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자료실]577

[여해 강원용 그는 누구인가?] - 대화문화아카데미, 2013 [여해 강원용 그는 누구인가?] - 대화문화아카데미, 2013 발간사 : 끊임없이 도전했던 ‘영원한 청년’ - 채수일(한신대학교 총장) 발간사 : ‘사이ㆍ너머’는 우리가 받아들여야 할 귀중한 관점 - 박종화(경동교회 목사) 여해 강원용 목사와 한국사회 속의 교회 - 김경재(한신대 명예교수) 가난한 화전민의 아들 장공 김재준 목사님과의 역사적 만남 강원용을 강원용 되게 해준 세 분의 스승 마지막 순간까지 불꽃처럼 타올랐던 삶 폴 틸리히의 사랑의 신학 라인홀드 니버의 크리스천 리얼리즘 강원용 목사와 한국기독교, 그리고 한국사회 - 열린 개혁파 교회 정신의 개척자 기독학생운동과 에큐메니컬 운동의 선구자 사이ㆍ너머(between & beyond) 체험적 반공주의자 여해 강원용 목사와 세계 교회의 에큐메니컬 운동.. 2021. 5. 17.
[역사에 민족의 길을 묻다 - 송건호의 인물론] - 송건호 (한길사, 2009) [역사에 민족의 길을 묻다 - 송건호의 인물론] - 송건호 (한길사, 2009) 머리말 : 역사적 삶을 살아간다는 것 김구 : 자주독립의 길 통일정부의 이상 서민적 풍모의 자주적 민족주의자 구절양장이라도 옳은 길을 간다 첫째도 둘째도 자주독립뿐 문화국가의 꿈 독재에 대한 철저한 반대 백범의 민족통일사상 자주적 통일정부 수립의 길 북행을 결심하다 위대한 민족의 양심 여운형 : 오해로 얼룩진 미완의 정치 여정 좌경으로 오인돼온 몽양 이제부터는 상전도 종도 없다 파리로 간 신한청년단 동경에서 외친 조선독립 만세 레닌ㆍ손문과의 만남 테러, 체포, 수감 『조선중앙일보』의 사장시절 몽양의 두 번째 동경행 건국동맹의 조직과 활동 해방 정국의 건국준비위원회 테러로 숨진 유능한 지도자 김창숙 : 민족을 향한 한 유림의 .. 2021. 5. 17.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22권] 제1부. 제2장. 독립군단 편성과 항일투쟁 [전집 가기] [목차 가기]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22권] 제1부. 제2장. 독립군단 편성과 항일투쟁 제1절. 독립군단 편성과정 1. 대한독립단의 결성 3ㆍ1운동 이후 만주지역에서는 본격적인 독립군단의 편성이 활성화되었다.... 의병부대의 이동... 유인석은 ‘북천지계’를 세워 만주의 봉화, 집안에서 항일투쟁의 터전을 닦았다. 황해도 의병장 이진룡, 조맹선, 박장호 등도 만주로 이동하여 활동하였다. 이들은 1919년 4월 15일 유화현 삼원포 서구 대화사에서 대한독립단을 결성하고 본격적인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23-26) 2. 무관학교 설립과 독립군 양성 이회영, 이시영, 이동녕, 이상룡, 김동삼... 1911년경 유하현 삼원포에서 독립군 기지 건설에 착수... (26) 신흥무관학교... 신흥무관학.. 2021. 5. 17.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22권] 제1부. 제1장. 만주지역 한인사회와 독립전쟁론 [전집 가기] [목차 가기] 제1부 : 3ㆍ1운동 직후 무장투쟁 제1장. 만주지역 한인사회와 독립전쟁론 제1절. 독립전쟁론과 항일무장단체의 조직 독립전쟁론은 일제가 대륙침략정책을 추진해가는 과정에서 한국을 강점한데 이어 중국ㆍ러시아ㆍ미국 등을 침략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 속에서 수립된 독립운동전략 중 하나였다... 연합군 일원... 민족지도자들은 이를 준비하기 위해 민족정신이 투철한 인사들을 만주ㆍ러시아 등지에 집단적으로 이주시켜 독립군단을 조직하거나 항일정신에 기반을 둔 한인사회 조직에 총력을 기울이기 시작하였다. (5) 1910년대 들어 신민회에 의하여 보다 구체화되었다... 독립전쟁 노선에 따라 서간도지역에 경학사, 부민단, 신흥강습소 등의 단체를 결성하여 항일무장투쟁 기틀을 마련해 나갔다. (5-6.. 2021. 5. 13.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8권] 제6장. 해방 이후 친일세력 처리와 반민특위 활동 [전집 가기] [제8권 가기]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8권] 제6장. 해방 이후 친일세력 처리와 반민특위 활동 제1절. 친일세력 동향과 국내 정치세력의 인식과 대응 해방은 일제강점기에 줄기차게 전개된 민족해방운동의 성과물이라기보다는 연합국 승리의 부산물이었기 때문에 불완전할 수밖에 없었다... 