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자료실]/[도서 목차]

[식민지 유산, 국가 형성, 한국 민주주의 2] - 정근식ㆍ이병천(책세상, 2012)

by [수호천사] 2021. 4. 24.
728x90

제3부 : 식민지 유산과 경제 발전의 길항

 

10장. 권위주의적 근대화의 역사적 기원 - 이병천
- 식민지 유산 연속설의 비판적 검토

1. 머리말

2. 탈민족주의적 자유시장주의와 일제하 ‘근대적 경제성장’론

3. 일제강점기 ‘문명사적 유산’의 탈식민지 연속 문제

    - 대한민국 건국의 기초이념은 자유시장경제다?

4. 일제 말 전시 동원 체제

    - 탈식민지 개발 국가의 식민지적 기원?

5. 경제개발계획과 개발 정책

    (1) 박 정권 초기 개발계획과 정책

    (2) 박 정권 중기 개발계획과 정책

    (3) 박 정권 후기 중화학공업화 정책

6. 맺는말

 

11장. 공업화 유산 - 허수열

1. 머리말

2. 1940년대의 공업

3. 일제 말 조선 공업의 특징

    (1) 양극화

        . 생산수단 소유의 양극화

        . 기술적 양극화

        . 지역별 양극화

    (2) 군수공업화

4. 물적 유산

5. 공업의 연속 정도

6. 20세기 한국 경제의 변화와 일제강점기 공업화

7. 맺는말

 

12장. 해방 후 근대적 토지 소유 제도의 변용 - 조석곤
- 그 연속과 단절

1. 머리말

2. ‘사업’과 ‘개혁’에 관한 기존 연구의 검토

3. 일제하 식민지 지주제의 전개와 쇠퇴

4. 농지개혁에 의한 토지제도의 변용과 영세 자작농 체제의 성격에 대한 재음미

5. 맺는말

 

13장. 한국 경제 관료의 일제 식민지 기원설 검토

1. 머리말

2. 관료의 충원 방식

    (1) 이승만 정부

    (2) 박정희 정부 - 1960년대

3. 중앙 행정 기구의 변화와 경제 부처

4. 경제 관료의 양적 추이 및 질적 특성

    (1) 경제 관료의 양적 추이

    (2) 경제 관료의 질적 특성

        . 이승만 정부 경제 관료의 특성

        . 박정의 정부 경제 관료의 특성

5. 맺는말

 

14장. 식민지 과학기술을 넘어서 - 김근배
- 근대 과학기술의 한국적 진화

1. 문제 제기

2. 일제강점기 식민지 과학기술의 형성

3. 1950년대 새로운 과학기술 체제의 지향

4. 1960년대 현대적 과학기술 체제의 정착

5. 에필로그

 

제4부 : 사회ㆍ문화적 유산 - 연속과 단절

 

15장. 식민지 동원 체제의 연속과 좌절 - 김영미

1. 머리말

2. 식민지 주민 동원 체제의 형성

    (1) 마을 공동체의 재구성

    (2) 주민자치 전통의 활용

    (3) 전시체제기 주민 조직의 국가 전유

3. 해방 이후 식민지 주민 동원 체제의 변화

    (1) 냉전과 주민 동원 조직의 정치적 활용

    (2) 새마을운동과 식민지 유산

5. 맺는말

 

16장. 현대 한국 도시에 남겨진 식민지 유산 - 김백영
- 공간ㆍ제도ㆍ주체

1. 도시의 식민화와 탈식민지화

2. 체계와 네트워크

    (1) 현대 한국 도시 체계 형성 개관

    (2) 제국 일본의 영토 팽창과 식민지 조선의 도시 체계 변동

3. 제도와 정치

    (1) 식민지 근대 도시계획의 유산

    (2) 도시 정치의 식민성과 탈식민성

4. 생활과 기억

    (1) 주거 공간과 일상생활의 변화

    (2) 공공 공간의 탈식민화와 장소 기억의 변용

5. 식민지 유산인가 전쟁 유산인가

 

17장. 식민 지배의 유산과 고등교육 체제 - 정준영
- 경성제대의 유산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 개교(開校)와 개학(開學) 사이

