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물 사전]/[가]25

김이현 [金利鉉, 1891~1960] 장로교 목사 김이현 [金利鉉, 1891~1960]장로교 목사 【1891년】181년 함남 덕원군 신풍리에서 관북지방 초기 교인이며 원산 창앞교회의 창설자인 김수억을 부친으로 출생하였다. 【1908년】부친 김수억이 별세하자 어린 동생들의 양육과 가사를 도맡았다.그동안 캐나다 장로교 선교부가 설립한 원산 보광학교를 졸업하고 모교의 교사로 근무하였다. 【1925년】함경노회 서기로 활동하였다.원산에 기독교청년회가 창설될 당시 창설 이사로 활약하였다.원산의 신풍리교회의 장로로 봉직하였다. 【1929년】9월 13일, 제6회 조선예수교연합공의회 통계서기로 피선되었다. 【1943년】5월, 목사안수를 받고 신풍리교회 담임으로 부임하였다.함남노회장에 피선되었다. 【1945년】해방후 원산시장으로 추대되었다. 【1951년】1ㆍ4 후퇴 당시.. 2024. 8. 5.
김창준 [金昌俊, 1888~1959] 감리교 목사, 민족대표 33인, 월북 김창준 [金昌俊, 1888~1959]감리교 목사, 민족대표 33인, 월북 【1888년】5월 23일, 평남 강서군 증산면에서 출생하였다. 【1906년】12월, 강서군 반석면에 있는 소학교를 졸업하였다.평양 숭실중학교를 졸업하였다.숭실전문학교를 졸업하였다. 【1907년】강서군 일상리교회에서 미국인 선교사 무어(J. W. Moore, 문약한)에게 세례를 받고 신자가 되었다. 【1911년】경성 종로 기독교청년회관에서 1911년 3월 15일부터 남ㆍ북 양감리회가 주최한 춘계 신학회 2년급에 출석하여 교육을 받았다. 【1913년】평양에 거주하며 남산현교회의 전도사의 일을 맡아 일하였다.이 시기에 광성고등학교 부교장을 3년간 맡았다. 【1914년】5월, 숭실대학을 졸업하였다.일본에 유학하여 아오야마학원에서 1년간 수.. 2024. 8. 5.
김활란 [金活蘭, 1899~1970] 기독교인, 여류교육가, 사회운동가, 친일반민족행위자 김활란 [金活蘭, 1899~1970]기독교인, 여류교육가, 사회운동가, 친일반민족행위자 【1899년】1월 18일, 경기도 인천에서 출생하였다.부친은 평안북도 철산에서 농업에 종사하다가 개항 후 제물포로 이주해 창고업자가 된 김진연(金鎭淵)이며, 모친은 박도라(朴萄羅)이다. 【1906년】어려서 어머니로부터 기독교적인 신앙교육을 받았고, 세례명 헬렌(Hellen)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1907년】인천 영화여학교에 입학하였다. 【1908년】부친의 사업 실패로, 가족이 서울로 이주하여 이화학당에서 초등ㆍ중등ㆍ고등과를 졸업하였다. 【1918년】3월 27일, 이화학당 대학과를 졸업하였다. 졸업시에는 「여자의 고등교육과 가정과의 관련」이라는 제목의 졸업연설을 하여 주위의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이후 모교인 이화학당에.. 2024. 8. 5.
강건(姜健, 1918년 ~ 1950년 9월 8일) 강건(姜健, 1918년 ~ 1950년 9월 8일) 일제강점기 공산주의 항일운동가이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 정치인이다. 조선인민군의 초대 총참모장이었다. 본명은 강신태(姜信泰)인 그는, 1945년 강건으로 개명했다. 【1918년】 6월 23일, 경상북도 상주에서 출생하였다. 【1928년】 일제의 착취를 피해 1928년 부모를 따라 만주의 길림성(吉林省) 영안현(寧安縣)으로 이주하였다. 【1933년】 1933년 영안현 팔도하자(八道河子)에서 항일유격대에 입대하여 항일운동을 시작하였는데, 어학 실력이 뛰어나고 유격전에도 재능을 보여 어린 나이에 매우 빠른 승진을 했다. 【1935년】 1935년 편성된 동북항일연군에서 저우바오중(周保中)의 부하로 활동했고, 이후 김일성과 가까이 지내면서 소비에트연방 극.. 2023. 10. 25.
김책(金策, 1903년 8월 14일 - 1951년 1월 31일) 김책(金策, 1903년 8월 14일 - 1951년 1월 31일) 일제강점기 조선의 공산주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 소련의 군인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 정치인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초대 내각 산업상 겸 민족보위성 부상, 외무성 부상(1948년 9월 2일 - 1950년 1월 8일)과 내각 부수상을 겸직했다. 동북항일연군의 창건주역의 한 사람이었다. 해방 후 인민군 초기 최고지도부의 한 사람이었다. 【1903년】 8월 14일, 함경북도 학성군 학상면(鹤上面) 수사리(김책시 옥천동) 봉평촌(棒枰村) 부락의 빈농가의 아들로 출생하였으며, 본명은 홍계였다가 뒤에 김책으로 고쳤다. 형제로는 형 김홍선과 동생들이 있었다. 형 김홍선은 3ㆍ1 만세 운동 때 거리에 나가 독립만세도 부르고, 만주의 독립군.. 2023. 10. 24.
김두봉(金枓奉, 1889년 2월 16일 ~ 1960년 4월 4일?) 김두봉(金枓奉, 1889년 2월 16일 출생 ~ 1960년 4월 4일?)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한글학자(일제 시대 독립운동가, 교육자, 작가, 언론인, 정치인)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경상도 기장현(現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출생이다. 본관은 김해(金海), 호는 백연(白淵)ㆍ백련(帛連)이며, 별명은 태항산의 호랑이였다. 제1공화국 초대 국회 부의장을 지냈고 한국 전쟁 당시 월북한 김약수는 그의 6촌 동생이다. 김약수는 개명한 것으로서 본명은 김두전(金枓全). 두(枓)가 돌림자이다. 【1889년】 1889년 2월 16일, 지금의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87번지에서 김돈홍(金敦洪)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린시절부터 일본의 침략에 대한 적개심을 갖던 김두봉은 아버지 김.. 2023. 10. 23.
김병로(金炳魯, 1887년 12월 15일 ~ 1964년 1월 13일) 김병로(金炳魯, 1887년 12월 15일 ~ 1964년 1월 13일)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ㆍ통일운동가ㆍ법조인ㆍ정치가이며 시인이다.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하리 출신(出身)이며, 본관(本館)은 울산(蔚山), 호는 가인(街人)이다. 일제강점기 신간회 활동에 참여하였고, 각 학교의 법률학 전문 교수와 독립운동가들을 무료로 변호하는 인권변호사로 활약하며 이인, 허헌과 함께 조선국 3대 민족 인권변호사로서 명망을 날렸다(이들을 ‘삼인(三仁)’이라고 불렀는데 세 사람 모두 이름이나 호에 ‘仁’이 들어있기 문이었다). 법조계에서는 ‘사도법관’ 김홍섭 전 서울고등법원장, ‘검찰의 양심’ 최대교 전 서울고검장과 더불어 이른바 법조3성(聖)이라 불리며 존경을 받고 있다. 【1887년】 12월 15일(음력), 김병로는 전라.. 2023. 10.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