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삼근왕 [三斤王, AD. 465~479] 백제의 제23대 국왕(AD. 477~479)
【개인 정보】
- 이름 : 부여삼근(扶餘三斤)
이칭 : 임걸왕(壬乞王)이라고도 한다 - 출생 : 기원후 465년
사망 : 기원후 479년 11월
재위 : 기원후 477년 4월 ~ 기원후 479년 11월 - 전임 : 문주왕
후임 : 동성왕
【가계 정보】
- 부왕 : 문주왕(文周王, ?~477) – 백제의 제22대 국왕(475~477)
모후 : 왕후 곽씨(王后 郭氏) - 국왕 : 삼근왕(三斤王, 465~479) – 백제의 제23대 국왕(477~479)
【삼근왕 연보】
【기원후 477년】
- 문주왕의 맏아들로, 477년 4월 부왕에 의해 태자로 책봉되었다.
- 9월, 문주왕이 병관좌평(兵官佐平) 해구(解仇)의 쿠데타에 의해 시해되자, 왕족들의 추대로 13세에 즉위하였다. 그러나 전지왕의 외척이자 세력가였던 좌평 해구(解仇)가 쿠데타를 일으켜 섭정으로 사실상의 실권을 장악하였다.
【기원후 478년】
- 478년 봄에 좌평 해구가 은솔(恩率) 연신(燕信)과 함께 왕위를 찬탈하려고 대두성(大豆城)을 근거지로 하여 반란을 일으키자, 왕은 좌평 진남(眞男)에게 군사 2000을 주어 대두성을 공격하고 덕솔(德率) 진로(眞老)에게 군사 500명을 주어 해구를 추격해 죽이게 했다. 진남과 진로에 의해 해구의 난이 평정되었으나 왕위는 불안정하였다. 그리고 공모자인 연신이 고구려로 도주하자 연신의 3족을 멸해 거리에 매달았다.
【기원후 479년】
- 재위 3년인 479년 봄과 여름에는 가뭄이 매우 심했고 11월에 갑자기 의문의 죽임을 당했다. 당시 해구의 반란을 토벌한 것은 한성시대(漢城時代) 이래의 또 다른 귀족 세력 출신인 진씨(眞氏) 세력이었는데, 해구의 반란이 평정된 다음 해 삼근왕이 죽은 것을 진씨 세력의 정치적 변란의 결과로 보는 견해도 있다. 바로 일본에서 온 그의 종조부 혹은 삼촌인 곤지의 아들 모대가 동성왕으로 즉위했다.
728x90
반응형
'[인물 자료실] > 인물 [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수림왕 [小獸林王, ?~384] 고구려 제17대 국왕(AD. 371~384) (0) | 2025.06.26 |
---|---|
사반왕 [沙伴王, AD. ?~234] 백제의 제7대 국왕(AD. 234) (0) | 2025.06.26 |
실성이사금 [實聖尼師今, AD. ?~417] 신라의 제18대 임금(AD. 402~417) (0) | 2025.06.26 |
소지마립간 [炤知⿇⽴⼲, AD. ?~500] 신라의 제21대 국왕(AD. 479~500) (0) | 2025.06.26 |
선덕여왕 [善德女王, AD. ?~647] 신라의 제27대 국왕(AD. 632~647) (2) | 2025.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