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자료실]/[도서 목차]199 [한국 근대사 산책 1] 천주교 박해에서 갑신정변까지 - 강준만(인물과사상사, 2007) 머리말 - 자위와 자학을 넘어서 근대사에 임하는 우리의 자세 전문화ㆍ세분화에서 종합화ㆍ총체화로 역사의 현재화를 위하여 역사는 외우는 것이 아니라 생각하는 것 역사 서술 시각의 문제 도식주의를 넘어서 식민사관과 안티 식민사관을 넘어서 역사의 명암(明暗)을 보자 제1장. 천주교 박해 [01] 동방의 조상숭배는 우상숭배다 장례문화와 천주교문화의 충돌 1785년 천주교를 사교(邪敎)로 규정하다 1789년 프랑스혁명 1791년 진산 사건 문체반정 논쟁 [02] 당파싸움으로 증폭된 신유ㆍ기해박해 주문모ㆍ강완숙의 활약 신유박해와 오가작통법 동정녀 신드롬과 도모지 사형 황사영 백서 사건 신유박해(신유교난)가 식민지화 원인의 시작 부정부패와 1811년 홍경래의 난 개신교 선교사 귀츨라프의 충청도 방문 왕만 바뀌면 재개되.. 2021. 4. 19.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60권] 한국독립운동사 연표 - 이만열 머리말 일러두기 이 책은 1863년 고종 즉위년부터 1945년까지로 하였다. 각 국 연호표기와 관련, 한국과 중국은 유년칭원법(踰年稱元法)의 관례에 따랐고, 일본은 즉위년칭원법(卽位年稱元法)을 따랐다. 1919년 이전까지는 독립운동ㆍ대외관계와 일본ㆍ세계 동향으로 나누어 기술하였으나 1919년 대한민국임시정부 건립 이후에는 임시정부 독립운동을 따로 정리하였다. 날짜의 표기는 1895년까지는 음력으로, 이후는 양력으로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인물의 몰년과 관련하여 보이는 지명은 해당 인물의 출신지이며 익숙한 지명에는 도(道)를 표기하지 않았다. 발생 날짜가 분명하지 않은 사건은 그 달 말미에, 달도 분명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해 말미에 표기하였다. 외국의 인명과 지명과 관련, 처음에는 현지 발음과 .. 2021. 4. 19.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59권] 국외항일유적지 - 김주용, 박환, 조재곤, 한시준, 한철호 제1장. 동남아ㆍ일본지역 제1절. 동남아지역 독립운동 사적지 1. 한국독립운동과 대만 2. 홍콩 3. 싱가포르 4. 필리핀 5. 인도네시아 6. 인도와 미얀마 제2절. 일본지역 독립운동 사적지 제2장. 만주지역 제1절. 연변조선족자치주지역 제2절. 길림지역 제3절. 흑룡강성 남부 - 해림지역 제4절. 하얼빈지역 제5절. 서간도지역 제6절. 여순지역 제7절. 장백ㆍ반석ㆍ화전지역 제3장. 러시아지역 제1절. 개관 제2절. 이만지역 제3절. 하바로프스크지역 제4절. 니콜라예프스크지역 제5절. 블라고베셴스크지역 제6절. 치타지역 제7절. 울란우데지역 제8절. 이르쿠츠크지역 제9절. 우수리스크지역 제10절. 연해주 기타지역 제11절. 블라디보스토크지역 제12절. 우즈베키스탄지역 제13절. 카자흐스탄지역 제14절... 2021. 4. 19.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58권] 국내항일유적지 - 강윤정, 김상기, 김승, 박찬식, 서진교, 윤선자, 장규식, 최창희 제1장. 서울지역 제1절. 서울지역 독립운동 개관 제2절. 주요 독립운동 사적지 1. 서대문구ㆍ용산구 2. 종로구 - 종로2가권 3. 종로구 - 북촌권 4. 종로구 - 종로1가ㆍ신문로권 5. 종로구 - 종로5가ㆍ동대문ㆍ동숭동권 6. 중구 제2장. 경기지역 제1절. 경기지역 독립운동 개관 제2절. 주요 독립운동 사적지 1. 인천시 2. 수원시 3. 성남시 4. 고양시 5. 부천시 6. 용인시 7. 안산시 8. 안양시 9. 군포시 10. 의정부시 12. 평택시 13. 시흥시 14. 화성시 15. 광명시 16. 파주시 17. 광주시 18. 김포시 19. 이천시 20. 여주군 21. 양주시 22. 안성시 23. 포천시 24. 오산시 25. 의왕시 26. 동두천시 27. 양평군 28. 과천시 29. 가평군 30... 2021. 4. 19.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57권] 광복 전후 국가건설론 - 김인식 제1장. 국가건설론의 특징과 대요 제1절. 광복 전후 국가건설론의 특징과 의의 1. 연구사 정리와 서술의 범위ㆍ방향 2. 국가건설론의 특징과 의의 제2절. 국가건설론의 대요와 의의 1. 조소앙의 삼균주의 2. 안재홍의 신민족주의 3. 백남운의 연합성 신민주주의론 4. 박헌영ㆍ『8월테제』의 진보적 민주주의론 제2장. 조소앙의 삼균주의 제1절. 