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류대영(한동대학교 교수)
1. 개관
-
한국인에게 기독교를 전하기 위해서 온 첫 번째 선교사는 1794년 조선에 입국한 중국인 천주교 사제 저우원모(周文謨, 1801년 신유교난 때 순교)였다. 그런데 저우원모가 입국했을 때 조선에는 이미 약 4,000명의 천주교인들이 있었다고 한다. (9)
-
선교사들이 입국하기 이전에 이미 국내외에 한국인들이 신앙 공동체를 형성하고, 선교사들이 파송을 요청하는 것은 천주교뿐 아니라 개신교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한국기독교의 독특한 현상이었다. (10)
-
개신교 최초의 선교사는 유대계 폴란드인 귀츨라프... “제너럴서면호 사건”(1866)... 영국인 선교사 토마스... 이들은 첫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뿐, 그 이후 조선에 교회가 만들어지는 데 직접적으로 기여하지는 않았다. (10)
-
오늘의 한국 개신교회가 형성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 선교활동은 1870년대 중반 만주에서 시작되었다. 스코틀랜드 연합장로교 소속의 선교사 로스(John Ross)와 맥킨타이어(John MacIntyre)는 봉황성(鳳凰城), 봉천(奉天, 오늘의 潘陽), 영구(營口) 등지에서 조선인들을 만나 기독교를 전하기 시작했다... 이응찬, 백홍준, 김청송, 서상륜... 『예수성교누가복음전서』와 『예수성교요안내복음전서』를 봉천에서 간행... 권서를 통해 한글성경 반포하며 전도... (10-11)
-
일본... 1883년 이수정 세례... 『신약마가전복음서언해』(1885년 2월) 출간... 1885년 4월에 언더우드, 아펜젤러 입국 당시 조선에 자생적 기독교 공동체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 (11)
-
김옥균... 문명개화의 수단 역할을 할 선교사와 그들이 들여올 서구문물에 관심 (11-12)
-
해방 이전에 내한했던 개신교 선교사들을 전체적으로 볼 때, 미국 선교사들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교파로는 장로교(45.4%)와 감리교(28.3%)가 다른 교파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선교사 인력을 가졌음을 알 수 있다. (12)
-
선교사들이 한국교회의 형성과 발전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은 일제강점기까지인 것으로 판단된다. (13)
2. 내한 선교사들의 세계와 활동
1) 선교사들의 세계
-
해방 이전의 내한 선교사들 가운데 70퍼센트는 미국인... 초기 내한 미국 선교사의 거의 전부가 주류교단 출신이라는 것은, 그들 중 대다수가 해외선교를 위한 학생자원운동(Student Volunteer Movement for Foreign Missions ; SVM)의 영향 아래 선교사가 되었다는 것을 말한다. SVM은 북미 주류교단과 긴밀한 관계를 맵고 선교사 자원을 공급한, 전형적인 중산층 자원운동 기관이었다. (13-14)
-
북미지역 주류교단 선교사가 되려면 남자는 대학, 여자는 고등학교 졸업... 20세기 초 미국과 캐나다의 젊은이들 가운데 단지 4퍼센트만 고등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졌다. (14)
-
내한 선교사 대부분이 중산층 주류교단 출신이라는 것은 그들이 대체로 북미의 중산층이고 주류교단적인 가치관을 가지고 있었음을 시사한다... 미국의 경우 1880년대부터 1920년대는 ‘진보의 시대’였다... 행동주의와 사회개혁... 자유로운 경제, 사회개혁, 그리고 참여적 민주주의 강화를 위한 다양한 조치들이 실시되었다... 시대의 산물로서, 미국을 포함한 영미권의 내한 선교사들은 인종주의에 기초한 백인우월주의, 백인우월주의와 결합된 사회진화론적 문명관, 사회진화론적 문명관과 기독교 중심주의가 결합된 기독교문명론 등 당시 영미권 기독교인들의 가치관을 대체로 공유하고 있었다. (14-16)
-
