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자료실]/[도서 정리]

김흥수ㆍ서정민, 『한국기독교사 탐구』 [11] 한국기독교의 신학 - 백용기

by [수호천사] 2021. 2. 25.
728x90

- 백용기(강남대학교 교수)

 

1. 개관

 

  • 모든 신학은 그 신학이 위치한 곳에서 그 시대가 제기하는 문제에 대해서 대답을 시도해야 한다. (186)

  • 개신교 신학에서 가장 한국의 특징을 드러내는 신학이 토착화신학과 민중신학 그리고 여성신학이다... (187)

  • 2차 바티칸 공의회와 WCCIMC(국제선교협의회)의 통합은 기독교의 사회적 운동과 선교, 특히 토착화 신학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187)

  • 토착화신학은 1960~1970년대, 민중신학은 1970~1980년대, 여성신학은 1980~1990년대의 주요한 신학 활동이었다. (187)

  • 한국기독교신학의 토착화신학... 최병헌, 정경옥, 길선주, 이용도, 김교신, 최태용, 유영모... (188)

  • 민중신학은 1970~1980년대 한국의 정치, 사회, 경제적 상황 속에서 고난당하는 민중들의 삶을 신학적으로 해석하고 증언하는 신학이다. (189)

  • 최초의 민중신학 논문은 1975년 서남동의 예수ㆍ교회사ㆍ한국교회와 안병무의 민족, 민중, 교회이다... 1979신학사상에 민중신학 특집... (189-190)

  • 서남동 안병무, 김용복, 서광선, 현영학 등의 민중신학 1세대를 뒤이어 2세대를 거쳐오면서 민중신학은 타학문과의 대화를 통해 보다 확장되어 나갔으나 정치적 민주화의 실현으로 현장에서 힘은 약화되고 보다 추상적인 학문적 토론으로 머물게 되었다. (190)

  • 여성신학... 1975세계여성의해선포는 여성의식화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1970년대 중반을 휩쓸었던 주제는 여성 안수문제였다. 1980한국여신학자협의회가 교회현장에서 활동하던 여성들의 요구에 대하여 여성신학교수들이 응답함으로써 결성되어 여성신학이 시작되었다. (190-191)

 

2. 토착화신학

 

  • 유동식에게서 토착화는 초월적 진리복음이 일정한 문화적 환경의 공유성을 인정하고 이에 적응하며, 적응하면서도 그 현실에 도전하여 새로운 삶을 창조해가는 것이다... 성육신의 원리... 로고스 개념처럼 의 개념... 선교학적인 관점에서 출발한 종교 문화적 토착화... 후기 풍류신학... “풍류란 인생과 예술과 자연이 혼연칠체가 된 융합 속에서 창조되고 또 창조하는 힘이요이다. (191-192)

  • 윤성범의 토착화신학... 종자와 토양의 비유... 유교의 ()... “()은 유교 형이상학의 핵심이며 존재론적인 관점이다... (192-193)

  • 토착화신학의 논쟁은 변선환에게 이르러 더욱 심화, 확대되었으나, 그 결과는 교회 정치적인 결정으로 비극적이었다... 박아론과의 논쟁에서 하나님의 구원에 대해서 기독교ㆍ교회마닝 독점할 수 없다고 주장... ‘불교와 기독교의 대화의 시도는 종교다원주의 논쟁으로 발전... 기독교와 타종교는 개종이 아니라 대화의 관계여야 한다. (193-194)

 

3. 민중신학

 

  • 서남동에게는 전통적인 기독론에 대신하여 성령론이 큰 역할을 한다... 예수는 고난당한 민중과 동일시된다... (194-195)

  • 안병무는 사건의 신학’, ‘증언의 신학으로서의 민중신학을 강조한다... 예수 사건과 민중 사건은 동일하다고 주장... 민중의 고난을 예수의 고난과 연결하고, 민중의 저항을 예수의 저항과 연결하며, 민중 봉기를 예수의 부활로 본다... (195-196)

  • 김용복의 민중신학 특징은 민중의 사회전기에 있다... 권력은 민중과 적대관계에 놓이게 되는데, 여기서 고난받는 민중이 메시아로 등장한다. “역사는 민중이 자신들의 운명을 메시아 왕국에 참여하는 역사의 자유로운 주체로 실현시키는 과정이며, “메시아는 민중의 메시아그리고 민중들 스스로 자신들의 것으로 느끼는 메시아를 의미한다.” ... ‘경제문제를 신앙고백의 문제로 접근... (196-197)

 

4. 여성신학

 

  • 손승희... “여성신학의 첫 과제를 기독교 전통에 대한 비판으로 출발”... 전통신학이라는 것은 가부장제 중심의 위계질서로 세워진 신학이다... 여성을 깨우치며 기독교 전통을 비판적으로 다시 성찰하고, 여성 입장에서 새롭게 신학 작업하는 것을 여성신학의 과제로 제시하였다. (197-198)

  • 박순경... (198)

  • 김애영, 정현경, 강남순, 김윤옥, 이경숙, 최영실... (198-199)

  • 전통문화와 관련된 주제 역시 여성신학의 중요한 관심인데, 이는 전통에서 여성해방적인 차원있는가의 문제이다... 이우정... (199)

  • 김광식의 해석학적 토착화론... 김경재의 문화신학... (20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