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해방 전후 북한 현대사의 재인식 - 김남식
1. 머리말
2. 민주기지노선의 채택
3. 대중정당 건설
4. 인민정권 수립
5. 민주개혁과 과도기
6. 정치권력의 구조
[2]
북한 지도집단과 항일무장투쟁 - 이종석
1. 항일무장투쟁 연구와 이의
1) 북한 사회주의와 항일무장투쟁
2) 항일무장투쟁과 동만(간도지방)
3) 북선관점과 자료의 문제
일제 관헌자료
북한의 공식 간행물들
중국 문헌들
2. 기존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시각문제
2) 자료 활용의 문제 - ‘가짜 김일성론’과 ‘피의 숙청론’ 검토
3. 항일무장투쟁의 전개과정
1) 유격근거지에서의 무장투쟁
(1) 만주사변 전후의 동만
(2) 항일유격대의 조직과 유격근거지 건설
(3) 동북인민혁명군 제2군의 성립
(4) 반민생단투쟁과 조선인 공산주의자들의 위기
(5) 일제의 대토벌과 유격근거지의 해체
2) 항일민족통일전선의 결성과 장백근거지의 결성
(1) 동북인민혁명군 제2군대 조선인 공산주의자들의 새로운 임무
(2) 조국광복회의 창립과 장백근거지의 건설
(3) 국내진공전투의 감행과 만주 상황의 악화
3) 소ㆍ만 국경으로의 이동과 소부대 활동
(1) 일제의 대토벌과 소부대 활동으로의 전환
(2) 동북항일연군교도려와 항일유격대의 대일전 참전
4. 유격근거지에서의 민주개혁과 조국광복회
1) 유격근거지에서의 민주개혁
(1) 유격근거지 분포
(2) 민주개혁의 내용
2) 조국광복회의 강령과 조직활동
(1) 조국광복회 10대 강령의 내용
(2) 조국광복회의 조직과 활동내용
5. 항일무장투쟁의 역사적 경험이 해방 후 인민정권 수립과정에 미친 영향
6. 맺음말
[3]
서북5도 당대회의 대미인식과 조선공산당북조선분국의 조직적 위상 - 김주환
1. 머리말
2. 해방 직후 북한의 공산주의운동
3. 조선공산당 평남지구 확대위원회
4. 서북5도 당대회의 개최와 북조선분국의 창설
1) 박헌영에게 보내는 축문 채택
2) 국제정세에 대한 강연
3) 당 및 정치적 과업 보고
4) 당조직 문제 보고
5) 지방정권 및 도당사업 강화문제 보고
6) 정치노선 확립 및 조직 확대ㆍ강화에 관한 결정서
5.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제3차 확대집행위원회
6. 맺음말
해방 직후 북한 인민위원회 조직과 활동 - 김용복
1. 머리말
2. 소련의 대한정책
1) 소련군의 대일참전과 북한 진주
2) 북한 주둔 소련군으 ㅣ정책
3. 공산당의 조직정비와 정치노선
1) 조선공산당 평남지구 확대위원회
2)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수립
3) 제3차 확대집행위원회
4) 조선민주당의 무력화
5) 북조선로동당의 창립
4. 지방인민위원회의 조직
1) 소련군 진주 전의 자생적인 조직
(1) 평안남도
(2) 평안북도
(3) 함경남도
(4) 황해도
2) 인민정치위원회의 성립 - 소련군 진주 후 재편과정
(1) 함경북도
(2) 함경남도
(3) 평안남도
(4) 평안북도
(5) 황해도ㆍ강원 일부
3) 5도행정국의 설립
5. 북조선 임시인민위원회의 조직과 활동
1) 북조선 임시인민회 성립
2) 사회ㆍ경제적 정책의 실시
(1) 토지개혁의 실시
(2) 『노동법령』과 『남녀평등권법령』의 공포
(3) 중요 산업의 국유화와 개인기업의 보호
3) 도ㆍ시ㆍ군 인민위원회 선거 - 북조선 인민회의와 북조선 임시위원회 수립
6. 북조선 임시인민위원회 활동의 평가
해방 후 북한의 인민민주주의혁명과 사회주의혁명 - 김주환
1. 머리말
2. 인민민주주의혁명 개관
3. 당의 창건과 정치노선의 확립
4. 정권기관의 변천과정과 인민정권의 건설
1) 해방과 자생적인 정치조직의 출현
2) 소련군의 북한 진주와 인민정치위원회
(1) 인민위원회에 대한 소련의 정책
(2) 인민정치위원회
3) 북조선 5도행정국
4)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1) 통일전선의 강화와 모스크바3상회의 결정
