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목차 자료실]212 [19-20세기 프로테스탄트 사상사] - 파울 틸리히, 송기득 옮김(대한기독교서회, 2004) 옮긴이의 머리말 책 머리에 : 문제와 방법 / 15 [1] 정통주의, 경건주의, 합리주의 안에서 유동하는 강조점 1. 정통주의 시대 / 25 2. 정통주의에 대한 경건주의의 반동 / 32 3. 합리주의의 대두 / 34 [2] 계몽주의와 그 문제 1. 계몽주의의 본질 / 43 1) 자율에 관한 칸트의 정의 2) 이성의 개념 (1) 보편적 이성 (2) 비판적 이성 (3) 직관적 이성 (4) 기술적 이성 3) 자연의 개념 4) 조화의 개념 2. 계몽주의적 인간의 자세 / 68 1) 부르주아적 성격 2) 합리적인 종교의 이상 .. 2021. 4. 9. [3ㆍ1 혁명과 임시정부 - 대한민국의 뿌리] - 김삼웅(두레, 2019) 머리말 : 대한민국의 모태 3ㆍ1혁명과 임시정부 [1] 나라가 망하기까지의 과정 경술국치의 전말 황제의 서명이 빠진 병탄조약문 무능한 왕, 친일 매국노와 일제의 합작품 [2] 3ㆍ1 혁명이 싹트다 요동치는 국제정세 3ㆍ1혁명의 기운이 싹트다 재일유학생과 상하이 신한혁명당 독립선언에 참여를 거부한 친일파들 독립운동기금 모으기 광고지 뒷면에 쓰인 ‘독립선언서’ 독립선언서 인쇄 중 나타난 악질 형사 3ㆍ1독립선언, 비폭력을 내세우다 민족대표 33명의 서명 순서 [3] 3ㆍ1 혁명의 물결 태화관에서 독립선언하다 종로에서 10만 군중이 시위를 벌이다 옥중에서도 의연하고 당당했던 민족대표들 일제, 민심이 두려워 내란죄 적용 못 해 민족대표들이 유죄판결을 받은 이유 민족대표 중 옥사자와 변절자가 생겨 조선을 넘어 해.. 2021. 4. 9. [간도역사의 연구] - 윤병석(국학자료원, 2006) 서문 (3) [1] 조선인의 간도 개척과 조선인 사회 (9) 1. 민족 古土로서의 간도 (9) 2. 북간도 한인사회의 형성 1) 한인의 북간도 이주 2) 민족운동자의 북간도 망명 3. 서간도 한인사회의 형성 1) 한인의 서간도 이주 2) 각지 한인사회의 형성 3) 민족운동자의 서간도 망명 4. 북만주 한인사회의 형성 [2] 북간도의 민족주의 교육 (33) 1. 北間島 2. 민족운동 3. 『間島開拓史』 4. 瑞甸書塾(서전서숙) 5. 명동학교 6. 창동학원 7. 광성학교 8. 대전학교 9. 북일학교 10. 정동학교 [3] 서북간도에서의 3ㆍ1운동 (55) [4] 봉오동 승첩 (69) [5] 청산리 대첩 (89) 1. 머리말 2. 일제의 독립군 ‘토벌작전’ 3. 독립군의 백두산록 이동 4. 김좌진의 대한군정서.. 2021. 4. 9. [교의학방법론 II] - 박봉랑(대한기독교출판사, 1987) 머리말 V. 계시 - 교의학의 출발점으로서 [1] 문제와 과제 1. 머리말 2. 일반적 계시와 그리스도교 계시의 일반적 의미 3. 계시의 주관화와 상대화 : 19세기 자유주의 신학 [2]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계시 : 칼 바르트 1. 칼 바르트의 ‘하나님의 말씀’의 신학 수립 2. 바르트에 있어서 ‘하나님의 말씀’의 개념 1) 문제 : ‘말씀’은 실제인가, 상징인가? 2) 희랍의 로고스와 동양의 도(道) (1) 희랍의 로고스의 개념 (2) 동양의 도(道) 개념 3) 성서에 있어서 ‘말씀’의 개념 (1) 구약에 있어서의 말씀(dabar) (2) 신약에 있어서의 말씀(로고스) 4) 칼 바르트에 있어서 ‘하나님의 말씀’의 개념 (1) 바르트에 있어서 ‘말씀’의 네 가지 특징 (2) 하나님의 말씀은 그 자체.. 2021. 4. 9. [교의학방법론 I] - 박봉랑(대한기독교출판사, 1986) 머리말 I. 서론 [1] 신학을 공부하려는 이들에게 1. 신학의 카리스마 2. 신학하는 태도 1) 학문적 에로드 2) 성실하게 심자 3. 근심하며 떠나가는 ‘니고데모’이야기 [2] 교의학 방법론의 의미, 내용, 재료 및 전개 방법 1. 교의학 방법론의 의미 1) ‘교의학’의 이름 2) 교의학 방법론은 교의학 ‘서론’(Prolegomena)의 이름 3) 신학의 길 2. 내용, 재료 및 전개 방법 1) 내용 2) 재료 3) 전개방법 II. 신학이란 무엇인가? [1] 신학이란 무엇인가? 1. 