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서 목차 자료실]/[하]110

[한국기독교 정기간행물 100년] - 한영제 편(기독교문사, 1987) 간행사 : 한국 교회 역사의 증언 - 한영제 한국 기독교 신문ㆍ잡지 개관 - 이덕주 1. 머리말 2. 도입기(1885~1910년) 2.1. 일반 정기간행물과 기독교 2.2. 기독교 정기간행물 2.3. 개화사상과 민족운동 2.4. 선교와 변증 3. 확립기(1911~1934년) 3.1. 순수 기독교 신문의 발간 3.2. 기독교 잡지 - 기독교 문화의 산실 3.3. 수난과 갈등속의 자기 성찰 4. 수난기(1935~1945년) 4.1. 위축되는 정기간행물 4.2. 친일 어용 언론 4.3. 저항과 수난 5. 혼돈기(1946~1960년) 5.1. 재개되는 신문 언론 5.2. 자리 잡아가는 잡지 문화 5.3. 혼란 속의 자기 성찰 6. 정비기(1961~현재) 6.1. 정착되는 신문 언론 6.2. 다양한 잡지 문화 6.. 2021. 4. 16.
[한국기독교회사 - 호남편] - 김수진, 한인수 공저(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교육부, 1979) 발간사 - 김종대 머리말 서론 제1장. 개신교의 한국 선교 I. 정통과 기독교 II. 종교적, 사회적 정황 III. 초기 개신교 선교와 민족주의 1. 비식민지적인 미국의 한국접촉이 가져온 개신교 선교적 의미 2. 개신교 전래의 개척자들 ㄱ) 토마스 목사의 순교 ㄴ) 로쓰와 맥킨타이어의 선교활동 ㄷ) 이수정의 행적 3. 알렌의 입국과 활동 4. 미국 장ㆍ감 선교사들의 내한 ㄱ) 초기의 한국 선교 ㄴ) 네비우스 방법 제2장. 미남장로교 선교회의 설치 및 선교 개시 I. 최초 선발대의 파송내력 1. 레이놀즈(William Davis Reynolds, 이눌서) 2. 팻시ㆍ볼링(Patsy Bolling) 3. 정킨(William McCleery Junckin, 전위렴) 4. 매리ㆍ레이번(Mary Leyburn) .. 2021. 4. 16.
[한국의 마테오 리치 - 제임스 게일 James S. Gale, The Matteo Ricci of Korda] - 제임스 S. 게일 / 권혁일 번역(KIATS, 2012) Section 1 [한글 번역본 Korean Version] 제1부 : 게일과 초기 한국교회 (1) 조선 : 기독교 신앙을 받아들일 준비를 하다 (2) 세계사의 길목에 접어든 조선 (3) 한성감옥에서 연못골 교회까지 (4) 1907년 평양대부흥성회 제2부 : 한국민족과 한국역사 (1) 이천만 조선인 (2) 글을 좋아하는 국민 (3) 쇄국과 새로운 시대 (4) 소설 The Vanguard에 그려진 한국역사 제3부 : 한국종교와 조상 숭배 (1) 소설 The Vanguard에 그려진 한국의 종교 (2) 한국의 일반 종교 (3) 조상의 덕으로 사는 조선인 (4) 한국의 전설, 민담, 이야기 제4부 : 은자의 나라에 발을 내디딘 선교사 이야기 (1) 소설 The Vanguard에 그려진 평양 이야기 (2) 닫혀.. 2021. 4. 16.
[한국전쟁의 기원] - 부르스 커밍스 / 김자동 옮김(일월서각, 1986) 『한국전쟁의 기원』 발간을 축하하며 - 송건호 일러두기 머리말 제1부. 일제 식민통치와 민족해방 제1장. 일제하 한국의 계급과 국가기구 식민지적 국가기구 주도적인 철도의 역할 상업 동원된 노동계급 항일운동 제2장. 일제하 한국의 지주ㆍ소작관계 일제하의 농업 한국농민과 시장의 발전 한국의 인구 유출 동원과 저항 결론 제3장. 혁명과 반동 : 1945년 8월과 9월 일제 식민통치의 종료 조선건국준비위원회 조선인민공화국 인공에 대한 반대 결론 제4장. 미국의 대한(對韓) 정책 : 민족주의와 국제주의의 대립, 1943~1945 1943년 3월 : 신탁통치 떠오르다 카이로회담 : ‘적절한 시기에’ 있어서의 독립 얄타회의와 포츠담회의 : 위기에 처한 신탁통치 전후의 첫 봉쇄 : 1945년의 한국 분할 오키나와에서 .. 2021. 4. 16.