(2)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의 수립
5. 반제반봉건적 사회경제개혁
1) 토지개혁
(1) 항일무장투쟁시기 토지개혁의 경험
(2) 해방 후의 3ㆍ7제 투쟁과 토지개혁
- 토지개혁 이전의 농민조직과 3ㆍ7제투쟁
- 토지개혁의 실시
2) 기타의 개혁
3) 사회경제적 개혁의 결과
4) 민주주의민족통일전선의 결성과 북조선로동당의 창립
(1) 북조선 민주주의민족통일전선의 결성
(2) 북조선로동당의 창립
6. 북조선인민위원회의 수립과 사회주의혁명단계로의 이행
1) 북조선인민위원회의 수립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립
3) 계획경제의 실시와 생산관계의 사회주의적 개조
7. 맺음말
[4]
해방 직후의 소련의 대북한정책 - 박재권
1. 머리말
2. 스탈린의 대외정책
1) 대외정책의 결정요인
2) 대외정책의 기조
(1) 1국사회주의론
(2) 전쟁 불가피론과 평화공존
(3) 양대 진영론
3) 대외정책 결정과정
3. 해방 이전의 대한정책
1) 전시회담에 나타난 소련의 이해
(1) 전시회담의 전개
(2) 전시회담과 한국의 독립
2) 대일참전에 나타난 소련의 이해
(1) 대일전 구도와 한반도
(2) 북한의 해방과 소련의 이해
4. 해방 초기의 대북한정책
1) 정책목표
2) 정책의 수행기구
3) 대북한정책
(1) 행정기관의 수립
- 인민위원회
- 5도행정국
(2) 정치세력의 구성과 정당 결성
-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 조선민주당
5. 모스크바 결정과 대북한정책
1) 모스크바 결정과 소련의 입장
2) 정치세력의 대응과 재편성
3) 북조선 임시인민위원회의 수립
6. 결론
반제반봉건민주주의혁명기의 여성정책 - 박현선
1. 들어가는 말
2. 혁명과업에 따른 민주개혁의 실시
1) 혁명과업
2) 민주개혁
(1) 토지개혁
(2) 중요 산업 국유화
(3) 노동법령
(4) 남녀평등권법령
(5) 봉건유습잔재를 퇴치하는 법령
3. 여성의 지위와 역할의 변화
1) 여성조직체로서의 조선민주여성동맹
(1) 조선민주여성동맹의 창립
(2) 여맹의 성격과 과업
(3) 여맹조직의 강화
2) 여성들의 사회생활 진출
(1) 정치생활
(2) 경제생활
(3) 문화생활
- 문맹퇴치운동
- 건국사상총동원운동
4. 맺음말
해방 직후 민주건설기의 북한문학 - 임진영
1. 머리말 - 남한문학과 북한문학
2. 문예이론과 문예정책
1) 북한의 민주주의민족문학론
2) 문예강령과 문예정책
3. 민주건설기의 긍정적 주인공
1) 토지개혁과 농촌현실
2) 노동현실
3) 남한현실에 대한 북한문학의 형상화
4. 맺음말
기행 : 북한, 1947년 여름 - 안나 루이스 스트롱
1. 많은 증언들로부터
2. 소련지역에서
- 러시아인과 한국인들
3. 정부와 선거
1) 정당
2) 최초의 국민투표
3) 부락(리)에서의 투표
4) 북조선 인민위원회 위원장 김일성
5) 교계 지도자들
4. 농부에게 토지를
1) 농민동맹 위원장
2) 토지개혁
3) 남한의 사회불안
4) 동쪽에 있는 한 마을
5) 서쪽에 있는 한 마을
5. 공장노동자들과 더불어
1) 산업의 국유화
2) 거대한 화학공장을 구함
3) 어느 휴양지에서
4) 노동영웅들
6. 지금은?
1) 드러난 사건
2) 누가 어디로 도망가는가
3) 통일이냐 내전이냐
『해방전후사의 인식』 5를 내면서
'[기타 자료실] > [도서 목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36권] 경제운동 - 오미일 (0) | 2021.04.15 |
---|---|
[해방전후사의 인식 제6권] - 한길사 (1989) (0) | 2021.04.14 |
[해방전후사의 인식 제4권] - 한길사 (1989) (0) | 2021.04.14 |
[해방전후사의 인식 제3권] - 한길사 (1987) (0) | 2021.04.14 |
[해방전후사의 인식 제2권] - 한길사 (1985) (0) | 2021.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