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전후사 인식의 방향 - 강만길
1. 해방의 국제관계적 위치문제
2. 해방의 민족사적 단계문제
3. 분단체제의 객관적 인식문제
4. 통일지향적 역사인식 문제
[1]
8ㆍ15 직후 정치지도자들의 노선비교 - 김광식
1. 머리말
2. 8ㆍ15 이전의 활동
1) 임시정부와의 관계
2) 공산주의운동과의 관계
3) 8ㆍ15 당시의 위치
3. 8ㆍ15 이후의 상황에 대한 인식
1) 8ㆍ15에 대한 인식
2) 현단계에 대한 규정
(1) 부르즈와민주주의혁명단계론
(2) 연합성 신민주주의
4. 인식과 실천의 귀결
5. 맺는말
건국준비위원회의 조직과 활동 - 홍인숙
1. 기존연구에 대한 검토
2. 조직과정과 활동상황
3. 중앙조직 간부의 사회적 성격
4. 중앙조직 간부의 정치적 성격
1) 이데올로기의 지향점
2) 친일파처리안
3) 토지개혁정책
4) 단독정부수립노선에 대한 태도
5. 현대정치사에서 건국준비위원회의 의미
박헌영과 8월테제 - 김남식
1. 배경
2. 8월테제의 내용
1) 현정세
(1) ‘조선의 해방’은 연합국의 승리에 의하여 실현
(2) 조선민족은 자기비판을 해야 한다
(3) 국제정세는 사회주의에 유리한 방향으로 전개되다
2) 조선혁명의 현단계
(1) 부르즈와민주주의혁명의 단계
(2) 사이비 혁명가 및 반동적 정치노선과의 투쟁전개
3) 조선공산주의운동의 현상과 결정
(1) 일제하 공산주의운동의 기본결함과 전향파의 산출
(2) 장안파에 대한 비판과 콤그룹
4) 우리의 당면임무
(1) 대중운동의 전개
- 노동자투쟁의 지도와 그 조직화
- 농민운동의 전개
- 청년운동의 전개
- 여성운동의 전개
- 문화단체운동
- 소비조합운동
- 실업자운동
(2) 조직사업
(3) 옳은 정치노선을 위한 양면전선 투쟁의 전개
(4) 프롤레타리아의 헤게모니를 위한 투쟁전개
(5) 인민정권을 위한 투쟁을 전국적으로 전개
5) 약간의 이론문제 - 혁명이 높은 단계로 전환하는 문제
3. 그 전개
제1공화국과 친일세력 - 임종국
1. 머리말
2. 제1공화국에서의 친일인맥
1) 총리
2) 행정부
내부부, 재무부, 법무부, 국방부, 문교부
농수산부, 상공부, 부흥부, 사회부, 체신부
3) 친일파 소생의 이유
4) 제헌국회
김동원, 김상돈, 백관수, 서순영, 유준상, 이재학, 이종린
5) 제2대 국회
곽의영, 김명수, 김의준, 남송학, 박순천,
박승하, 서범석, 신용욱, 안용대, 엄상섭,
윤길중, 윤성순, 이석기, 이용설, 이종린,
이종욱, 이종형, 이채오, 임흥순, 최병주
6) 제3대 국회
강세형, 곽의영, 김달호, 김상돈, 김선태,
김의택, 박용익, 신용욱, 윤성순, 윤형남,
이재학, 이태용, 인태식, 임우영, 임흥순,
장경근, 조재천, 한동석, 한희석, 현석호
7) 제4대 국회
강종무, 계광순, 곽의영, 김상돈, 김선태,
김원태, 김장섭, 박충모, 서범석, 안용대,
윤성순, 윤형남, 이민우, 이익홍, 이재학,
이종준, 인태식, 임문석, 장경근, 정낙훈,
정운갑, 조재천, 주요한, 진형하, 황숙현
8) 사법부
고재호, 김갑수, 김동현, 김두일, 김세완,
김익진, 백한성, 양대경, 이우식, 한격만,
한상범, 허진
3. 좌파의 친일인맥
1) 반만항일전선의 형성
2) 일제의 토벌작전
3) 친일 간도협조회
4) 선내(鮮內) 좌파의 친일전향
5) 해방 후 좌파의 친일인맥
(1) 건국준비위원회
여운형, 양재하, 이용설, 정구충, 최익한
(2) 조선인민공화국
여운형, 최익한, 김성수
(3) 조선문학가동맹
김남천, 김오성, 박세영, 안함광, 안회남
이기영, 이동규, 이원조, 이태준, 임 화,
정지용, 한설야, 한 효
4. 맺음말
[2]
남북분단의 민족경제사적 위치 - 박현채
1. 문제의 제기
2. 미군정기의 우리 역사에서의 위치
3. 전후상황에 대처하는 주체적 힘
4. 전후 미군정과 그 귀결
1) 미군정의 의도
2) 미군정의 귀결과 그 구체적인 정책
5. 맺음말
미군정하 농업과 토지개혁정책 - 황한식
1. 머리말
2. 토지소유의 실태와 토지문제
1) 일제하 토지문제의 전개
2) 미군정하 토지소유실태와 토지문제
3. 미군정의 토지정책
1) 3ㆍ1제소작료 시책
