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해방8년사의 총체적 인식 - 최장집ㆍ정해구
1. 머리말
2. 일제지배와 한국사회의 균열
3. 해방과 분단
1) 전후 세계의 재편과 한반도에서의 미국의 정책
2) 남한에서의 혁명과 반혁명
(1) 해방 정국에서의 혁명과 반혁명의 구조와 성격
(2) 미군정과 좌익세력 사이의 정치적 갈등의 전개
(3) 민중투쟁의 전개
3) 남한에서의 분단정권의 수립과 무장투쟁
4) 북한에서의 혁명과 민주기지 노선
4. 한국전쟁
1) 한국전쟁의 배경과 원인
2) 한국전쟁의 전개과정
(1) 제1국면
(2) 제2국면
(3) 제3국면
(4) 제4국면
3) 한국전쟁의 결과와 영향
5. 맺음말
[2]
8ㆍ15 이후 좌ㆍ우익 청년단체의 조직과 활동
1. 머리말
2. 8ㆍ15 직후 한국 사회와 청년단체의 형성 배경
1) 8ㆍ15 직후 정치투쟁의 구도
2) 미군정의 현실인식과 대한정책
3) 청년단체 형성의 사회적 기반
3. 좌ㆍ우익 청년단체의 계보와 전개과정
1) 좌익 청년단체
2) 우익 청년단체
4. 주요 청년단체의 조직과 활동
1) 좌익 청년단체
(1) 전국청년단체총동맹
(2) 조선민주청년동맹
(3) 조선민주애국청년동맹
2) 우익청년단체
(1) 대한민주청년동맹
(2) 조선민족청년단
(3) 서북청년단
5. 맺음말
분단의 구조화 과정과 한국전쟁 - 김명섭
1. 머리말
2. 분단의 구조화 과정과 한국전쟁에 대한 이론적 모색
1) 초기의 외인론과 외인론 I
2) 내인론(복합론 I)
3) 복합론 II와 외인론 II
3. 한반도문제를 둘러싼 국내외 정치정세
1) 전후 국제정세와 한반도에 대한 미ㆍ소의 입장
2) 국내 주요 정치세력들간의 갈등
4. 잠정분단적 양축구조의 형성과 한국전쟁의 배경
1) 남북한 단정의 수립과 이승만정부의 위기
2) 남북한의 통일노선과 1950년 6월 25일
(1) 남북한의 통일노선
(2) 1950년 6월 25일의 의미
5. 전쟁의 확대와 쌍방체제의 교차적 지배
1) 북한에 의한 통일구조 형성기
2) 유엔군에 의한 통일구조 형성기
6. 새로운 분단선의 획정과 분단구조의 고착화
1) 소모전의 전개와 새로운 분단선의 확정
2) 분단구조의 고착화
7. 맺음말
[3]
1948~50년 남한내 빨치산 활동의 양상과 성격 - 김남식
1. 머리말
2. 남로당의 비합법활동과 무장투쟁전술의 배합
1) 초기 무장조직으로서의 야산대
2) 유격투쟁으로의 이행과 전구의 형성
3) 비합법활동
3. 유격투쟁의 본격적 전개
1) 조국전선의 결정
2) 9월 공세
4. 유격투쟁의 약화
5. 유격투쟁의 성격과 평가
6. 맺음말
4ㆍ3민중항쟁의 전개와 성격 - 고창훈
1. 머리말
2. 해방공간의 일반 상황
3. 제주지역의 역사적 전통과 상황적 맥락, 그리고 민중의 대안
1) 제주지역의 역사적 전통
2) 해방공간의 제주지역 상황
3) 제주 민중의 대안 : 자치정부의 구성과 자주교육의 운용
4. 민중의 평화항쟁(1947.1~1948.2)
1) 3ㆍ1평화항쟁의 전개와 내용
2) 평화항쟁과 민중과 미군정의 대립
5. 민중의 자주항쟁
1) 제주지역의 상황과 4ㆍ3자주항쟁의 결행
2) 4ㆍ3자주항쟁의 발발과 민중과 미군정의 대결(1948.4)
6. 자주항쟁의 전개와 민중의 대응
1) 자주항쟁 전개의 시기구분
2) 민중ㆍ남로당과 미군정의 대결시기(1948.4~1948.8)
(1) 남로당의 대응과 민중과의 연대투쟁 : 4ㆍ15도당대회 전후
(2) 미군정의 의도와 전략 : 4ㆍ28평화회담 결렬
(3) 민중의 통일정부 투쟁과 미군정의 공격 : 5ㆍ10단선을 중심으로
(4) 항쟁의 성격 변화와 민중의 갈등 : 두 정부의 출범을 중심으로
7. 미국과 단독정부의 제주도 대토벌 정책과 민중대학살
1) 제주도 대토벌 정책의 원인과 배경
