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자료실]/[한국사]68

1884년 7월, 고종은 매클레이의 선교 제안을 허락했는가? 1884년 7월, 고종은 매클레이의 선교 제안을 허락했는가? 감리교, 아니 한국 선교 역사에서 1884년(갑신년) 7월 3일은 대단히 의미있는 날이다. 그날 고종이 한국에서의 교육과 의료 사업에 대한 선교 의향서를 제출한 매클레이에게 김옥균을 통해서 허락한 날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그 시작은 미국과 수교를 한 고종이 미국 보낸 사절단(보빙사)에서 출발한다. 보빙사로 미국에 도착한 민영익 일행은 1883년 9월 12일 미국 대통령을 만나기 위해 워싱턴DC로 가던 중 기차 안에서 가우처 박사를 만나게 된다. 당시 가우처 박사는 아시아 선교에 대단히 관심이 많았고, 민영익 일행과의 대화를 통해서 한국선교가 가능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는 당시 일본에서 선교활동을 하고 있는 매클레이(R. S. Macla.. 2025. 7. 11.
[조선 후기] 정약용 집안의 가계도와 천주교 박해 [조선 후기] 정약용 집안의 가계도와 천주교 박해 한국 천주교의 역사를 살펴보려면 정약용의 집안을 들여다보아야 한다. 정약용의 어머니인 윤씨부인은 ‘진산사건’의 윤지충의 고모가 된다. 윤지충이 모친상을 천주교식으로 치른 후 제사를 폐한 것으로 인하여 최초로 천주교에 대한 박해가 일어났다(신해박해, 1791년). 정약용의 누이는 천주교의 첫 세례자인 이승훈과 결혼을 하였다. 그리고 정약용의 이복형으로 큰 형인 정약현의 처남이 천주교 교리를 공부하던 이벽이었다. 정약현의 첫째 사위인 황사영은 유명한 황사영의 백서사건의 주인공이고 그 사건으로 인해서 신유박해(1801)가 일어나 정약용의 형인 정약전은 신지도(후에 흑산도)로 유배를 가게 되었고, 정약종은 순교하였다. 이후 정약종의 아들인 정하상과 정정혜, 그리.. 2025. 7. 10.
【단기고사(檀奇古史)】에 등장하는 고조선 역대 군주 목록 【단기고사(檀奇古史)】에 등장하는 고조선 역대 군주 목록 아래의 자료는 【단기고사(檀奇古史)】에 등장하는 군주 목록을 정리한 것이다.  【단기고사(檀奇古史)】는 발해의 시조 대조영의 아우 대야발이 기록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보다 후대에 쓰여진 위서라는 주장도 있다.  전단군조선과 후단군조선의 군주 목록은 【환단고기】와 비교하여 약간의 오차가 있지만 대체로 일치하며, 【규원사화】의 기록과는 재위기간이 다르지만 목록의 순서에는 거의 차이가 없다. 각 군주의 이름을 클릭하면 자세한 설명을 볼 수 있다. 【제1편 전단군조선】  이름단기고사 재위기간규원사화 재위기간 (즉위년도)제1세단군왕검(檀君王儉)93년93년 (기원전 2333년 즉위)제2세부루(扶婁)58년34년 (기원전 2240년 즉위)제3세가륵(嘉勒)45년.. 2024. 7. 25.
[신라 3대 국왕] 유리이사금(儒理尼師今, 24~57) [신라 3대 국왕] 유리이사금(儒理尼師今, 24~57) 재위 : 기원후 24년 ~ 57년 출생 : 기원후 ?년 사망 : 기원후 57년 유리이사금(儒理尼師今) 또는 노례이사금(弩禮尼師今)은 신라의 제3대 국왕으로 남해차차웅의 태자이며 어머니는 운제부인(雲帝夫人)이고, 박혁거세의 손자이다. 왕후는 일지(日知) 갈문왕(葛文王)의 딸, 혹은 허루왕(許婁王)의 딸 박씨라는 설이 있지만, 삼국유사에 나오는 사요 갈문왕의 딸일 가능성이 높다. 아들 둘을 두었다. 다른 이름으로는 노례(弩禮), 치리(治理), 치리(齒理), 치리적(治理赤) 등이 있다. 삼국유사에서는 노례이다. 24년부터 57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24년부터 43년까지 친정하였고 43년부터 57년 붕어할 때까지 매제 석탈해(훗날 탈해이사금)가 대보의 신분으.. 2022. 4. 9.