[한국통사(韓國痛史)] - 박은식 저 / 김태웅 역해(아카넷, 2012) ‘규장각 고전 총서’ 발간에 부쳐 해제 : 한국 근대의 사기(史記)를 읽는다 이 책을 다시 읽어야 하는 이유 민족혼을 불러일으킨 근대의 고전 민족사학의 길을 열다 근대적 방식으로 서술된 최초의 우리 역사 일러두기 서언 『한국통사(韓國痛史)』를 쓴 이유 나라 잃은 망명객의 슬픔과 아픔 제국주의 국가의 통치체제를 비교하다 역사를 잃지 않으면 언젠가 나라를 다시 찾으리 제1부 시대 개관 : 조선 사회의 동요와 대원군의 개혁, 그리고 서구 열강의 통상 요구 지리의 큰 줄기 대원군의 섭정 경복궁의 중건 서원 철폐 조세제도 개혁 프랑스군을 크게 이김 미국 함대를 물리침 제2부 시대 개관 : 근대 개혁을 둘러싼 갈등과 일본 침략의 노골화 임오군란 갑신정변 갑오동학란 갑오개혁 일본인이 국모를 시해함 제3부 시대 개관 .. 2021. 4. 16.
[화해꾼, 이승만 목사] - 박용진(한국장로교출판사, 2007) 저자 서문 - 박용진 추천서 1 : 평화를 이룩하는 사람의 복 - 한완상 추천서 2 : 현대판 요셉과 다니엘 - 림인식 추천서 3 : 한국교계가 모두 화해꾼이 되기를 바라며 - 박대선 추천서 4 : 한국이 낳은 이 시대의 복음의 대사 - 이연옥 이승만 목사는 누구인가? 1. 가난한 목사의 가정 2. 고난과 압제의 세월 3. 8ㆍ15해방과 감격 4. 공산 치하에서의 생활 5. 성화신학교와의 만남 6. 최초의 졸업식, 최후의 “메시아” 연주회 7. 박대선 목사와 김학수 화백과의 만남 8. 아버지의 순교 9. 가족과의 이별 10. 성화동지와 방위군 사건 11. 해병대 입대 12. 영어 때문에 얻은 행운 13. 학업을 위한 탈출 14. 뜻밖에 열린 미국유학의 길 15. 문산에서 서울까지 트럭 통학 신학생 16... 2021. 4. 16.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40권] 6ㆍ10만세운동 - 장석흥 제1장. 6ㆍ10만세운동의 연구성과와 과제 제1절. 연구성과 제2절. 연구과제 제2장. 6ㆍ10만세운동의 배경 제1절. 국제정세와 독립운동의 객관적 조건 제2절. 일제의 분열정책과 식민지 사회구조 제3절. 국내외 민족세력의 형세 1. 국내 민족세력의 양상 1) 개량주의의 대두와 자치론 2) 사회주의운동의 통합 모색 2. 융희황제의 승하와 국외민족세력의 동향 1) 중국 상해지역 2) 일본지역 제4절. 융희황제 승하에 대한 민족언론지의 논조 1. 융희황제 국상과 국내 신문의 반응 1) 융희황제의 승하 2) 송학선의 금호문 의거 3) 망곡ㆍ봉도ㆍ맹휴와 민족의식의 고취 2. 국내 잡지 『신민』에 비쳐진 융희황제 3. 해외 언론지 『신한민보』ㆍ『선봉』ㆍ『혁명』에 비쳐진 융희황제의 국상 1) 『신한민보』 2) 『선.. 2021. 4. 16.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39권] 1920년대 학생운동 - 장규식 제1장. 1920년대 학생운동의 지형과 연구현황 제1절. 1920년대 학생운동의 지형 제2절. 1920년대 학생운동의 연구현황 제2장. 전국적 학생운동 단체의 성립과 활동 제1절. 문화주의 대두와 조선학생회 1. 3ㆍ1운동 전후의 학생계 동향 2. 조선학생대회의 조직과 활동 1) 문화주의 사조의 확산과 조선학생대회의 창립 2) 조선학생대회의 조직구성 3) 조선학생대회의 해산 3. 조선학생회의 조직과 활동 1) 조선학생회의 창립과 주요사업 2) 내부 노선갈등과 조선학생총연합회의 발기 3) 학생운동 지형의 변화 제2절. 사회주의 수용과 조선학생과학연구회 1. 사회주의계열 학생사상단체의 등장 1) 공학회의 창립과 해산 2) 서울학생구락부와 경성학생연맹의 성립 2. 조선학생과학연구회의 조직과 활동 1) 조선학생.. 2021. 4. 16.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38권] 종교계의 민족운동 - 김광식, 김동환, 윤선자, 윤정란, 조규태 제1부 : 기독교의 민족운동 제1장 : 3ㆍ1운동과 기독교 [정리] 제1절 : 1910년대 기독교인의 단체 1. 기독교 수용과 일제 탄압 2. 기독교단체 조직과 사회참여 제2절 : 3ㆍ1운동 주도와 참여 1. 준비단계에서 기독교 역할 2. 민족대표로서 참여 제3절 : 의열투쟁과 해외독립운동 지원 1. 기독교인의 의열투쟁 2. 국외독립운동단체와 연계 및 지원 제2장 : 1920년대 기독교의 민족운동 [정리] 제1절 : 기독교계 자성과 현실인식 심화 1. 외교운동에 대한 자성 2. 실력양성론의 확산 3. YMCAㆍYWCA 조직과 활동 제2절 : 통일전선운동 참여 1. 신간회운동과 기독교 2. 근우회와 기독교여성단체 제3장 : 1930년대 이후 기독교의 민족운동과 의의 [정리] 제1절 : 1930년대 전반기 .. 2021. 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