미국 선교사들은 전반적으로 보수적이어서 대부분은 성경에 대한 비평적 연구나 근대적 신학을 수용하지 않았으며, 그런 경향은 남장로교 및 평양지역에서 활동하던 북장로교 선교사들 속에서 특히 강했다. (16)
-
한국의 전통적 종교에 대해서도 상대적으로 진보적 견해를 가진 사람들... 북미 선교사인 게일(James S. Gale), 헐버트(Homer Hulbert), 존스(George H. Jones), 언더우드 및 영국 성공회의 트롤로프(Mark, N. Trollope)... (17)
2) 선교사들의 활동
-
전도와 교회설립, 교육사업, 그리고 의료사업을 중심으로 전개... (17)
-
시간이 지나면서 서구교회의 해외선교는 직접 전도를 통해 개종자를 얻기 보다는 학교와 병원을 건립하여 기독교문명을 전파하고, 그 영향이 궁극적으로 기독교 선교로 이어지기를 바라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18-19)
-
내지 전도는 대부분 한국인 전도자들이 전담... 권서들이 선교사의 발길이 닿지 않는 내지에 들어가 개종자를 만들고, 모임을 조직하고, 양육하여 선교사의 전도-교회설립 활동을 예비해 주었다. (20)
-
여성선교사의 역할... (20-21)
3. 선교사에 대한 연구
-
선교사 자료를 통하지 않고는 한국교회의 역사를 도무지 파악할 수 없으며, 초기일수록 더욱 그러하다. (22)
-
백낙준의 박사학위 논문(1929년 출간)은 1832년부터 1910년까지 다루었는데, 사용한 일차자료 가운데 한국기독교인의 것은 거의 없었다... 서구 기독교 역사관 반영... (22)
-
선교사들의 기여도와 그들이 남긴 자료의 방대함이라는 두 가지 이유 때문에, 한국기독교 역사는 간접적으로라도 선교사들에 대한 연구와 연결되지 않을 수 없었다. (22)
-
김승태와 박혜진이 편집한 『내한 선교사 총람』(2007)은 1884년부터 1984년까지 내한한 모든 개신교 선교사들을 정리해 놓은 유용한 자료집이다. (23)
-
선교사들에 대한 연구는 크게 개인 선교사에 대한 연구와 선교사집단에 대한 연구로 나눌 수 있다... 이광린의 『초대 언더우드 선교사의 생애』(1991)와 『올리버 알 에비슨의 생애』(1992), 오승재 등의 『인돈평전』(2003), 박응규의 『한부선 평전』(2004), 이호우의 『곽안련의 신학과 사상』(2005),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가 편집한 『베어드와 한국선교』(2009), 이경숙 등의 『한국을 사랑한 메리 스크랜튼』(2010) 등이 있다. (23)
-
서정민은 언더우드 집안 전체의 선교활동을 다룬 책을 내기도 했다. 이화여대와 숭실대는 설립자인 스크랜튼(Mary F. Scranton) 과 베어드를 조명하고 있으며, 한남대는 설립자인 린튼(William A. Linton)을 비롯하여 레이놀즈(William D. Reynolds) 등 남장로교 선교사들의 활동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23)
-
선교사 집단... 류대영의 『초기 미국 선교사 연구』(2001)와 『개화기 조선과 미국 선교사』(2004), 김승태의 『한말ㆍ일제 강점기 선교사 연구』(2006), 그리고 안종철의 『미국 선교사와 한미관계』(2010) 등이 있다. (23-24)
-
최근의 선교사 연구는 전통적인 “교회사”의 범위를 넘어 한국사, 한미-한일관계사, 미국사, 동아시아사 등의 좀더 넓은 맥락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24)
'[기타 자료실] > [도서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흥수ㆍ서정민, 『한국기독교사 탐구』 [3] 한국기독교와 민족운동 - 윤경로 (0) | 2021.02.25 |
---|---|
김흥수ㆍ서정민, 『한국기독교사 탐구』 [2] 한국기독교와 초기부흥운동 - 서정민 (0) | 2021.02.25 |
조지프 S. 나이, 『리더십 에센셜』 5장 : 좋은 리더와 나쁜 리더 (0) | 2021.02.25 |
조지프 S. 나이, 『리더십 에센셜』 4장 : 상황지능 (0) | 2021.02.25 |
조지프 S. 나이, 『리더십 에센셜』 3장 : 리더십의 유형과 기술 (0) | 2021.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