(1) 단독정부의 정통성 확립과 대토벌 정책의 감행
(2) 민중 대학살의 감행과 실상
8. 항쟁의 성격과 함의
1) 항쟁의 성격
2) 항쟁의 함의
9. 맺음말
[4]
1948~53년 문교정책의 이념과 특성 - 한준상ㆍ정미숙
1. 머리말
2. 안호상과 백낙준 문교장관의 문교정책적 특성
1) 안 장관과 백 장관의 발탁 과정
2) 두 장관의 문교정책 비교
3. 정부수립 초기(1948~50년 초) 민족교육의 허구
1) 지배집단의 구조적 취약성과 일민주의
2) 안호상의 문교정책적 골격
3) 일민주의 교육과 학도호국단
4. 한국전쟁기의 전시교육정책
1) 한국전쟁기의 교육상황
2) 전시교육의 국가통제
3) 전시교육의 내용과 이념
4) 전시 대학교육의 문제점
5. 맺음말
해방 이후 문장투쟁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 - 임헌영
1. 머리말
2. 8ㆍ15 직후 문학운동의 변모
3. 농민문학에 그려진 무장투쟁
4. 노동자 무장투쟁의 문학적 형상화
5. 10월항쟁, 제주4ㆍ3항쟁, 입산투쟁을 다룬 문학
6. 남한 무장투쟁을 소재로 한 북한문학
7. 맺음말
해방 3년의 미술운동 - 최열
1. 머리말
2. 미술운동의 조건
3. 조선미술건설본부
4. 조선프로레타리아미술동맹
5. 조선미술가협회
6. 조선미술가동맹
7. 조선조형예술동맹
8. 소집단들의 활동
9. 미술단일전선으로서 조선미술동맹
10. 맺음말
해방 직후의 민족영화운동 - 이효인
1. 머리말
2. 해방 직후의 정치ㆍ사회 현실과 문화ㆍ예술계 동향
3. 해방 직후의 영화계 현실
1) 해방공간의 영화계 동향
2) 해방공간의 영화 제작사정
3) 미국 영화의 국내 독점
4) 해방공간에서 제작된 우리 영화
4. 해방공간에서의 민족영화운동
1) 미군정의 영화정책
2) 민족영화진영의 대응
3) 민족영화인의 활동
5. 민족해방운동과 민족영화운동
[5]
해방전후사 연구 10년의 현황과 자료 - 이완범
1. 머리말
2. 연구의 현황과 반성
1) 예비적 고찰 : 대상 설정과 기존 연구사 검토
2) 연구의 구체적 현황
(1) 1960, 70년대의 선구적 업적
(2) 「해방전후사의 인식」 출간과 1980년대 초반 類書(류서)의 출간
(3) 1980년대 중반 : 연구 붐의 조성과 축적된 연구성과의 정리
(4) 1980년대 후반 : 공동연구의 활성화와 새로운 주제의 등장
3) 연구의 경향과 반성
3. 자료의 현황과 새로운 자료의 발굴
1) 국내자료
(1) 남한의 자료
- 신문
- 잡지
- 연감ㆍ일지ㆍ연표류
- 단행본
- 회고록ㆍ증언록ㆍ전기류
- 자료집
(2) 북한의 자료
- 신문
- 잡지
- 연감ㆍ일지
- 단행본
- 전기ㆍ증언록ㆍ회고록
- 자료집
2) 국외자료
(1) 미국의 자료
- 비공간문서
- 공간외교문서
- 당시 간행물ㆍ공간 연구물
- 회고록ㆍ일기
- 기타 자료집
(2) 소련의 자료
(3) 일본의 자료
(4) 국제연합자료
(5) 그 외의 자료
4. 맺음말
『해방전후사의 인식 4』를 내면서
'[기타 자료실] > [도서 목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방전후사의 인식 제6권] - 한길사 (1989) (0) | 2021.04.14 |
---|---|
[해방전후사의 인식 제5권] - 한길사 (1989) (0) | 2021.04.14 |
[해방전후사의 인식 제3권] - 한길사 (1987) (0) | 2021.04.14 |
[해방전후사의 인식 제2권] - 한길사 (1985) (0) | 2021.04.14 |
[해방전후사의 인식 제1권] - 한길사 (개정3판, 2004) (0) | 2021.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