[신라 2대 국왕] 남해차차웅(南解次次雄, 4~24) [신라 2대 국왕] 남해차차웅(南解次次雄, 4~24) 재위 : 기원후 4년 ~ 기원후 24년 출생 : 기원후 50년 사망 : 기원후 24년 남해차차웅(南解次次雄)은 신라의 2대 국왕으로, 혁거세왕과 알영부인의 적자이다. 이름은 남해(南解), 다른 이름은 민해(愍海)이다. 그의 칭호에 대하여는 국왕이면서 동시에 제사장 역할을 했다는 설이 있다. [차차웅] “차차웅”이라는 왕호에 대해서 《삼국사기》는 김대문을 인용하여, “차차웅 혹은 자충(慈充)은 무당을 이른다. 세상 사람들이 무당이 귀신을 섬기고 제사를 받들기에, 그를 외경해 마침내 존귀한 어른을 일컬어 자충이라고 하게 되었다.”고 전하며, 이는 신라가 초기에는 샤머니즘의 사회였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이태진 교수는 “차차웅”은 가가웅으로도 읽을 수 있으며.. 2022. 4. 9.
[신라 1대 국왕] 혁거게 거서간(赫居世 居西干, BC 57 ~ AD 4) [신라 1대 국왕] 혁거게 거서간(赫居世 居西干, BC 57 ~ AD 4) 재위 : 기원전 57년 4월 28일 ~ 기원후 4년 3월 출생 : 기원전 69년 3월 1일 사망 : 기원후 4년 3월 신라의 초대 국왕. 삼국유사에는 불구내(弗矩內)라고도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삼국사기》에서는 혁거세 거서간 전용으로 쓰이며, 《삼국유사》에서는 박혁거세뿐만 아니라 2대 남해 차차웅도 남해 거서간이라고 했다. 초기에 잠깐 쓰였고 이후 중국의 영향을 받아 왕(王) 칭호를 쓰기 전까지 이사금, 마립간이라는 새로운 왕호를 사용하게 된다. 의미는 진한 말로 임금, 혹은 존귀한 사람을 칭하는 말이라고 한다. '간(干)' 자는 우두머리를 뜻하는 중앙아시아 유목민족의 호칭 가한과 관련이 있다고 보기도 한다. [기원전 69년] .. 2022. 4. 9.
백제 역대왕 계보 정리 [이미지] 백제 역대왕 계보 정리 [위키피디아를 참조하여 만들었습니다] 2022. 4. 8.
백제 역대왕 가계도 백제 역대왕 가계도 [각각의 국왕의 이름을 클릭하면 세부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1] 온조왕 BC18~AD28 [2] 다루왕 28~77 [3] 기루왕 77~128 [4] 개루왕 128~166 [5] 초고왕 166~214 [8] 고이왕 234~286 [6] 구수왕 214~234 [9] 책계왕 286~298 [7] 사반왕 234 [11] 비류왕 304~344 [10] 분서왕 298~304 [13] 근초고왕 346~375 [12] 계왕 344~346 [14] 근구수왕 375~384 [15] 침류왕 384~385 [16] 진사왕 385~392 [17] 아신왕 392~405 [18] 전지왕 405~420 [19] 구이신왕 420~427 [20] 비유왕 427~455 [21] 개로왕 455~475 [22] 문주.. 2022. 4. 8.
[백제 31대 국왕] 의자왕(義慈王, 641~660) [백제 31대 국왕] 의자왕(義慈王, 641~660) 재위 : 641년 ~ 660년 출생일 : 미상 사망일 : 660년 의자왕(義慈王)은 백제의 제31대, 마지막 국왕이다. 이름은 부여의자(扶餘義慈)며 망국의 군주이기 때문에 시호를 받지 못했다. 어린 시절, 우애가 깊어 해동증자(海東曾子)라 일컬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말년에 방탕과 실정으로 나ㆍ당 연합군의 공격을 받음으로써 초대 온조왕으로부터 이어진 백제는 완전히 멸망하였고, 의자왕을 비롯한 왕족들과 수많은 백성들은 당나라 낙양으로 끌려갔다. [615년] 아들 부여융이 태어나다 [632년] 무왕 33년 정월에 태자로 책봉되었다. [641년] 3월 무왕이 죽자 뒤를 이었고, 당으로부터 주국(柱國) 대방군왕(帶方郡王) 백제왕으로 책봉되었다. 《삼국사기》에는.. 2022. 4.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