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설 : 국사를 보는 눈
- 현행 국사 인식의 문제점
- 광복 후 북한 역사학이 걸어온 길
- 광복 후 남한 역사학이 걸어온 길
- 한국사학은 실증사학인가?
- 민족주의 역사학
- 국사의 의미
- 국사의 범주
- 언제 국사를 편찬하는가?
- 한국사회의 미래
1장. 선사시대와 우리 민족의 형성
01. 선사시대의 전개
인류의 기원과 구석기인
신석기 문화와 청동기 문화의 탄생
02. 우리나라의 선사시대
구석기시대
신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03. 요하문명과 홍산문화
홍산문화와 민족 귀속성
요하문명의 내용
- 민족의 기원
- 동이문화와 삼첩층(三疊層)
- 중국은 왜 역사공정을 계속할까?
- 고대인물의 치아 수술 흔적
- 『규원사화』와 『환단고기』에 대한 남북한학계의 시각
2장. 고조선과 열국시대
01. 고조선
단군조선의 건국과 강역
- 고조선의 거수국들
- 고조선
기자조선과 기자동래설
- 중국의 다른 기자 유적
위만조선과 한나라의 갈등
- 패수의 흐름
조한(朝漢)전쟁
- 고조선 항신들의 운명
낙랑군과 한사군의 위치
고조선의 사회와 문화
- 고대 중국인의 지리 개념
- 갈석산과 난하
- 낙랑군은 313년에 멸망했나?
- 낙랑군 위치에 대한 세 학설
- 고조선 중심지에 대한 세 학설
- 신의 손, 세키노 다다시
- 낙랑군 호구부
02. 열국시대
열국사의 시간과 강역
부여(夫餘)
- 부여의 건국사화
- 부여
고구려
- 고구려의 건국연대
- 『삼국사기』 초기기록 불신론
- 고구려 시조와 건국 위치
- 초기 고구려의 성장
옥저
- 개마대산은 개마고원인가?
읍루
예(濊)
삼한(三韓)
- 신채호의 전후 삼한론
최씨낙랑국
신라
- 난생사화
- 신라는 대륙에도 있었는가?
백제
- 백제의 시조
- 백제의 초기 도읍지
- 비류백제의 수도 미추홀
- 요동태수 공손도 일가와 대방군의 위치
- 백제의 건국연대
- 백제라는 국호의 의미
3장. 열국시대에서 사국ㆍ삼국시대로
01. 가야
가야 건국
가야와 왜
02. 임나일본부설 비판, 가야는 임나인가?
『일본서기』 추종하는 강단사학
- 주갑제라는 요술방망이
북한학계의 분국설
분국설을 비판하는 남한 강단사학
가야 멸망
03. 고구려의 성장
고구려와 선비족의 각축
요동 정세의 혼미와 백제와 공세
- 낙랑군 교차설 비판
고구려의 흥기
광개토대왕과 비류백제
- 덕흥리 고구려 벽화무덤
장수왕이 천도한 평양은?
04. 백제의 시련과 흥기
고구려의 남하와 개로왕의 전사
- 구이신왕과 일본의 소이씨
해양백제와 후국 왜
- 왜 5왕은 누구인가?
대륙백제와 요서 지역 장악
05. 신라의 흥기
마립간에서 왕으로
- 신라 김씨 시조는 성한왕?
삼국의 격돌
- 진지왕의 사망 원인
- 신라 임금에게 내린 낙랑군공
- 무왕은 진평왕의 사위인가?
06. 동아시아 대전
고수대전
- 중국 통일과 고구려 영양왕
- 수나라와 격돌하다
고당대전
- 영류왕의 저자세 외교와 연개소문의 정변
- 안시성 승전과 당 태종의 후퇴
- 경관
07. 삼국통일 전쟁
전쟁의 발단과 백제의 멸망
- 일본 열도의 조선식 산성
대제국 고구려의 종언
- 당나라 안동도호부는 지금의 평양이었나?
신라 지배층의 노블레스 오블리주
- 통일신라 강역은?
- 한국어와 일본어의 계통
- 백제 유민 흑치상치와 고구려 유민 이정기
4장. 남북조시대
01. 북조 대진국(발해)
대진의 건국
대당 전쟁과 진국의 발전
진국 쇠퇴와 멸망
- 요나라 왕실은 고구려의 후예인가?
- 진국은 독자적 문자를 갖고 있었나?
02. 후기 신라의 번영과 진골의 분열
인구 100만의 서라벌
진골의 분열과 6두품
농민봉기와 호족의 대두
03. 후삼국과 고려의 건국
후삼국시대
고려 건국과 후삼국 통일
5장. 고려시대
01. 황제국 고려의 이상과 현실
호족연합정책의 성과와 한계
왕건의 고구려 제국 재건의지
이상과 현실의 충돌
혜종의 즉위와 호족들의 반발
02. 중화 사대주의 세력의 득세
광종의 왕권강화 정책
과도기 경종과 유교정치를 지향한 성종
- 서희와 강동6주
서경세력의 도전과 좌절
- 강조가 요나라 성종과 싸운 동주는 평안도인가?
국풍파의 도전, 묘청의 봉기
- 금나라 시조는 고려 사람인가?
- 철령과 공험진
03. 무신정권
의종의 실정과 무신들의 봉기
무신정권의 지배기구와 사병들
최씨 무신정권과 몰락
교종의 저항과 팔만대장경
민중들의 봉기
04. 대원항쟁과 원나라의 간섭
무신정권, 강화도로 천도하다
계속되는 몽골의 침략
강도 정부의 출옥과 삼별초의 항전
- 삼별초는 오키나와까지 갔을까?
