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자료실]577 [분단과 민족 - 민족운동사의 시각으로 본 분단사회] - 송건호(지식산업사, 1986) 머리말 1. 분단조국의 전개 한국민족통일운동사론 머리말 민족분단과 통일운동 : 1945~1969 남북대화 남북관계의 再冷却(재냉각) 남북 관계의 악화 8ㆍ15 후의 한국민족주의 해방과 민족진영 주체성 없는 정치세력의 등장 자주세력의 좌절 남북협상의 길 경제ㆍ문화적 여건 이승만체제의 기반 구축 민족주의의 부정적 발전 분단시대의 개막 8ㆍ15의 감격 8ㆍ15 직후의 정치상황 좌우익 정당의 통일노력 이승만 좌파의 통일노력 좌절 임정과 인공과의 합작운동 찬반탁과 통일운동 2. 분단상황 속의 민중 탁치안의 제의와 찬반탁 논쟁 각 정당의 반응 이승만(李承晩)의 반탁 미국의 신탁통치정책 좌파의 모스크바 3상협상 지지 합작운동의 실패 분단상황 속의 民衆像(민중상) - 작품 속에 나타난 한국인 친일파와 반공 구한말과 오.. 2021. 4. 22. [북간도 정재면의 독립운동사 - 하늘에는 총총한 별들이] - 정대위(청맥, 1993) 머리말 - 정재면ㆍ이주선 추천사 - 신용하 추천사 - 서영훈 제1장. 정재면 목사 일대기 - 서굉일 참고문헌 제2장. 아버님과 박계주(朴啓周)의 - 정대위 1. 잃어버린 원고 2. 발표 ‘시기 상조’의 의미 제3장. 별들이 긋고 지나간 자취를 에서 찾는다 1. ‘백산’(白山)이 이야기하는 북간도 독립 운동의 계보 2. 독립군의 무장을 위하여 3. 마적과 일본의 결탁, 그리고 홍범도 장군의 전투 4. 비장한 유격전 5. 무력 항쟁의 피날레 6. ‘백산’의 절규 7. 히다카 헤이지로 제4장. 어제인 듯한 70년 전 옛 기억 1. 정재면 선생과 기독교 - 고 김신문 여사 2. 만주에서의 나의 청년 시절 - 고 이환신 감독 제5장. 북간도 ‘대한국민회’의 조직 형태에 관한 연구 - 송우혜 1. 서론 2. 191.. 2021. 4. 22. [보재 이상설 평전 - 독립운동의 선구자] - 김삼웅(채륜, 2016) 여는말 - 이상설 선생, 그는 누구인가? 항일독립운동의 선구자 보재 이상설 ‘역사정의’ 짓밟힌 시대, 이상설 정신과 함께 추천하는 말 : 보재 이상설, 그분을 다시 광장에서 만납시다 - 이재정 1장. 출생과 학문 연구 시기 진산군 덕산면 선비 아들로 태어나 7세에 양부따라 상경 수재들과 신구학문, 과거급제 2장. 학문 연찬과 출사시기 독학으로 외국어 익히고 신학문연구 『비유자문답(非有子問答』에 쓴 서문 일제 황무지개척권 반대상소 의정부참찬, 을사늑약 막고자 했으나 이시영이 증언한 ‘늑약’ 저지의 역할 고종에게 ‘죽음으로 비준거부하라’ 상소 이상설이 기록한 ‘늑약의 현장’ 3장. 벼슬을 버리고 구국운동에 나서 거듭 사직소, 벼슬 던지다 을사늑약 파기운동 주도 ‘서전서숙’ 설립 민족교육 효시 사재 털어 학교.. 2021. 4. 22. [미드라쉬 입문 - 라삐들은 성경을 어떻게 다루었는가?] - 귄터 스템베르거 / 이수민 (바오로딸, 2011) ‘유다ㆍ그리스도교 고전 입문 총서’ 발간에 즈음하여 - 정태현 신부 옮긴이의 글 서언 제1부. 미드라쉬의 성립과 본질, 그리고 발전 I. 유다인들의 성경 해석의 시작 1. 성경 안에서의 성경 해석 2. 헬라 전통 3. 신구약 중간 시대의 문헌들 4. 쿰란의 성경 해석 5. 신약성경 II. 미드라쉬란 무엇인가? III. 회당의 성경 낭독 IV. 가장 중요한 미드라쉬 작품들 1. 할라카 미드라쉬들 2. 창세기 메길로트에 관한 옛 미드라쉬들 3. 강론 미드라쉬들 4. 다시 꾸며 낸 성경 이야기 V. 라삐들의 논리 1. 힐렐의 일곱 규칙 2. 라삐 이쉬마엘의 열세규칙 3. 라삐 엘리에제르의 서른두 규칙 제2부. 선택한 본문들 I. 할라카 미드라쉬 1. 이집트에서 해방 : 탈출 12,29-37(『메킬타』 피샤 1.. 2021. 4. 