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자료실]577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38권] 제1부 제2장. 1920년대 기독교의 민족운동 [목차 가기]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38권] 제1부 제2장. 1920년대 기독교의 민족운동 제1절. 기독교계 자성과 현실인식 심화 1. 외교운동에 대한 자성 1) 일제의 계속된 검거로 항일운동이 불가능해진 것... 2) 세계개조의 분위기 속에 인도ㆍ정의를 외치던 세계 열강들에 대한 기대의 좌절... (29) 미 국무성... “일본은 조선의 독립을 허락하지 않기 때문에 윌슨 대통령의 선언은 일본 옅오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하면서 “조선문제는 …순전히 내정문제다”라고 못박았다. (30) 1919년 10월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국제연맹회의... ‘독립청원서’ 작성... 국내진공작전 계획... 단지 노동문제만 다루었을 뿐... 한국독립문제는 처음부터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음... (30) 1921년 태평양회.. 2021. 4. 29.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38권] 제1부 제1장. 3ㆍ1운동과 기독교 [목차가기]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38권] 제1부 제1장. 3ㆍ1운동과 기독교 제1절. 1910년대 기독교인의 단체 1. 기독교 수용과 일제 탄압 한국에서 기독교가 처음 수용되기 시작했을 때 한국인들은 반서양ㆍ반기독교적 성향이 강하였다. 이는 기독교가 이질적인 서양종교라는 것과 천주교에 대한 반감 때문...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을 경험하면서 점차 변화... 당시 지식인들이 기독교를 받아들인 대부분 이유는 민족문제와 깊은 관련이 있었다. (5) 대한제국 학부차관 표손일은 당시 기독교에 대해 “정치상의 불평, 사회상의 곤란을 벗어나기 위하여 이 종교에 들어가는 자가 많고, 참으로 교리의 심원함에 순복하고 심령의 구원을 얻기 위한 신념을 가진 것 같은 자는 그다지 많지 않은 것 같다. … 전도자가 이를 포교하.. 2021. 4. 29.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16권] 제1장. 만주지역 민족운동 [목차 가기]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16권] 제1장. 만주지역 민족운동 제1절. 한인의 간도 개척과 한인사회의 형성 1. 민족 고토로서의 간도 능동적으로 민족사의 새로운 진로를 찾으려는 움직임... 1) 동학농민군의 항전... 2) 영세농민이 서북간도를 비롯한 남북만주와 러시아 연해주 지역으로 이주한 사실... (3) 오늘날 중국 안의 한민족인 ‘조선족’의 원형이 바로 19세기 말~20세기 초에 이주한 한인들이다. (4) 북간도는 연길, 화룡, 왕청의 3현과 흔히 훈춘현 등의 4개 현이 중심이 되었으나, 넓게는 액목, 돈화, 동녕, 영안 등 4개 현도 아울러 지칭하기도 한다. (4) 서간도에는 집안, 통화, 유하, 회인, 관전, 임강, 장백, 무송, 안도, 흥경, 현, 해룡 등 여러 현이 자리잡고 있다.. 2021. 4. 28.
[칼 바르트의 신학] 바르트의 신학과 한국 장로교회의 분열 [목차 가기] 바르트의 신학과 한국 장로교회의 분열 세계의 교회와 신학자들이 20C의 가장 성서적이고 복음적인 신학자로 꼽고 있는 바르트가 왜 한국에서는 자유주의 신학자로 알려졌을까?... 바르트는 20세기에 그 누구보다도 예수 그리스도의 육체적 부활을 강조하고 이를 기초로 그의 전체 신학을 체계화했고... 수많은 유럽의 학문적 신학자들의 비판을 받으면서 예수 그리스도의 동정녀 찬생을 강조했던 신학자였다. (309) 한국 장로교회는 바르트의 신학과 신정통주의 신학에 대한 심대한 오해로 말미암아 거대한 교회 분열이 일어났고 이 분열은 아직도 치유되지 않고 있다. (310) 한종회... 「정통주의 신학에서 본 칼 바르트 신학」이라는 바르트 신학에 대한 오류가 많은 비판서 저술... 2002년에 대한예수교장로.. 2021. 4. 27.
[20세기 최고의 신학의 교부 - 칼 바르트의 신학] - 김명용 (이레서원, 2007) [20세기 최고의 신학의 교부 - 칼 바르트의 신학] 김명용 (이레서원, 2007) 머리말 생애 바르트 신학의 특징 하나님의 말씀의 신학 하나님의 주권의 신학 하나님의 은총의 신학 살아계신 하나님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신학 로마서 강해 젊은 칼 바르트의 자유주의 신학사상 『로마서 강해』 제1판(1919)에 나타난 칼 바르트의 신학사상 - 세상과 다른 하나님 - 하나님 나라 건설의 전제인 하나님의 능력 - 세상을 부정하고 긍정하는 하나님의 변증법적 활동 - 역사 속에서 성장하는 하나님의 나라 『로마서 강해』(제2판(1922)에 나타난 칼 바르트의 신학사상 - 전적 타자이신 하나님 - 세상 속에 존재하지 않는 하나님의 나라 - 하나님의 심판과 세상의 위기 - 하나님의 존재와 행위의 불가해성 - 세상에 존재하.. 2021. 4. 27.
