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자료실]577

[중동의 눈으로 본 예수] 4장. 헤롯의 잔학 행위, 시므온과 안나 (마태복음 2:13-18 ; 누가복음 2:22-36) [목차 가기] [중동의 눈으로 본 예수] 4장. 헤롯의 잔학 행위, 시므온과 안나 (마태복음 2:13-18 ; 누가복음 2:22-36) 그 사건은 왜 일어났을까? 헤롯은 정말 복잡한 인물이다. 민족적인 측면에서 헤롯은 아랍인이었다. 종교적인 측면에서 헤롯은 유대인이었다. 정치적인 측면에서 헤롯은 로마인이었다. (91-94) 예수는 이토록 잔혹한 세상에 태어나셨으며, 헤롯은 그의 시대에 나신 한 사람이 아니었으면 그야말로 알려질 필요조차 없는 인간이었다. (94) 왜 이런 잔혹한 기사를 예수탄생 이야기에 포함시켰을까? 자주 언급되는 이유는 마태가 예수를 새로운 모세로 제시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학살 이야기를 집어넣은 데는 또 다른 중요한 이유가 있었을지도 모른다. (94-95) 예수가 태.. 2021. 8. 11.
[중동의 눈으로 본 예수] 3장. 구원자, 현자들 그리고 이사야의 환상 (마태복음 2:1-12 ; 이사야 60:1-7) [목차 가기] [중동의 눈으로 본 예수] 3장. 구원자, 현자들 그리고 이사야의 환상 (마태복음 2:1-12 ; 이사야 60:1-7) 어떤 공동체를 상대로 모든 이가 죄인이요 따라서 구원의 은혜가 필요하니 모든 이가 회개해야 한다고 말하려면 엄청난 용기가 필요하다. 사가랴는 누가복음 1:76-77에서 자기 아들 요한을 두고 몇 마디 말을 계속 이어간다. “이는 네가 주 앞에 가서 그의 길을 준비하고 그의 백성에게 그들의 죄를 용서하심으로 베푸실 구원을 알게 할 것이기 때문이라.” 공동체의 문제는 단순히 “우리를 미워하는 자들”이 아니다. 도리어 이 문제는 이 말씀이 공동체 구성원들을 그들 자신의 죄로부터 구원받아야 할 이로 선언한다는 것이다. 억압받는 자들도 역시 죄인이다! 죄인을 위한 구주는 만인을 위.. 2021. 8. 11.
[중동의 눈으로 본 예수] 2장. 예수 계보와 의인 요셉 (마태복음 1:1-21) [목차 가기] 의인 요셉 성경은 요셉을 “의로운 사람”이라 부르는데 이는 무슨 뜻인가? 이런 말은 보통 율법에 순종하고 규칙을 만인에게 공평히 적용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요셉은 정의를 특이하고 예상치 못한 모습으로 규정하여 이를 마리아에게 닥친 위기에 적용했다. 요셉이 생각하는 정의는 “법을 평등하게 적용”하는 차원을 넘어선 것이었다. 그러면 요셉이 활용할 수 있을 정도로 이미 정의를 더 넓게 이해한 견해가 있었을까? 키에르케고어... 『공포와 전율』에서 진정한 신앙은 “절대자와 맺은 절대 관계”를 요구한다고 주장한다. 신자는 하나님 앞에 벌거벗은 채 서 있다. 둘 사이에는 율법이 없다... 아브라함... 고금을 불문하고 모든 법은 아비가 아들을 죽여서는 안된다고 말한다. 아브라함이 하나님께 순종하려면 .. 2021. 8. 11.
[중동의 눈으로 본 예수 - 고대 중동의 삶, 역사, 문화를 통해 본 복음서] - 케네스 E. 베일리(박규태 옮김) [중동의 눈으로 본 예수 - 고대 중동의 삶, 역사, 문화를 통해 본 복음서] - 케네스 E. 베일리(박규태 옮김) 서문 들어가는 글 제1부 : 예수 탄생 1장. 예수 탄생 이야기(누가복음 2:1-20) 한 기독교 소설 요약 : 예수 탄생 이야기 2장. 예수 계보와 의인 요셉(마태복음 1:1-21) [정리] 의인 요셉 요셉의 분노 요약 : 예수 계보와 의인 요셉 3장. 구원자, 현자들 그리고 이사야의 환상(마태복음 2:1-12 ; 이사야 60:1-7) [정리] 예수는 누구를 구원하러 오셨는가? 현자들은 어디서 축하하러 왔는가? 예루살렘과 이사야 60장은 성탄과 무슨 관련이 있는가? 요약 : 구원자, 현자들 그리고 이사야의 환상 4장. 헤롯의 잔학 행위, 시므온과 안나(마태복음 2:13-18 ; 누가복음 .. 2021. 8. 11.