22. [미드라쉬 1 - 창세기 따라 전설 따라] - 강문호(한국가능성계발원, 1996) 머리말 창조의 비밀 천지 창조와 평화 창조 과정 하나님의 테스트 벌 받은 뱀 가인의 말로 노아 노아 홍수로 세상을 멸하시는 이유 노아가 방주를 만들다 홍수 홍수가 끝나다 배에서 나오다 무지개 바벨탑 사건 아브람이 우상을 거절함 감옥에 간 아브람 불 용광로에 들어간 아브람 아브람의 이사 가나안으로 간 아브람 가나안으로 간 아브람 애굽으로 간 아브람 아브람과 롯의 이별 아브람의 전쟁 승리 하나님의 약속 하갈과 이스마엘 할례를 명하신 하나님 천사를 대접한 아브라함 천사를 대접한 아브라함 천사의 축복 72인의 토라 번역 소돔의 잔인한 법 아브라함의 소돔을 향한 기도 롯의 가정에 간 천사 소돔 멸망 아비멜렉 사건 브엘쉐바의 아브라함 이삭 탄생 아비멜렉과 아브라함 아브라함을 향한 시험 사라의 죽음 사라의 죽음 사라.. 2021. 4. 22. [마전에서 역삼까지] - 상마 장하구(종로서적주식회사, 1979) 고향 족보 유년시절 초등학교 시절 I 초등학교 시절 II 중학교 시절 북간도 대학시절 전쟁과 사랑 해방과 결혼 서울대학교 주변 교단 생활 6ㆍ25 동란 향린교회 독일 유학 고목과 새싹 전환기 종로서적 향린동산 향린동산 자연환경 헌장 교계의 언저리에서 1977년 성공과 실패 참을 찾으며 뒷글 부록 장승언 장로와 그 부인의 생애 장성룡 할머니 약전 은혼 - 원금순 2021. 4. 22. [디트리히 본회퍼의 신학] - 존. D. 갓시 / 유석성ㆍ김성복 옮김(대한기독교서회, 2006) 한국어 독자를 위한 서문 역자 서문 서문 제1장. 신학적 토대 A. 전기(傳記) 소개(1906~1931) B. 신학적 해석 1. “성도의 교제” 2. “행위와 존재” 제2장. 신학적 적용 A. 전기 소개(1932~1939) B. 신학적 해석 1. 에큐메니컬 운동 2. 독일교회투쟁 3. 성서의 신학적 해석 a. “창조와 타락” b. “다윗 왕”(King David) c. “나를 따르라”(The Cost of Discipleship) d. “유혹”(Temptation) e. “신도의 공동생활”(Life Together) f. “성서의 기도책”(The Prayer Book of the Bible) 제3장. 신학적 단편 A. 전기 소개(1940~1945) B. 신학적 해석 1. “윤리학”(Ethics) 2. “.. 2021. 4. 22. [한국 기독교회의 역사] - 김인수(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1997) 머리말 제1편 : 로마 가톨릭 교회의 한국 선교 제1장. 가톨릭 선교 이전 기독교와의 접촉 가능성 1. 경교(景敎)의 동양 선교 2. 경교의 한국 선교 가능성 3. 고려시대 기독교와의 접촉 가능성 제2장. 선교 이전의 가톨릭 교회와의 접촉 1. 임진왜란과 천주교회 2. 조선에 첫발을 디딘 가톨릭 성직자 - 세스페데스 3. 중국에서 소현세자의 천주교 접촉 4. 유학자들의 서학(西學) 접촉 제3장. 한국 천주교회의 창시 1. 이승훈의 영세 2. 초기 천주교의 태동과 가(假)성직시대 3. 을사추초적발사건 4. 초기 천주교회의 배교자들 제4장. 수난 속에 생존하는 천주교회 1. 신해교난 - ‘무군무부’의 종교로 오인된 천주교회 2. 신유교난 - 최초의 성직자 주문모 신부의 입국과 순교 3. 황사영의 백서사건 -.. 2021. 4. 21. [한국 독립운동사 강의] - 한국근현대사학회(한울아카데미, 2007) 책머리에 총설 : 한국 독립운동사의 이해 독립운동의 개념과 범주 독립운동의 객관적 조건 독립운동의 전개 독립운동의 목표와 이념 독립운동사에 대한 이해 제1부 : 한국 독립운동의 조건과 특성 제1장. 일제 식민지 통치의 실상 1. 식민지 지배체제와 통치이념 2. 1910년대 :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3. 1920년대 : 경제수탈 강화와 민족분열 획책 4. 1930년대 전반 : 전시체제로의 전환 5. 1930년대 후반 이후 : 총동원체제와 민족말살 기도 이야깃거리 / 읽을거리 제2장. 한국 독립운동의 시기별 특성 1. 1910년대 : 독립운동 체제 정비와 해외 독립군기지 개척 2. 1920년대 : 독립운동전선의 확대와 민족총력항쟁 3. 1930년대 : 독립운동의 시련과 질적 심화 4. 1940년대 전반 독립.. 2021. 4. 21.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