[필원반백년 - 김춘배] - 김춘배 (성문학사, 1977) 東海牧夫頌(동해목부송) - “필원반백년”에 부쳐 - 박두진 머리말 [1] 필원의 첫걸음 1. 은사의 부르심 2. 교정(校正)이란 어려운 것 3. 말썽을 일으켰던 산동선교문제 4. 광암선생(廣巖先生)의 별세 5. 筆禍(필화)와 減俸(감봉) - 경성교회를 시찰하고 6. 사장 하디 박사 7. 基督敎彰文社(기독교창문사)와 게일의 신역성경 8. 민족문화운동의 활발 9. 李商在翁(이상재옹)의 社會葬(사회장) - 민세 안재홍의 추도사 - 비문 : 변영로 짓고 김충현 쓰다 10. 교회합동문제 11. 김영구 목사의 별세 - 설교문 : “생명의 超躍(초약)” - 마가 10장 17-22절 12. 중앙Y의 일요강화 13. 신간회의 해산 14. 삼상(三喪) 15. 기독신보의 최후 16. 조선의 講壇(강단) [2] 恩寵(은총)과.. 2021. 4. 27.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4권] 제6장. 조선주둔 일본군과 헌병경찰제도 [목차 가기]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4권] 제6장. 조선주둔 일본군과 헌병경찰제도 제1절. 조선주둔 일본군 마지막 조선군사령관 상월양부... 1945년 패전 당시 조선주둔 일본군은 약 23만의 군대가 소속되어 있었다고 기록... (251) 1. 조선에서 일본군의 기원 1880년 당시 조선의 수도 서울에 일본공사관이 개설될 때 수행원 중에 일본 군인이 포함되어 있었던 것이 처음이라고 할 수 있다. (252) 1882년 임오군란이 발생하여 조선군인 등에 의한 일본공사관 습격사건이 발생한 후 일단 장기로 피신했던 하방의질 공사는 같은 해 7월 16일 2개 중대의 병력을 이끌고 다시 서울로 들어왔다.... 임오군란 후속조치로 제물포조약 체결... ‘공사관수비대’ 명목으로 일분군 주둔 권리 획득... (253).. 2021. 4. 27.
[장로교 최초 목사 7인 리더십] 8. 한석진 목사의 목회 리더십 [목차 가기] 8. 한석진 목사의 목회 리더십 - 정성한 교수(영남신대) 한석진 목사의 목회 지도력 서론 한석진 목사는 한국교회 초기의 자생적 신앙공동체의 일원이면서 한국교회가 민족종교로 자리잡는 데 크게 기여한 한국교회 지도자 중의 한 사람이다. (154) 선교사의 한국선교 정책을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한국인에 의한, 한국인의 교회’를 설립하는 주도적이면서도 독보적인 지도자가 되었다. (154) 한국 장로교가 파송한 첫 일본 선교사로서 일본선교에서 보여준 목회 지도력 (155) 1. 한석진 목사의 연표 이덕주, 《한국기독교인물탐구2, 한국기독교 선구자 한석진 목사의 생애와 사상, 나라의 독립 교회의 독립》(서울 : 기독교문사, 1988), pp.325-334. 2. 한석진 목사의 한국교회사적 위치 :.. 2021. 4. 26.
[장로교 최초 목사 7인 리더십] - 김수진, 차종순, 정성한, 임희국, 탁지일 (쿰란출판사, 2010) 발간사 : 2010년 8월 20일 - 이만규 목사 1. 방기창 목사의 목회 리더십 - 탁지일 복음적 원칙주의자, 실천적 민족주의자 방기창 목사 1. 양반 방기창(1851~1883), 봉건사회의 리더 2. 동학 접주 방기창(1883~1893), 민족운동의 리더 3. 목회자 방기창(1893~1911), 한국교회의 리더 4. 방기창의 목회 리더십 2. 서경조 목사의 목회 리더십 - 차종순 서경조를 필두로 서씨와 김시 양 가문을 중심으로 소래교회 초기 출신들의 이야기 1. 초기 개종자의 전형적인 모습 2. 기독교계 지도자로서의 과정 (1) 소래교회의 지도자 : 의리 있는 목회자 (2) 목사 임직과 황해도 지역의 목회자 1) 유능한 성경교사 2) 유능한 서기 3) 감사절 제청과 제정 4) 새문안교회 목회와 경기지.. 2021. 4.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