해방직후 친일파 처단에 대한 민중의 요구는 높아 전국 곳곳에서 친일파에 대한 공격이 일어났다. (253) 해방 직후 친일파에 대한 공격은 민족과제인 자주적인 민족국가 수립이라는 인식도 일정 정도 작용했지만, 일제강점기에 민중을 억압하고 탄압한 행위에 대한 감정적 이유가 더 크게 작용하였다. (254) 미국이 신탁통치를 실기하기로 결정한 이유는 특정한 강대국에 의한 한반도의 전일적 지배를 방지하고, 안보를 보장받기 .. 2021. 5. 12.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8권] 제5장. 전시파시즘체제 구축과 친일세력의 동향 [전집가기] [목차가기]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8권] 제5장. 전시파시즘체제 구축과 친일세력의 동향 제1절. 총동원ㆍ총력체제의 구축 전시파시즘기 일제는 내선일체를 구현한다는 명분으로 강력한 사상통제를 실시하였다... 국민정신총동원운동, 국민총력운동으로 이어지는 관제 국민운동을 전개... (189) 1938년 7월부터 시작된 총동원운동은 일본 내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의 영향을 받은 것이지만, 운동의 출범 단계부터 이미 관 주도의 철저한 조직체계를 갖고 있었다는 점에서 일본과 차이가 있었다. (189) 조선의 정동연맹(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일본의 국내 ‘거국일치, 견인지구, 진충보국’이라는 세 가지 목표 이외에도 내선일체의 철저와 조선인의 급속한 황국신민화 도모에 목적을 두었다... 실천요목 중 ‘궁성.. 2021. 5. 11.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8권] 제4장. 일제의 민족말살정책과 친일세력의 현실인식 [목차가기] 제4장. 일제의 민족말살정책과 친일세력의 현실인식 제1절. 국제정세와 일제의 민족말살정책 1. 전시체제기 국제정세와 일제의 대응 1930년대 세계는 급변하고 있었다. 유럽에서는 독일과 이탈리아가 파시즘체제를 구축했다. (151) 1936년 11월 독일과 일본은 방공협정을 체결하였고, 1937년 11월 이탈리아가 이에 가입하여 독일, 이탈리아, 일본 세 나라는 반소련을 외쳤다.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는 제국주의적 대립을 나타내면서도, 일면으로는 독일과 이탈리아가 자본주의의 공동의 적대국인 소련을 봉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판단 아래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하지만 1938년 독일이 오스리아와 체코를 침공하면서 네 나라의 관계는 악화되었으며, 1939년 독일과 소련이 불가침조약을 .. 2021. 5. 10.
[백범일지] - 도진순 주해 (돌베개, 1997) [백범일지] - 도진순 주해 (돌베개, 1997) 교감 원칙 현대성의 원칙 순수성의 원칙 비평성의 원칙 현장성의 원칙 보완성의 원칙 일러두기 백범 출간사 - 1947.11.15 백범일지 : 상권 인ㆍ신 두 아들에게 1. 황해도 벽촌의 어린 시절 1) 조상과 가정 2) 난산의 개구쟁이 3) 궁핍한 배움길 2. 시련의 사회 진출 1) 과거 낙방 2) 동학의 세계로 3) 팔봉 접주 4) 청계동 안진사 5) 스승 고능선 3. 질풍노도의 청년기 1) 북행 견문과 청국 시찰 2) 김이언 의병 3) 인연이 없는 스승의 손자사위 4) 복수 의거, 치하포 사건 5) 첫 번째 투옥 6) 역사적인 심문 7) 사형수 옥중생활 8) 파옥 4. 방랑과 모색 1) 서울로 도피 2) 삼남견문록 3) 출세간의 길 4) 장발의 걸사승 .. 2021. 5. 6.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8권] 3장. 1920~1930년대 초반 일제의 민족분열정책과 친일세력의 동향 [목차가기]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8권] 3장. 1920~1930년대 초반 일제의 민족분열정책과 친일세력의 동향 제1절. 일제의 문화정치와 민족분열정책 3ㆍ1운동 이후 일제는 ‘문화정치’를 표방하며 무력 대신 조선인을 회유하고 동화시키는데 중점을 두었다... 문화정치는 좀더 세련된 방법으로 조선 지배체제를 더욱 강화한 것에 지나지 않았다. (117) 언론ㆍ집회ㆍ출판 등의 제한 완화... 목적은 조선인의 언론ㆍ출판 활동을 보장하는데 있는 것이 아니었다. 사전 검열을 철저히 하면서 조선어 신문ㆍ잡지 발행을 통해 조선인들의 민심 동향을 주시하고 그 저변의 흐름을 미리 알아내는 데 더 중요한 목적이 있었다. (118) 문화정치는 겉으로는 조선인을 위한 정책을 표방하면서 실제로는 식민통치체제를 더욱 강화하는데 .. 2021.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