그리스도교 신학의 주류 : 복음의 하나님 1) 신학은 겸허한 학문 2) 신학은 행복한 학문 2. ‘신학’이란 말의 뜻과 그 역사 3. ‘하나님의 말씀’에 관한 학문으로서의 신학 4. 교회의 기능으로서의 신학 1) ‘교회의.. 2021. 4. 9.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1권] 한국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 - 조동걸 제1장 : 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법론 제1절 : 독립운동의 개념 제2절 : 독립운동의 이념 초기(1910-1919)의 이념 중기(1919-1931)의 이념 후기(1931-1945)의 이념 제3절 : 독립운동의 방법론 초기(1910-1919)의 준비론 중기(1919-1931)의 다양한 방법론 후기(1931-1945)의 민족혁명노선과 계급혁명노선 제2장 : 한말의 구국운동 제1절 : 의병전쟁의 전개 굳이 ‘전쟁’이라 하는 이유 의병전쟁사의 시기구분 문제 이념상의 특징 조직상의 특징 활동상의 특징 의병전쟁의 의의 제2절 : 계몽주의의 사상구조 개화근대사상 사회진화론 제3절 : 문화 민족주의 어문민족주의 역사민족주의 종교민족주의 제3장 : 초기(1910-1919)의 독립운동 제1절 : 1910년대의 독립운동 독립.. 2021. 4. 8. 김경재, 『틸리히 신학 되새김』 추천사 책을 내면서 제1부 - 신앙과 이성, 그리고 거룩 체험 노트 1 : 궁극적 관심 노트 2 : 상관 방법 노트 3 : 이성과 계시 노트 4 : 자율, 타율, 신율 노트 5 : 성스러운 것의 체험 노트 6 : 예수 그리스도의 ‘궁극적 계시’ 노트 7 : 종교적 상징 제2부 - 존재자들과 존재 자체 : 피조물 의식과 창조주 신앙 노트 8 : 존재 물음과 비존재 노트 9 : 존재 자체이신 하나님과 야훼 하나님 노트 10 : 영이신 하나님과 삼위일체적 원리 노트 11 : 살아 계신 하나님 신앙과 초월적 유신론 노트 12 : 창조주 하나님 신앙 노트 13 : 하나님의 형상 노트 14 : 하나님의 거룩성 노트 15 : 신적 사랑과 아가페 제3부 - 새로운 존재 : 인간 실존의 문제와 그리스도이신 예수 노트 1.. 2021. 3. 7. 서굉일, 『일제하 북간도 기독교 민족운동사』 서굉일, 『일제하 북간도 기독교 민족운동사』 책을 펴내며 제1부 - 북간도 민족교회 구형(舊型)과 성격 제1장 : 사회적 배경 인문지리적 고찰 이주 한인사회의 형성 이주민의 상황 제2장 : 교회의 성립 민중과 교회 기독교 민족주의자 이동휘 관북지방의 애국계몽운동 이주 한인사회의 대표 김약연 훈춘현의 기독교 전파 북간도 교회의 성격 복음의 전파(1906년) 교회의 개척과 부흥(1906-1911년) 제3장 : 북간도 교회의 발전 교단 조직의 내실기(1912-1917) 교회의 활동과 박해기(1918-1920년) 간도노회의 성립기(1920-1921년) 제2부 - 북간도 기독교인들의 민족운동의 실제 제1장 : 교육운동 문제의 제기 반제민족교육운동을 위한 항일기지 북간도 민족주의 교육이념과 특징 기독교 민족주의 학.. 2021. 2. 28. 로저 E. 올슨, 『이야기로 읽는 기독교 신학』 도입 : 이야기로서 기독교 신학 제1부 : 서막 : 갈등과 혼란에 빠진 2세기의 기독교 제1장 : 비판가들과 열광주의자들이 일으킨 혼란 제2장 : 사도 교부들이 길을 제시함 제3장 : 변증가들이 신앙을 옹호함 제4장 : 이레나이우스가 폭로한 이교도들 제2부 : 얽히고설킨 이야기 : 3세기의 긴장과 변혁 제5장 : 북아프리카 신학자들의 그리스 철학에 대한 태도 제6장 : 알렉산드리아의 오리게네스가 남긴 말썽 많은 유산 제7장 : 카르타고의 키프리아누스가 추진한 통합 제8장 : 공동보조를 취한 기독교 제3부 : 교회를 뒤흔든 엄청난 위기 : 삼위일체 논쟁 제9장 : 하나님의 아들을 둘러싼 알렉산드리아 신학자들의 논쟁 제10장 : 니케아 공의회에 대한 교회의 반응 제11장 : 아타나시우스가 고수한 신앙 제12.. 2021. 2. 28. 이전 1 ··· 20 21 22 23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