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제1장. 갈 곳을 모르고 헤매는 조선의 운명
1. 고종의 아관파천
- 아관파천의 배경과 내막
- ‘김홍집ㆍ유길준 등을 잡아 죽이라’
- 단발령 철회
- 을미의병의 보수성
- 고종의 러시아공사관 생활
- ‘아관파천은 엄상국의 작품’
- 아관파천에 대한 평가
2. 『서유견문』의 기구한 운명
- 『서유견문』의 금서화
- 개화의 등급과 종류
- 오늘날의 『서유견문』 평가
3. 차라리 가난이 다행이었던 민중의 삶
- 양반계급은 ‘면허받은 흡혈귀’
- 김구의 관찰
- 조선인의 식탐과 폭식
- 조선농민의 간도ㆍ연해주 이주
4. 김구의 치하포 사건
- 김구는 왜 일본인을 살해했는가?
- 사형 위기에 처한 김구
- 전화가 김구의 목숨을 살리다
제2장. 『독립신문』과 독립협회의 등장
1. 최초의 민간지 『독립신문』의 창간
- 『독립신문』 창간 배경
- 정동파의 역할
- 정부의 적극적 지원
- 『독립신문』의 한글혁명
- 『독립신문』의 역사적 의미
- 『독립신문』이 내세운 ‘개화’의 의미
- 『독립신문』의 독자
- 『독립신문』의 광고
- 『독립신문』의 사업
- ‘최초의 민간지’ 논쟁
2. 『독립신문』의 편집정책과 방향
- ‘사실’과 ‘뉴스’를 앞세운 신문
- 『독립신문』의 계몽주의
- 『독립신문』의 ‘옥시덴탈리즘’
- 『독립신문』의 기독교 예찬
- 『독립신문』의 제국주의ㆍ의병관
3. 독립협회 창립, 애국가의 등장
- 독립문ㆍ독립관ㆍ독립공원
- 독립협회 논쟁
- ‘한국 최초의 근대 잡지’ 논쟁
- 애국가ㆍ창가의 등장
- 운동회 붐
4. 배재학당의 성장과 이승만
- 배재학당의 정부 위탁교육
- 이승만의 배재학당 입학
- 이승만의 배재학당 생활
- 협성회 발족
- 협성회의 토론회 활동
- 1897년 숭실학교 개교
제3장. 대한제국 시대의 개막
1. 고종의 경운궁 환궁
- 러시아 군사교관단 파견
- 로마노프-야마가타 의정서
- 1년 만에 끝난 러시아공사관 생활
- 정부의 『독립신문』 탄압
2. ‘대한제국’과 ‘황제’의 탄생
- ‘국왕 전하’ → ‘대군주 폐하’ → ‘황제 폐하’
- 칭제건원 찬반논쟁
- 칭제건원 평가
- 대한제국 밖의 냉소적 시선
- 대한제국ㆍ광무개혁 평가 논쟁
- 환구단의 흔적을 찾아서
3. 개신교 성장의 정치학
- 개신교의 충군애국
- 교회의 치외법권적 보호 기능
- 『죠션크리스도인회보』 『그리스도신문』 창간
- 크리스마스 문화의 확산
4. 전화를 향해 큰절을 네 번 하다
- 1896년 10월 2일 최초의 전화 개통
- 전화를 거는 예절
- ‘대청전화’의 위력
5. 개발권 양여, 매관매직
- 미국의 무관심
- 일본의 독식화
- 이권문제에 대한 『독립신문』의 변화
- 고종의 매관매직과 미신 사랑
제4장. 민권의식의 성장
1. 배재학당 『협성회회보』의 창간
- 협성회의 성황
- 이승만의 주도
- 최초의 배달제
2. 대원군 사망, 명동성당 완공
- “주상이 보고 싶다”
- 명동성당 완공
- 대원군에 대한 평가
- 대원군 평가와 민비 평가
3. 제1차 만민공동회
- 1만 명이 모인 ‘만민공동회’
- 만민공동회의 러시아 규탄
- 독립협회의 자기역량 과대평가
- 만민공동회의 배후는 일본?
- 러시아의 입장
- 니시-로젠 협정
4. 최초의 일간지 『매일신문』 창간
- 창간 주체 이승만의 긍지
- 『독립신문』과의 경쟁 선언
- 『매일신문』의 혈기 왕성
5. 미국으로 돌아간 서재필
- 서재필의 출국에 반대한 만민공동회
- “흐르는 눈물이 한강을 이루었다”
- 서재필 평가 논쟁
- 『독립신문』의 소유권 논쟁
- 서재필의 제국주의ㆍ의병관 논쟁
- 서재필을 어떻게 볼 것인가?
