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갑신정변의 유산
[01] 알렌의 민영익 치료, 『한성순보』의 폐간
- 실질적인 개신교 입국
- 『한성순보』의 폐간
- 『한성순보』와 청국의 갈등
- 광인사의 출판활동
- 사진의 수용과 부작용
[02] 한성조약과 톈진조약
- 한성조약과 온건개화파의 득세
- 김윤식의 시무론
- 톈진조약의 두 얼굴
[03] 쌀의 품귀, 담배의 확산
- 1884년 방곡령 실시
- 연초제조소ㆍ판매소의 집중 설립
- 담뱃대 사용금지령
- 조선인들의 지극한 담배 사랑
제2장. 개신교의 활약 거문도 사건
[01] 언더우드ㆍ아펜젤러의 입국
- 1885년 4월 5일 부활절
- 언더우드와 알렌
- 정동제일교회의 창립
- 성경 번역과 찬송가 전파
[02] 제중원 설립과 선교사들의 갈등
- 백성을 구제하는 제중원
- 선교사들의 사치 이유
- 선교사들의 내부 갈등
- 음주ㆍ흡연을 죄악시한 청교도주의
[03] 영국 함대의 거문도 점령
- 청ㆍ러시아ㆍ영국의 각축전
- 후쿠자와의 악담
- 대원군의 귀국
- 조선 왕을 감독하는 총독이 된 원세개
- 위베르와 손탁의 입국
- 거문도 사건의 역사적 의의
- 거문도 사건의 세 가지 일화
[04] 유길준의 한반도 중립화론
- 유길준의 귀국
- 유길준과 김옥균의 만남
- 유길준과 부들러의 중립화안
- 햇빛을 보지 못한 중립화론
제3장. 근대화를 향한 움직임
[01] 전신 개통, 『한성주보』 창간
- 경인 전신업무 개시
- 『한성주보』의 창간
- 한국 최초의 신문광고
[02] 배재학당ㆍ이화학당 개교
- 육영공원의 설립
- 배재학당의 설립
- 이화학당의 설립
- 기독교가 선도한 출판문화
- 천주교ㆍ개신교의 갈등
[03] 경북궁 건천궁을 밝힌 전기
- 건천궁을 밝힌 100촉짜리 전구 두 개
- 물불ㆍ묘화ㆍ덜덜불ㆍ건달불
- 『전기 100년사』의 재발견
[04] 주미한국공관 설립
- 원세개의 방해공작
- 알렌의 일기에 나타난 박정양 일행의 모습
- 박정양ㆍ이하영ㆍ이완용
- 데니의 『청한론』
제4장. 근대화에 대한 공포와 저항
[01] 외국인이 조선 아동을 잡아먹는다
- 종두술을 보급한 지석영의 수난
- 1888년 영아 소동
- 제중원이 영아 살해의 총본산?
[02] 박문국 폐지, 『한성주보』 폐간
- 재정난으로 인한 『한성주보』 폐간
- 1994년 『한성주보』 제16호 발견
- 서양 미술의 전파
[03] 1880년대 후반의 민생고
- 양반계급의 부정부패
- 일그러진 입신양명 문화
- 일본의 경제적 침투와 약탈
- 민족공동체에서 교회공동체로
[04] 원세개의 횡포, 알렌의 도전
- 조선 상인의 철시동맹파업과 시위투쟁
- 원세개의 라이벌은 알렌
- 왜 원세개만 가마를 타고 입궐하는가?
제5장. 동학농민전쟁
[01] 동학교도의 보은ㆍ원평 집회
- 농민항쟁의 폭발, 동학의 확산
- 동학의 교조신원운동
- 동학의 보은ㆍ금구ㆍ밀양 집회
- 보은 집회에 대한 평가
- 북접ㆍ남접의 갈등
[02] 동학농민군의 정읍 고부 봉기
- 고부군수 조병갑의 학정
- 고부 봉기를 키운 이용태
- 왜 하필 호남인가?
[03] 김옥균 암살 사건
- 김옥균 암살 시도
- 김옥균, 중국 상하이로 가다
- 홍종우의 총탄 세 발에 쓰러진 김옥균
- 김옥균의 무덤은 세 개
- 김옥균 부인 유씨의 한(恨)
[04] 김옥균ㆍ홍종우 평가 논쟁
- 일본은 김옥균 암살계획을 몰랐는가?
- 홍종우, 출세를 위한 변신이었나?
- 조재곤의 홍종우를 위한 변호
- 일본의 김옥균 이용
- 북한의 김옥균 평가
- 신복룡의 평가
- 하영선ㆍ허동현의 평가
[05] 동학농민군의 고창 무장 기포
- 고창 무장 기포
- 부안 백산 대회
- 황토현 전투
- 5ㆍ16은 이념 면에서 동학혁명과 일맥상통?
- 김대중의 참여 때문에 빚어진 사건
[06] 동학농민혁명 기념일 논쟁
- 고부 기포설 대 무장 기포설
- 무장 기포에 대한 정읍의 반발
- 정읍ㆍ고창 관계자들의 논쟁
- 무장 기포 기념일 행사
- 백산 봉기 기념일 행사
- 정읍시의회의 성명서 채택
[07] 동학농민군의 전주성 점령
- 농민군의 함평 점령, 대원군 감국 통보
- 청군ㆍ일본군의 출병
- 전봉준ㆍ김학진의 상충되는 고민
- 전주화약(全州和約) 체결
- 농민군의 집강소 설치
- 손화중의 무리가 최강
- 남조선 개벽을 꿈꾼 김개남
- 동학농민군 전주 입성 113주년 기념행사
제6장.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01]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
- 일본 낭인들의 입국
- 천우협과 전봉준의 만남
- 조선 병사의 피로 물든 경복궁
- 대원군의 재등장
[02] 조선의 재앙이 된 청일전쟁
- 풍도 앞바다에 수장된 청국 병사 1000명
- 러일전쟁을 위한 전초전?