다시 일어난 고구려 부흥운동
05. 고려의 위기와 개혁의 시대
토지제도의 붕괴와 국왕들의 개혁
공민왕과 신돈의 개혁
- 고려 말에도 유행했던 족내혼
우왕의 요동정벌과 신흥사대부의 부상
철령위는 함경남도 안변이었나?
위화도회군과 사대주의 득세
06. 고려의 멸망과 새 왕조 개창
이성계의 군사력과 정도전의 사상의 결합
조선의 건국이념, 성리학
과전법과 조선 개창
- 고려에 망명한 중국의 왕족 가족들
- 조공과 희사
6장. 조선 전기
01. 조선 개창과 유교정치 체제 구축
공신들의 시대
1ㆍ2차 왕자의 난
- 정도전 아들들의 운명
피의 숙청으로 반석 위에 선 왕권
천민들도 출세할 수 있는 사회
조선의 국경은 철령에서 공험진
태종의 유산
- 태종우
02. 세종 시대의 명암
수령고소금지법
종모법 환원
천인 등용과 북방 강역 수호
세법 개정 전 농민의 의사를 묻다
민족문화 창달과 훈민정음 창제
- 훈민정음 이전에 고유 글자가 있었을까?
03. 문종ㆍ단종 시대와 헌정질서에 대한 도전
문무겸전의 문종
문종의 종기와 급서
풍수 예언과 계유정난
단종, 쫓겨나다
- 『노산군일기』와 『단종실록』
04. 공신들의 시대
상왕복위기도 사건
공신들의 낙원, 백성들의 지옥
- 사육신과 삼종신
- 정조 15년(1791)에 정한 장릉(단종릉)어정배식록 명단
- 세조와 공신들의 후회
예종의 개혁과 급서
성종의 친정과 사림의 등장
05. 사화와 사림의 집권
조의제문과 무오사화
갑자사화와 중종반정
- 연산군은 백모를 성폭행했나?
기묘사화
- 정국공신
을사사화와 사림의 재기
- 율곡 이이의 조광조에 대한 평가
7장. 조선 후기
01. 사림의 집권과 임진왜란
이황의 이기이원론과 이이의 이기일원론
동서분당과 이이의 조제론
임진왜란과 무너지는 지배체제
류성룡의 개혁정책과 의병들의 분전
- 이이는 십만양병설을 주장했는가?
- 선조의 이순신 제거 비망기
- 천민 수문장 신충원의 몰락
02. 인조반정과 정묘ㆍ병자호란
광해군의 즉위와 대북ㆍ소북 분당
- 명나라의 장기주둔 시도와 둔전
광해군의 혁신정치와 그 한계
- 동서분당 때의 당인(선조~광해군)
- 광해군의 밀서는 존재했는가?
서인들의 쿠데타, 인조반정
- 인조반정 이후 당인
친명 사대주의가 부른 정묘ㆍ병자호란
소현세자의 꿈과 좌절
03. 북벌과 예송의 시대
북벌, 말인가 실천인가?
효종의 정통성을 둘러싼 기해예송
- 효종~현종 때의 당인
제2차 갑인예송
- 현종 11~12년의 경신대기근
04. 당쟁과 탕평의 시대
서인의 재집권과 노ㆍ소 분당
- 청나라 삼번의 난과 북벌
- 남인의 재집권과 실각
- 숙종 때의 당인
노론의 쿠데타와 경종 독살설
- 경종 때의 노론 4대신, 소론 4대신
영조의 즉위와 이인좌의 봉기
영조 탕평책의 한계와 사도세자의 죽음
05. 개혁군주 정조의 꿈과 과절
개혁군주 정조의 험난한 즉위
- 정조~순조 때의 시파와 벽파
정조의 개혁정치와 노론의 저항
미래를 향한 개혁
정조의 의문사와 과거 회귀
06. 세도정치와 대원군의 개혁
세도정치와 민중들의 봉기
흥선대원군의 집권과 개혁정치
- 황사영 백서
8장. 대한제국사
01. 실학과 개화사상의 등장
개화사상의 뿌리, 실학
개화사상의 형성
02. 갑신정변과 갑오개혁
갑신정변
갑오개혁과 그 한계
개화에 대한 반발, 위정척사운동
03. 동학농민혁명과 의병전쟁
동학의 창건과 중심사상
동학농민혁명의 전개와 전주화약
동학농민군의 제2차 봉기
의병전쟁
- 일제의 남한대토벌과 의병의 국외 이주
04. 대한제국의 멸망과 새로운 시작
대한제국의 수립
일제의 국권강탈
- 을사오적
- 정미칠적
대한제국의 멸망과 지배층의 동향
1910년 나라 팔아먹은 공로로 일제로부터 귀족 작위를 받은 명단
- 이완용의 비서 이인직과 국사교과서
한국왕조계보도
- 고구려
- 백제
- 신라
- 금관가야
- 발해
- 고려
- 조선
한국사연표 : 선사시대에서 대한제국까지
한국사의 쟁점들에 대한 각국 학계의 시각
'[기타 자료실] > [도서 목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현대사 2 - 경제성장과 민주주의, 그리고 통일의 과제] - 홍석률 외(푸른역사, 2018) (0) | 2021.04.24 |
---|---|
[한국현대사 1 - 해방과 분단, 그리고 전쟁] - 정병준 외(푸른역사, 2018) (0) | 2021.04.24 |
[식민지 유산, 국가 형성, 한국 민주주의 2] - 정근식ㆍ이병천(책세상, 2012) (0) | 2021.04.24 |
[식민지 유산, 국가 형성, 한국 민주주의 1] - 정근식ㆍ이병천(책세상, 2012) (0) | 2021.04.24 |
[이희수 교수의 이슬람] 이희수(청아출판사, 2011) (0) | 2021.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