잡는 하나님의 공의와 정의
5. 심판자로서 성령
7) 제VII장 새로운 삶으로서의 중생(The Rebirth to Life)
1. 성서적 해석들
2. 조직신학에서의 논의
1) 중생은 칭의를 보충하여 완전케 한다.
2) 칭의는 중생이다
3) 중생한 사람들은 자신들을 맞이할 것으로부터 산다
4) 중생한 사람들은 장차 그들을 맞이할 것으로부터 산다
5) 중생은 그리스도의 부활을 현존시키고 영생을 개방한다
3. 개인적 중생경험 - 새로운 삶이 시작되다
4. 중생의 하나님 경험 - 생명의 어머니로서 성령
8) 제VIII장 삶의 성화
1. 루터와 웨실리에게서 이신칭의와 성화
2. 오늘날의 성화
3. 거룩하게 하시는 하나님
4. 거룩한 생명
5. 생명의 힘과 삶의 공간으로서의 성령
9) 제IX장 생명의 카리스마적 능력들
1. 새로운 삶의 카리스마적 생동성
2. 방언
3. 카리스마적 경험이 일깨우는 것
4. 병든 자들의 치유
5. 장애인의 삶이라는 카리스마
6. 누구나 그의 능력에 따라, 누구나 그의 필요에 따라
7. 에너지의 원천과 힘의 장(場)으로서의 성령
10) 제X장 신비경험의 신학
1. 행동과 명상
2. 명상과 자기 숙고
3. 자기숙고와 신비주의
4. 신비주의와 순교
5. 하나님 안에 있는 세계에 대한 비전
- 제3부 성령의 교제와 성령의 위격-
11) 제XI장 성령의 교제
1. 성령의 경험 - 교제의 경험
1) 교제의 삼위일체론적 개념
2) 유일신론적 교제개념
3) 과정으로서의 고제
4) 생명의 영과 의식
2. 성령의 교제 안에 있는 기독교
1) 성령과 말씀
2) 세대들의 공동체
3) 여성과 남성의 공동체
4) 행동 단체들
5) 자조(自助) 단체들
6) 교회의 사회적 형태들
3. 하나님에 대한 사회적 경험의 신학
1) 하나님 사랑 안에서 이웃 사랑과 자기 사랑
2) 병적인 자기중심벽과 사회 속의 자아분산
3) 열려 있는 우정
4) 사랑의 경험
5) 하나님에 대한 사회적 경험을 몸으로 표현하는 몸 언어
12) 제XII장 성령의 인격성(위격)
1. 성령의 경험을 표현하는 은유들
1) 인격적 은유들 : 주님 - 어머니 - 심판자
2) 형식적 은유들 : 에너지 - 공간 - 형태(Gestalt)
3) 운동 은유들 : 강한 바람 - 불 - 사랑
4) 신비적 은유들 : 빛 - 물 - 다산(多産)
2. 신적 영의 흐르는 인격성
3. 성령의 삼위일체론적 인격성
1)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군주론적 개념
2) 역사적 삼위일체 개념
3) 성만찬적 삼위일체 개념
4) 삼위일체론적 송영론
5)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조(381년)에, ‘그리고 아들에게서도’(filioque)가 첨가된 것은
꼭 필요한 것인가, 아니면 없어도 되는 것인가?
VIII. 오시는 하나님(1995)
1. 들어가는 말
2. 내용
1) 제I장 오시는 하나님 : 오늘날의 종말론
2) 제II장 영생 : 개인의 종말론
1. 사랑받는 삶과 죽음
2. 영혼불멸 혹은 몸의 부활
3. 죽음은 죄의 결과인가, 아니면 생명의 자연적인 끝인가?
4. 죽은 자들은 어디에 있는가?
3) 제III장 하나님의 나라 : 역사의 종말론
1. 역사의 묵시
10. 묵시적 종말론은 꼭 필요한가?
11. 만유의 회복
4) 제IV장 새 하늘과 새 땅 : 우주의 종말론
1. 창조 세계의 미래 : 인식과 하나님의 종말론적 내주
2. 세계의 멸절 혹은 그것의 완성?
3. 하나님의 영원성에서 끝나는 시간
1) 창조의 시간
2) 역사의 시간
4. 하나님의 현존 안에서 끝나는 공간
1) 창조세계의 공간
2) 하나님의 역사적 내주의 역사적 공간
3) 하나님의 현존 안에서의 공간의 성취
5. 우주적 성전 : 하늘의 예루살렘
1) 땅의 예루살렘과 하늘의 예루살렘
2) 예루살렘과 바벨론/로마
3) 하나님의 도성
4) 하나님의 백성들
5) 하나님의 우주적 내주(Shekinah)
5) 제V장 영광 : 하나님의 종말론
1. 하나님의 자기 영화롭게 하심
2. 하나님의 자기 실현
3. 하나님의 행동과 인간의 행동의 상호작용
4. 하나님의 충만과 영원한 기쁨의 축제
'[기타 자료실] > [도서 목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진 80년사 - 북간도의 샛별] - 대한민국 은진중학교동문회(도서출판 코람데오, 2002) (2) | 2021.04.23 |
---|---|
[우리가 버린 독립운동가들] - 손성진(개마고원, 2020) (0) | 2021.04.23 |
[안병무 평전 - 성문 밖에서 예수를 말하다] - 김남일(사계절, 2007) (0) | 2021.04.22 |
[세계교회사 전통에 비추어 본 한국 기독교사] - 김명배(북코리아, 2010) (0) | 2021.04.22 |
[사랑에 빚진자 최태섭] - 최태섭(아가페, 1995) (0) | 2021.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