- 조선 민중의 공포와 고통
- 일본의 평양 전투 승리
- 청일전쟁의 기본 구도는 아직 살아 있다
[03] 자율과 타율 사이에 선 갑오개혁
- 갑오개혁 자율론과 타율론
- 사회신분제 폐지
- 400년 묵은 과부 재가 논쟁
- 유길준과 김홍집
- 일제의 꼭두각시를 거부한 대원군
- 박영효ㆍ서광범의 귀국
- 이노우에 가오루의 등장, 대원군의 퇴진
- 과거제도 폐지의 충격
- 이승만의 인생이 뒤바뀌다
- 너무 늦은 신교육으로의 전환
[04] 동학농민군의 제2차 봉기
- 전라감사 김학진의 제안
- 전봉준ㆍ김학진의 의기투합
- 삼례 재봉기
- 왜 7월에 봉기하지 않았나?
- 일본군의 다롄ㆍ뤼순 점령
[05] 공주 우금치 전투의 비극
- 남ㆍ북접 간의 노선 차이
- 7일간의 우금치 혈투
- 동학군의 계급적 고립
- 전봉준의 체포ㆍ압송
- 김개남의 체포ㆍ효시
- 학살당한 농민군은 최소 20만 명
- 우금치의 동학혁명군 위령탑
[06] 김홍집ㆍ박영효 연립내각 수립
- 박영효 내무대신, 서광범 법무대신
- 민비와 박영효의 일시적 화해
- 김홍집ㆍ박영효 연립내각의 한계
제7장. 동학농민혁명의 좌절
[01] 홍범 14조 제정 반포
- 홍범 14조의 내용
- 매우 불길한 행사?
- 고종의 눈물겨운 노심초사
- 승려의 도성출입금지 해제
[02] 망명 유학 10년만에 귀국한 윤치호
- 조선 기독교 대표자의 탄생
- 윤치호의 유교 비판
- 일본에 대한 생각을 바꾸다
[03] 일본 『한성신보』의 창간
- 조선 신문이 없는 7년 8개월간의 공백
- 『한성신보』의 침투전략
- 최초의 신소설도 『산성신보』에?
[04] 전봉준ㆍ손화중 처형
- 민중의 영웅으로 각인된 전봉준
- 새야 새야 파랑새야, 녹두밭에 앉지 마라
- 이준용 모반 사건
- 30만 명의 사망자를 낸 콜레라
[05] 동학농민혁명 논쟁
- 동학란에서 동학농민혁명운동으로
-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
- 유영익의 주장
- 박노자ㆍ하원호의 논쟁
- 허동현의 주장
- 배항섭의 주장
- 김용옥의 주장
- 전봉준과 대원군의 관계
- 전봉준은 동학교도였나?
제8장. 3국 간섭ㆍ을미사변ㆍ단발령
[01] 러시아ㆍ독일ㆍ프랑스 3국 간섭
- 시모노세키조약
- 일본의 랴오둥반도 반환
- 정동파의 대두
- 박영효의 재망명
- 여우사냥을 위해 입국한 미우라 고로
[02] 명성황후를 시해한 을미사변
- 일본 낭인들의 천인공노할 범죄
- 대원군의 처신
- 제3차 김홍집 내각과 을미의병
- 유길준의 역할
- 민비 시신 능욕설
- 뮤지컬 <명성황후> 논쟁
- 명성황후 우상화?
- 시해범 후손들의 사죄 방문
- 명성황후 사진 논쟁
[03] 실패로 끝난 춘생문 사건
- 민비 시해 6일 만에 떨어진 황후 간택령
- 공포로 잠을 못 이룬 고종
- 미국공사관으로의 피신 기도
- 춘생문 사건은 일본의 음모?
[04] 미국에 망명한 서재필의 귀국
- 11년 만에 귀국하는 서재필
- 서광범의 활동
- 유길준의 지원
- 일본의 방해 공작
- 서재필과 이승만의 만남
[05] 태양력 도입ㆍ변복령ㆍ단발령
- 500년 조선사 최대의 개혁안
- 1990년대까지 지속된 과세 논쟁
- 변복령에 대한 저항
- 강압적인 단발령 시행
- 최익현과 보형(保形)의병
- 피차 양보할 수 없는 상징 투쟁
- 이승만과 김구
- 단발령 특수
- 조선은 모자의 나라
[06] 운산금광 채굴권 양여
- 외국어학교의 설립
- 알렌이 따낸 운산금광 채굴권
- 노다지라는 말이 나오게 된 이유
- 고종의 미국 짝사랑이 잉태한 결과
[07] 전신과 우편의 발달
- 1891년 북로전선 개설
- 민중의 전신 시설 파괴
- 1895년 우편업무 재개
주석
'[기타 자료실] > [도서 목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기독교 인물 100년] - 한영제 편(기독교문사, 1987) (0) | 2021.04.21 |
---|---|
[한국 근대사 산책 3] 아관파천에서 하와이 이민까지 - 강준만(인물과사상사, 2007) (0) | 2021.04.19 |
[한국 근대사 산책 1] 천주교 박해에서 갑신정변까지 - 강준만(인물과사상사, 2007) (0) | 2021.04.19 |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60권] 한국독립운동사 연표 - 이만열 (0) | 2021.04.19 |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59권] 국외항일유적지 - 김주용, 박환, 조재곤, 한시준, 한철호 (0) | 2021.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