2) 남한 과도입법의원의 토지개혁법안
3) 신한공사의 전일본인소유지 관리와 미군정의 토지분배
4. 맺음말 - 미군정의 토지정책의 성격
농지개혁과정에 나타난 실증적 연구 - 충남 서산군 근흥면의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 장상환
1. 머리말
1) 연구의 목적
2) 기존 연구의 검토
3) 연구과제 및 연구방법
2. 농지개혁의 배경
1) 농민의 토지개혁 요구
2) 북한의 토지개혁
3) 미군정의 토지정책
(1) 소작료 3ㆍ1제 실시
(2) 귀속농지의 분배
(3) 미군정 토지정책의 기본성격
3. 농지개혁 이전의 소작지 방매
1) 일반적 상황
2) 근흥면지역에서의 소작지 방매
(1) 해방 직후의 토지소유 관계
(2) 소작지 방매규모
- 재촌ㆍ부재지주별 방매규모
- 소유규모별 방매규모
- 시기별 방매규모
(3) 소작지 방매계기 및 방매조건
- 소작지 구입의 계기
- 구입가격
4. 농지개혁과 지주적 토지소유 해체
1) 농가실태조사
2) 농지의 매수와 분배
(1) 분배농지의 확정
(2) 농지분배의 규모
3) 농지개혁에 의한 토지소유 변화
(1) 지주ㆍ일반농가별 토지소유변동
(2) 지주계급의 소멸
(3) 로렌츠곡선에 의한 토지소유 불평등도 변화추이
(4) 소유규모별 농가호수분포의 변동
(5) 자소작지별 변동
4) 농지위원회의 구성과 활동
(1) 농지위원회의 구성
(2) 농지위원회의 활동
5) 분배농지대가의 상환
6) 농지가격의 보상
7) 농지개혁 후 분배농지의 이동
5. 맺음말
9월총파업과 노동운동의 전환 - 성한표
1. 머리말
2. 미군정의 조합주의 강요와 全評(전평)
1) 자생적 변화 부인한 미군정
2) 민주주의적 노동조합의 장려
3) 全評의 고민
3. 전환의 진통 - 9월총파업
1) 총파업의 발단 - 철도파업
2) 총파업의 확산 - 대중봉기
4. 맺는 말 - 대한노총의 진출
[3]
해방직후 지식인의 민족현실 인식 - 임헌영
1. 앞머리에
2. 지식인계층의 구성과 기능
3. 이념과 역사인식의 자세
4. 정치체제에 대한 견해
5. 부르즈와민주주의론
6. 미군정에 대한 견해
7. 삼상회담의 문제와 행방
8. 좌우합작운동과 지식인
9. 분단극복을 위하여
10. 맺는말
해방공간의 문학 - 지식인작가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 김윤식
1. 봉황각의 자기비판
2. 전국문학자대회의 표정
3. 정치우위론ㆍ정치문학대동론과 순수ㆍ비순수론의 차원의 틀림
4. 지식인작가의 내면풍경
1) 「도정」 - 사상운동가의 행동선택
2) 「해방전후」 - 순수문학자의 사상선택
3) 「속 습작실에서」 - 미미한 변화, 문학적 변모
4) 「역로」 - 풍자와 냉소주의
5. 해방공간의 역사철학적 과제
미군정의 교육정책 - 이광호
1. 머리말
2. 군정에 의한 미국의 대한교육정책
1) 현상유지로서의 정책
(1) 교육문제의 당면과제 해결
(2) 교육재건에 대한 원조계획
2) 구체적 교육개혁으로의 전환
(1) 교육조사단의 내한
(2) 교사양성과 재교육
3. 교육주도세력의 형성과 갈등
1) 교육주도세력의 형성과정
2) 교육주도세력의 정치ㆍ사회적 성격
(1) 정치적 성격
(2) 사회적 성격
3) 교육주도세력의 갈등
4. 교육사적 평가
『해방전후사의 인식 2』를 내면서
'[기타 자료실] > [도서 목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방전후사의 인식 제4권] - 한길사 (1989) (0) | 2021.04.14 |
---|---|
[해방전후사의 인식 제3권] - 한길사 (1987) (0) | 2021.04.14 |
[해방전후사의 인식 제1권] - 한길사 (개정3판, 2004) (0) | 2021.04.14 |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35권] 교육운동 - 김형목 (0) | 2021.04.14 |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34권] 국학운동 - 박걸순 (0) | 2021.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