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자료실]/[도서 목차]

[한국 근대사 산책 5] 교육구국론에서 경술국치까지 - 강준만(인물과사상사, 2007)

by [수호천사] 2021. 6. 28.
728x90

[한국 근대사 산책 5] 교육구국론에서 경술국치까지 - 강준만(인물과사상사, 2007)

 

제1장. 다시 타오른 애국계몽운동의 불길

  1. 교육만이 살 길이다.
    학회의 국민 계몽활동
    안창호의 신민회 활동
    남강 이승훈의 오산학교 설립
    기독교 사립학교 붐
    관ㆍ공립학교는 비난의 대상
    한성고등여학교의 설립
    일본 유학생의 활동
    일제의 사립학교 탄압
  2. 스티븐스 저격사건
    장인환ㆍ전명운의 스티븐스 저격
    의병투쟁에 미친 영향
    이승만의 학업
  3. 『해죠신문』 『신한민보』의 활약
    블라디보스토크의 『해죠신문』 창간
    이범진의 후원과 안중근의 기고
    『해죠신문』 『신한민보』의 국내 유입
    『신한민보』의 ‘국민혁명론’

 

제2장. 국채보상운동의 좌절과 유산

  1. 국채보상운동의 좌절
    이완용ㆍ송병준ㆍ이용구의 친일 계보
    일제의 『대한매일신보』 탄압
    국채보상운동의 내부 문제
    베델의 사망
    『대한매일신보』의 몰락
    『대한매일신보』는 베델의 신문?
    윤치호의 국채보상운동ㆍ베델 비판
    국채보상금 처리 문제
  2. 국채보상운동의 유산
    국채보상운동은 ‘여성운동의 효시’
    1998년에 되살아난 국채보상운동
    243만 명이 참여한 ‘금 모으기 운동’
    국채보상운동은 ‘한국 엔지오 운동의 역사적 뿌리’
  3. 최초의 근대 잡지 『소년』의 창간
    육당 최남선의 활동
    최초의 신시(新詩) 「해에게서 소년에게」
    톨스토이 열풍

 

제3장. 한말 의병운동의 종언

  1. 순종의 경상ㆍ평안ㆍ황해도 답사
    일제의 보호권 과시 이벤트
    철저히 연출된 시각적 스펙터클
    일제의 범죄즉결령
    대한제국 당시 최대의 부패 관리
  2. 간도에 관한 청일협약
    간도의 역사적 기원
    재(在)만주 조선인 20만 명
    일제강점 후 새로운 갈등
    신채호ㆍ대종교ㆍ이범윤의 활동
    동북공정과 ‘간도 되찾기 캠페인’
  3. 호남의병의 와해
    1907~1911년 의병 14만 명
    헌병대ㆍ헌병보조원의 악명
    일제의 ‘남한대토벌작전’
    의병운동인가, 의병전쟁인가?
    오영섭의 민중주의사관 비판
    의병정신은 ‘충군애국론에 기반한 의리심’?
    김상기ㆍ구완회의 반론
  4. 『대한민보』 『경남일보』의 창간
    대한협회의 『대한민보』 창간
    한국 최초의 시사만화
    최초의 지방지 『경남일보』 창간
    장지연의 활동
    『한성신보』 『대동일보』 『대한일일신문』

 

제4장. 사회진화론ㆍ영웅숭배주의ㆍ문약망국론

  1. 사회진화론의 융성
    양계초의 『신민설』 수입
    양계초의 주장
    조선 지식인을 사로잡은 사회진화론
    『월남망국사』 논쟁
    박노자ㆍ허동현 논쟁
    사회진화론 개념의 혼동
  2. 영웅숭배주의의 유행
    신채호의 영웅숭배주의
    영웅 전기의 유행
    광개토대왕과 을지문덕
  3. 문약망국론과 운동회 붐
    문약망국론과 상무정신
    상무정신과 학교 운동회
    군사 훈련식 운동회와 석전

 

제5장. 애국가 매국의 몸부림

  1. 안중근의 이토 히로부미 처단
    안중근 추모 열기
    안태훈과 안중근
    안중근과 조마리아
    안중근 연구의 현황
    의거 100주년 기념 준비
    안중근은 ‘충직한 근왕주의자’?
    안중근과 아시아주의
  2. 이완용 내각과 일진회의 ‘매국’ 경쟁
    일진회의 한일병합 요구 성명
    이완용과 송병준의 차이
    일진회 비난ㆍ지지 성명전
    일진회ㆍ서북학회ㆍ대한협회 ‘3파제휴’ 결렬
    일진회는 오명의 대명사
  3. 이재명의 이완용 암살 시도
    이완용의 파란만장한 ‘변역’
    이완용 중상, 이재명 사형
    김구의 후회
    박원문의 죽음에 대하여
    이완용에 대한 민심의 분노