조소앙의 삼균주의와 대한민국임시정부 1. 삼균주의의 배태기 2. 삼균주의의 정립ㆍ천명이 3. 삼균주의의 실천기 제2절. 삼균주의의 이상 1. 삼균주의의 보편주의ㆍ이상주의 2. 삼균주의의 국가체제 : 전민적 신민주공화국 제3절. 삼균주의의 기본 구도와 내용 1. 개인 대 개인의 균등 1) 정치균등 2) 경제균등 3) 교육균등 2. 민족 대 민족의 균등 3. 국가 대 국.. 2021. 4. 19.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56권] 광복 직전 독립운동세력의 동향 - 정병준 제1장. 서장 제1절. 광복 직전 시공간의 범위 제2절. 연구동향과 특징 1. 국외 독립운동 : 국내 진공작전의 추진 2. 국내 독립운동 : 결정적 시기의 무장봉기 전술의 전면화 3. 국내외 독립운동 세력의 연대ㆍ통일 시도 제2장. 중경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독립운동 제1절.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중경 정착과 당ㆍ정ㆍ군 체제의 정립 1. 한국독립당의 성립 2. 임시정부의 개편 3. 광복군의 창설 제2절. 좌우연합정부의 실현과 민족통일전선 지향 1. 군대ㆍ의정원ㆍ정부의 통합 1) 군대통합 : 조선의용대의 광복군 편입 2) 의정원 확대ㆍ통일의회 구성 3) 연립내각의 구성 2. 건국강령ㆍ임시헌장의 노선 제3절. 군사작전ㆍ무장투쟁ㆍ광복군의 국내진공 작전계획 1. 광복군의 확군ㆍ선전활동 1) 전기광복군 2) 후기광복군 .. 2021. 4. 19.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55권] 1920년대 이후 일본ㆍ동남아지역 민족운동 - 김인덕, 김도형 제1부. 1920년대 이후 일본지역 민족운동 제1장. 1920년대 전반기 재일한인의 민족운동 제1절. 재일본한인의 상황 1. 도일정책 2. 재일본한인의 생활 제2절. 사상단체의 조직과 대중운동 1. 북성회 2. 일월회 3. 삼월회 4. 신흥과학연구회 5. 흑도회와 무정부주의 6. 재일본한인 민족운동단체 1) 불교청년단체 2) 천도교청년단체 3) 동경조선인기독교청년회 7. 의열투쟁 1) 양근환의거 2) 박열의 일왕폭살사건 3) 김지섭의거 8. 관동대지진과 한국인학살 제2장. 1920년대 후반 민족운동의 진전 제1절. 민족운동의 발전 1.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1) 창립 배경 2) 제2회 대회 3) 제3회 대회 2. 조선공산당과 고려공산청년회 일본부 1) 조선공산당 일본부 2) 고려공산당청년회 일본부 3) 춘.. 2021. 4. 18.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54권] 1920년대 이후 미주ㆍ유럽지역 민족운동 - 고정휴 제1장. 구미지역 독립운동의 기반과 특징 제1절. 독립운동의 기반 1. 미주한인사회의 형성 2. 유럽의 한인 거류민 제2절. 독립운동의 시기구분 문제 제3절. 독립운동의 의의와 성과 제2장. 워싱턴체제의 출범과 독립운동의 침체 제1절. 워싱턴회의와 워싱턴체제의 형성 제2절. 구미위원부의 침체와 ‘폐지령’ 1. 구미위원부의 설립과 침체 2. 임시정부와 갈등 3. ‘폐지령’ 이후의 구미위원부 제3절. 대한인동지회의 설립과 활동 1. 설립과 정강 채택 2. 조직 확대와 동지식산회사 3. 일반회원의 특징 4. 하와이 교만단과 충돌 제4절. 대한인국민회의 조직 변화 1. 국민회 중앙총회의 해체 2. 하와이지방총회의 조직 개편 3. 북미지방총회의 조직 개편 제5절. 민간국제대회와 국내외 민족운동세력의 연계 1. 범.. 2021. 4. 18.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53권] 조선의용대ㆍ조선의용군 - 염인호 제1장. 조선의용대의 창설과 그 위상 및 성격 제1절. 조선의용대 창설에 관한 연구 제2절. 한중 항일민족연합론 1. 한중 항일민족연합의 필요성 2. 한중 항일민족연합의 행태 제3절. 조선민족혁명당 전당대표대회의 결정 제4절. 청산화부의 국제의용군 창설안 1. 국제의용군 창설안 2. 국제의용군 창설안 작성의 주체 제5절. 조선의용대의 창설과 그 위상 및 성격 제6절. 조선의용대 창설의 역사적 의의 제2장. 계림에서 전개한 조선의용대 대본부의 항일운동 제1절. 계림지역 항일문화운동에 관한 연구 제2절. 조선의용대 대본부의 계림 안착과 기구 제3절. 계림의 정치ㆍ문화 환경과 조선의용대 대본부 1. 중국군사위원회 서남행영과 조선의용대 2. 중국공산당 계림판사처와 조선의용대 3. 문화도시와 조선의용대 제4절. .. 2021. 4. 18.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