2. 일제의 식민 교육 체제와 경성제국대학

3. 식민 대학의 탄생 - 경성제국대학의 설립 경위

4. 식민지 제국대학의 유산 - 경성제국대학과 식민지의 교육, 학술

    (1) 제도적 모델 - 일본 제국대학의 특징

    (2) 식민지의 제국대학 - 식민 대학과 제국대학의 이중성

5. 나가며 - 식민 이후 남겨진 유산들

 

18장. 한국 언론 구조의 성격과 형성에 관한 고찰 - 안종묵
- 민족운동사적 관점

1. 여는 글

2. 일제하 민간 신문의 창간과 언론 활동

    (1) 일제의 언론 정책

    (2) 한국 민간 신문의 등장

        . 한국 민간 신문의 사상적 흐름

        . 조선일보의 창간과 성격

        . 동아일보의 창간과 성격

3. 미군정의 언론 정책과 필화 사건

    (1) 미군정의 언론 정책

    (2) 주요 언론 법령의 필화 사건

        . 군정법령 제19

        . 군정법령 제72

        . 군정법령 제88

4. 좌우익 언론의 활동

    (1) 우익 신문의 활동과 성격

    (2) 미군정의 좌익 신문 탄압

5. 닫는 글

 

19장. 식민지 유산으로서의 ‘친일 문학’(론)의 위상 - 이해령

1. 탈식민화와 식민지 유산

2. 식민화된 자아의 발견과 식민지 아카이브 <친일문학론>(1966)

3. 1960~1970년대 역사 인식과 ‘근대문학사’의 내재적 귀결로서의 친일 문학

4. 친일 문학의 위상과 식민주의 비판

 

20장. 식민지 성매매 제도의 단절과 연속 - 박정미
- ‘묵인-관리 체제’의 변통과 성별 민주주의

1. 머리말

    (1) 문제제기

    (2) 성매매 정책 유형화

2. 일제강점기 관리 정책의 이중 구조 - ‘공인-관리’와 ‘묵인-관리’

3. 해방 후 성매매 정책의 변동 - 금지의 도입과 ‘묵인-관리’의 존속

    (1) ‘공창 제도 등 폐지령’ - 금지의 도입, ‘공인-관리의 폐지

    (2) ‘접객부(기생, 작부, 여급) 영업 규례’ - ‘묵인-관리의 존속

4. ‘묵인-관리 체제’의 변동과 성별 민주주의

    (1) ‘묵인-관리 체제와 성별 민주주의

5. 맺는 말

 

좌담 : 다시 식민지 유산을 묻는다 - 김득중, 김민철, 문준영, 박태균, 이병천, 정근식, 허수열

1. 식민지 유산, 어떻게 볼 것인가?

    식민지 유산의 연속과 단절, 재생과 변용의 문제

    식민지법과 자유주의, 법 위에 있는 민족 차별의 현실

    식민지 근대성론인가, ‘식민지 근대화론과는 어떻게 다른가?

    내재적 발전론은 죽었는가? 민족 주체의 저항적 근대성?

2. 식민지 유산과 48년 체제

    미군정과 식민지 지배 유산의 온존, 48년 체제를 둘러싼 쟁투

    48년 체제- 제헌 헌법과 국가보안법의 공존, 법과 체제의 간극

    제헌 헌법과 식민지 유산의 관계, 제헌 헌법의 국가주의적 요소?

    식민지 지배 구조 청산 계기로서의 815

    전시 동원 체제의 유산에 대하여

    국민이라는 말의 유래, 그리고 신민ㆍ국민ㆍ시민의 복잡한 관계

4. 식민지 유산과 권위주의적 근대화

    식민지 근대화인가 개발 없는 개발인가, 민족 주체는 어디에?

    박정희 체제하에서 만주국 유산은?

    식민지 근대화론의 탈민족주의적 자유주의 문제

5. 식민지 유산과 한국 민주주의

    기승전결론과 흑백 이분론을 넘어서, 강한 국가 vs 역동적 사회 운동

    역사와 체험으로서의 민주주의, 이상으로서의 민주주의

    대한민국 현대사, 보수적 성공 사관의 도전을 넘어서려면?

 

찾아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