“종교 권력과 교회 분열” - 연규홍 “종교 권력과 교회 분열” - 연규홍 『장공 김재준의 신학세계』 (한신대학교 출판부, 2006), 365-382. 1. 머리말 “분열은 교회의 세상에 대한 도덕적 패배이다.” 『교회 분열의 사회학적 기원』을 쓴 리처드 니버(Richard Niebuhr)의 이 말은 오늘날 한국 교회를 향한 매우 도전적이고 의미있는 말이 아닐 수 없다... 세상을 하나 되게 할 교회가 오히려 분열함으로 세상을 나누고 있다는 것은 분명 세상에 대한 교회의 도덕적 실패이다. (365) 한국 장로교회 분열의 정치적 원인을 교권문제를 중심으로 논구... (365) 2. 해방 후 한국 장로교회의 재건과 주도권 갈등 8ㆍ15 해방을 맞이한 이후 교회의 재건의 주체 문제... 북한 교회는 신사참배를 반대하여 옥중생활을 하였던 출옥 성도.. 2021. 7. 20.
[한국기독교회사 1 (1784-1910)] - 박용규 (생명의말씀사, 2004) [한국기독교회사 1 (1784-1910)] - 박용규 (생명의말씀사, 2004) 머리말 서론 : 한국교회사 이해와 연구 방법론 한국교회사 연구 방법론 문제 1910년 이전 한국 관련 초기 문헌 1920년 이후 한국교회사 문헌 백낙준의 “선교사관” 민경배의 “민족교회사관”과 민중신학의 “민중사관” 이만열, 한국기독교 역사연구소의 “실증주의 사관” 김영재의 〈한국교회사〉와 그의 교회사 이해 한국교회사의 복음주의적 해석 해석적 평가 및 제언 제1부. 한국개신교 전래 이전 서양종교와의 접촉 제1장. 초기 서양문화ㆍ종교와의 접촉 중국을 통한 경교와의 접촉 문제 경교의 한국 전래 가능성 아랍문명을 통한 세계와의 첫 접촉 루브루크와몽고를 통한 가톨릭과의 접촉 가능성 제2장. 임진왜란 이후 서양문화와의 접촉 임진왜란을.. 2021. 7. 11.
“장공 김재준 신학사상의 유교적 요소” - 사서 인용을 중심으로 (한문덕) “장공 김재준 신학사상의 유교적 요소” - 사서 인용을 중심으로 (한문덕) 『장공 김재준의 신학세계』 (한신대학교 출판부, 2006), 247-291. 1. 들어가는 말 바울은 그리스도를 인하여 모든 것을 오물로 여긴다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신학 안에는 유대인으로서의 율법 이해와 또 헬라 철학에 대한 지식이 활용되고 녹아 있다. (247) 장공 김재준은 어린 시절 가정 종교로서 유교인으로 살다가, 21세에 김익두 목사의 부흥회를 통해 그리스도인이 된다... 김재준 목사가 자신의 정체성을 그리스도인으로 삼고 있다고 해서 21세 이전의 삶이 사라질 수는 없다. 우선 김재준 목사는 스스로 그의 전집에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유교적 성향에 대해 언급한다. (247-248) 해석학 이론에 따르면 인간의 삶 자체.. 2021. 7. 7.
“김재준의 생활신학의 원리와 구조” - 류장현 “김재준의 생활신학의 원리와 구조” - 류장현 『장공 김재준의 신학세계』 (한신대학교 출판부, 2006), 203-245. 1. 들어가는 말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한국 교회는 세계 교회로부터 “선교의 기적”이라고 평가받을 만큼 놀라운 성장을 했다... (203) 대내외적 위기 상황... 내적으로는 성장에 치우쳐 등한시했던 교회의 세속화를 극복해야 하며 외적으로는 21세기 탈산업화 사회에 적합한 교회로 변화되어야 한다. (203) 한국 교회의 개혁의 결과로 태동된 한국기독교장로회는 희년 50년을 지나면서 목회현장에서 극복의 대상이었던 정통주의 신학의 영향으로 기장성과 한신성의 상실 위기에 직면해 있다. (204) 김재준 목사의 생활신학... (204) 장공은 종교적으로 인간을 억압하는 정통주의 신학을.. 2021. 7. 6.
“만우ㆍ장공 신학의 유형적 특징 비교와 신학교육에서 그 통전의 과제” - 김경재 “만우ㆍ장공 신학의 유형적 특징 비교와 신학교육에서 그 통전의 과제” - 김경재 『장공 김재준의 신학세계』 (한신대학교 출판부, 2006), 147-177. 1. 들어가는 말 『논어』에 “군자화이부동(君子和而不同), 小人同而不和)”라는 공자의 가르침이 있다. 군자... 이상적인 단계에 도달한 성숙한 인간, 된 사람, 영근 인간, 참 사람, 본래적 인간, 극기복례(克己復禮)를 달성했기에 남의 지도자가 능히 될 수 있는 사람... 소인이란 군자와 대조되는 덜 된 사람, 비본래적 인간, 존경받거나 지도자가 될 수 없는 사람, 최고 수준의 지식인일지라도 기회주의자이거나 이기적 관점을 벗어나지 못한 사람... (147) 진정한 군자는 화합하되 무조건 동일화하여 같아지려고 아니하지만, 소인은 같음을 강조하며 동시에.. 2021. 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