제5장. 만민공동회의 도전
1. 독립협회의 의회설립운동
- 독립협회의 상원설립운동
- 황국협회의 하원설립운동
- 안경수의 정변(政變) 미수사건
- 독립협회의 이토 히로부미 환영
2. 『제국신문』 『황성신문』 창간
- 1898년의 언론사적 중요성
- 『제국신문』의 창간 배경
- 『제국신문』과 외국인 용병 사건
- 『황성신문』의 창간 배경
- 『황성신문』의 필진
- 『황성신문』 사장 남궁억의 수난
3. 고종 독살음모 사건과 커피
- 고종의 커피 사랑
- 고종 독살음모 사건
- 손탁호텔과 커피
- ‘사교계의 여왕’ 배정자
- 커피는 서양 문물ㆍ분위기의 상징
4. 제2차 만민공동회
- ‘평화적 혁명이 이루어졌다’
- 관민공동회 개최 결의
- 장지연과 최익현의 충돌
5. 제3차 만민공동회
- 관민공동회와 ‘헌의 6조’
- 백정 박성춘의 연설
- 무어의 백정 인권 운동
- 중추원 의관 선거 공고
제6장. 만민공동회의 좌절
1. 익명서 조작 사건
- 독립협회 간부 20명 체포령
- 11세 소학생 장용남의 ‘피를 토하는 연설’
- 보부상의 만민공동회 습격
- 2배로 늘어난 만민공동회 인원
2. 김덕구 장례식 사건
- 황국협회의 의병 선언
- 의관 50명의 중추원 성립
- 의사 김덕구의 탄생
3. 박영효의 배후 조정
- 온건파와 강경파의 갈등
- 박영효 일파에 포섭된 이승만
- 이승만의 과격성
- 만민공동회 폭력화의 배후
4. 만민공동회ㆍ독립협회 불법화
- 종로는 ‘조선의 아크로폴리스’
- ‘신문지 조례’의 제정
- 독립협회ㆍ만민공동회의 역사적 의의
- ‘만민공동회는 일본이 사주해 일으킨 소요’?
5. 박영효 쿠데타 음모 사건과 이승만 체포
- 박영효의 쿠데타 음모
- 이승만은 최초의 권총 탈옥수
- 박영효의 집념
6. 윤치호ㆍ이완용의 변절
- 윤치호의 덕원부윤직 임명 수락
- 윤치호의 유교 비판과 친일 논리
- 이완용의 독립협회 활동
- 이완용에 대한 긍정 평가
- 문명개화론의 함정
7. 최시형 처형, 영학당 사건
- 1898년 최시형 처형
- 영학당의 봉기
- 강일순의 증산교
제7장. 전차ㆍ철도와 조혼ㆍ축첩
1. 전차 개통과 ‘전차 소각 사건’
- 한성전기회사 설립
- 1899년 5월 16일 전차 개통식
- 전차에 대한 호기심과 반감
- 기독교인 도륙비지 사건
2. 대한국 국제(國制) 반포
- ‘대한제국의 정치는 전제정치’
- 대한국 국제(國制) 평가 논쟁
- 정부보다는 개신교가 더 나은 보호막
3. 경인철도 개통ㆍ자전거ㆍ인력거
- “철도가 공간을 살해했다!”
- ‘불을 뿜어내는 수레’
- 윤치호의 축지법?
- 인력거의 보급
4. 『독립신문』 『매일신문』 폐간
- 『시사총보(時事叢報)』의 창간
- 『매일신문』 폐간, 『상무총보』 창간
- 『독립신문』 폐간과 고종의 언론관
- 북한의 『독립신문』 평가
- 『독립신문』 『황성신문』의 인종주의ㆍ아시아주의
5. 조혼ㆍ축첩 청산운동
- 여성단체 찬양회 조직
- 『독립신문』의 조혼풍습 비판
- 일제강점지에도 지속된 조혼
- 『독립신문』의 축첩제 비판
- 일제강점기에도 지속된 축첩제
6. 1890년대 말의 식산흥업ㆍ양전사업
- 조선은행ㆍ한성은행의 설립
- 대한천일은행 설립
- 광무 양전(量田)ㆍ지계(地契) 사업
제8장. 외세 지배의 심화
1. 활빈당의 출현
- 중국 의화단의 난
- 경제적 침탈에 대한 저항
- 활빈당 평가 논쟁
- 일본 우익단체 흑룡회 창립
2. ‘외국 쌀 먹으면 애비 에미도 몰라본다’
- 1901년 안남미 수입 파동
- 내장원 쌀장사 논쟁
- 국가재정ㆍ황실재정 논쟁
3. 『제국신문』과 이승만의 옥중생활
- 감옥에서 『제국신문』 논설 집필
- 이승만의 기독교 선교
- 이승만의 감옥 내 집필활동
4. 이재수의 난
- 1898년 방성칠의 난
- 천주교의 오만과 횡포
- 천주교인들의 폭력 대응
- 천주교도 700명 사망, 이재수 교수형
- 박광수의 영화 <이재수의 난>
- 천주교의 민간풍습에 대한 적대적 태도
5. 개신교ㆍ천주교의 충돌
- 개신교 선교사는 ‘백만장자’
- 천주교인의 개신교인 구타 사건
- ‘국가보다 기독교를 더 신뢰한다’
- 정길당 사건
제9장. 하와이 이민
1. 최초의 노동이민단 출발
- 솔나무 밑에서 죽어간 사람들
- 102명, 1902년 12월 22일 인천항 출발
- 노예와 다를 바 없는 생활
- 2002년에 발견된 ‘이민자 모집 광고지’
2. 영업용 전기, 공중용 전화의 등장
- 한국 전차ㆍ전기사업의 좌절
- 1902년 최초의 공중통신용 전화업무 개시
- 공사관 건물의 위엄 효과
3. 최초의 화장장 완공
- 화장은 ‘왜놈들의 장법’
- 한국의 독특한 장례문화
- 의학에서의 해부 금지
- 아펜젤러 사망
주석
728x90
반응형
'[기타 자료실] > [도서 목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기독교수난사화] - 김춘배(성문학사, 1969) (0) | 2021.04.21 |
---|---|
[한국 기독교 인물 100년] - 한영제 편(기독교문사, 1987) (0) | 2021.04.21 |
[한국 근대사 산책 2] 개신교 입국에서 을미사변까지 - 강준만(인물과사상사, 2007) (0) | 2021.04.19 |
[한국 근대사 산책 1] 천주교 박해에서 갑신정변까지 - 강준만(인물과사상사, 2007) (0) | 2021.04.19 |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60권] 한국독립운동사 연표 - 이만열 (0) | 2021.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