 

제6장. 망국 직전의 생활문화

  1. 영화의 폭발적 인기
    영화는 언제 조선에 들어왔는가?
    최초의 공식적인 기록은 1903년
    마케팅 수단으로서의 영화
    오락 이외의 무엇으로 삶을 위로하랴
  2. 연극의 인기와 풍기 논란
    광무대ㆍ단성사의 개관
    원각사와 이인직
    신문의 전통연극 비판
    매춘을 알선하는 소굴
    유성기의 판매와 보급
    일제의 통제와 탄압
  3. 개신교의 백만인 구령운동
    1884~1910년 개신교 선교사 499명
    선교 지역의 교파별 점거
    한국 교회늰 ‘선교하는 교회’
    일제의 탄압엔 정교분리주의
    20만 신자를 100만 신자로
    백만인 구령운동의 정치학
    한국은 세계 2위의 선교대국
    한국인의 ‘중층다원성’
    한국의 종교적 다원주의
  4. 철도ㆍ시계가 불러온 시간개념의 변화
    1898년에서야 만들어진 관료들의 시간표
    신문들의 시간엄수 계몽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시계의 상징적 가치
    도량형의 표준화

 

제7장. 518년 만에 멸망한 조선

  1. 일제의 강점
    안창호의 「거국가」
    강제병합안 8개항
    경술 7적과 연쇄 자결
    왜 8월 29일은 조용했나?
    이광수의 고백
    모든 국민이 일심동체였을까?
    일제강점 호칭 논쟁
    일제하 68명의 조선 귀족 탄생
    일제에 기용된 조선인 관료
  2. 토사구팽 당한 이용구와 일진회
    헌신짝처럼 버려진 이용구와 일진회
    이용구의 후회
    이용구와 송병준ㆍ이완용의 다른 길
    흑룡회가 일진회를 속였나?
  3. 신문과 민족주의의 탄생
    한글 글자 공동체의 형성
    민족의식의 계보
    민족과 조국
    민족과 국민
    신용하ㆍ박지향ㆍ이진경의 주장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의 광고 분석
    소통의 빈곤
  4. 고종ㆍ대한제국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이태진의 『고종시대의 재조명』
    수십여 명의 학자가 참가한 ‘기념비적 논쟁’
    허동현의 종합 관전평
    ‘편승’을 어떻게 볼 것인가?
    이론의 함정은 없는가?
    내부적 검증ㆍ추궁은 충분했는가?
    식민사관과 민족사관을 넘어서

 

[맺는말] ‘조선왕조 500년 신화’를 넘어서

  • ‘우리 자신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기’ 운동
  • 한국은 일류의 자질과 능력이 있다
  • 임진왜란의 진실
  • 재조지은(再造之恩)의 진실
  • 정유재란ㆍ정묘호란ㆍ병자호란
  • 병자호란의 치욕
  • 임진왜란ㆍ병자호란 이후
  • 임진왜란ㆍ병자호란과 체제 안정성
  • 당쟁ㆍ사화가 조선왕조 존속에 기여했다?
  • 유교ㆍ양반 망국론
  • 혈통주의의 폐쇄성
  • 유교적 가족주의가 500년의 비결인가?
  • 공식적 가족ㆍ자궁 가족의 2중 구조
  • 성공이 실패의 원인이 되는 역설
  • 입신양명 이데올로기
  • 기회주의와 줄서기
  • ‘당쟁망국론’에 대한 반박
  • 일제 치하ㆍ군사독재의 상흔과 싸우기
  • 양반 면책으로 빠진 식민사관 비판
  • 한국의 무기력과 침묵
  •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하는가?
  • 한국 정치의 5대 환경
  • 당파싸움의 두 얼굴
  • 지금도 건재한 양반문화
  • 가문 단위의 부정부패
  • 2006년 종친회 가입률 22퍼센트
  • 한국인의 보호막 투쟁
  • ‘보호막 공영화’를 위하여
  • ‘면허받은 흡혈귀’를 넘어서
  • 성리학 가족 중심주의를 넘어서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