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거 자료실]/[한국사]

[백제 5대 국왕] 초고왕(肖古王, 166~214)

by [수호천사] 2022. 4. 6.
728x90

[백제 5대 국왕] 초고왕(肖古王, 166~214)

 

  • 재위 : 166년 ~ 214년
  • 출생일 : 미상
  • 사망일 : 214년

 

초고왕(肖古王)은 개루왕의 장남으로 소고왕(素古王), 속고왕(速古王)이라고도 불렸다.

 

동생인 고이왕(8)과의 관계는 불확실한데 고이왕이 초고왕의 사망한 지 20년이 지나 왕위에 올랐고, 다시 50년을 재위하였기 때문에 상식적으로 개루왕의 아들이나 초고왕의 동생으로 보기에는 어렵다. 사학계에서는 고이왕이 초고왕의 동생이 아닌 초고왕의 동생의 아들, 즉 조카라는 의견도 있는데, 요즘에는 고이왕 자체를 그냥 초고왕과는 성씨도 다른 임금으로 보기도 한다.

 

근초고왕을 초고왕 2세라고도 한다. ‘이 서양의 ‘~2를 의미한다고 한다. 여하튼 근초고왕이 초고왕과 어떤 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전임자인 개루왕 시기에 155년에 신라의 반역자 아찬(阿飡) 길선(吉宣)의 송환 문제로 양국 사이에 불화가 생겼고 이로 말미암아 초고왕의 즉위 후 신라와의 공방전이 되풀이되었다고 삼국사기에 기록되어 있다

 

[188년]

 

신라의 모산성을 공격하였다.

 

[189년]

 

음력 7월에는 구양(狗壤, 현재의 충북 옥천)에서 신라와 싸웠으나 크게 패하였다.

 

[190년]

 

신라 서쪽 국경에 있던 원산향(圓山鄕, 현재의 경북 예천)을 공격했으나 전세가 역전되어 후퇴하였고, 신라군은 와산(蛙山, 현재의 충북 보은)까지 추격하였으나 결국 놓쳤다.

 

[204년]

 

신라의 요차성(腰車城, 요거성. 현재의 경북 상주)을 함락하고 성주인 설부(薛夫)를 죽였다.

 

[210년]

 

북한강 상류를 타고 내려오는 말갈의 침입에 대비하여 210년 적현성(赤峴城)과 사도성(沙道城)을 쌓아 동부의 민호를 이주시켰다.

 

[214년]

 

북부출신 진과(眞果)에게 말갈의 석문성(石門城)을 공격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말갈이 반격하여 술천(述川, 현재의 경기 여주) 지역까지 백제의 영토가 크게 축소되었다.


[가족관계]

 

  • 아버지 : 개루(蓋婁, ? ~166, 재위 : 128~166)
  • 어머니 : 미상
  • 왕비 : 미상
    아들 : 구수
  • 동생 : 고이(古尒, ? ~286, 재위 : 234~286), 이설 있음
  • 동생 : 우수(優壽)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