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상식]

‘마누라’의 어원에 대하여

by [수호천사] 2024. 8. 4.
728x90

‘마누라’의 어원에 대하여

 

국어사전은 마누라중년이 넘은 아내나 여자를 허물없이 부르는 말이라고 설명한다. 우스갯소리로 마주 보고 누워라의 준말이라고 하던 시절도 있었다.

 

지금은 이처럼 낮춰 부르거나 농담의 대상이 되는 말이 되어버렸지만, 우리 옛말에서 ‘마누라’는 아주 높은 사람을 일컬을 때 쓴 단어였다.

 

문헌 기록상 마누라는 15세기 삼강행실도마노라로 처음 보이는데, 그 출발에 대해서는 대략 두 가지 해석이 있다.

 

첫째는 이를 ‘마루하’에서 나온 말로 보는 것이다. ‘마루하’는 ‘마루+하’의 구조로 ‘마루’는 ‘꼭대기, 머리, 으뜸’의 뜻이다. ‘~하’는 윗사람을 부를 때 쓰는 존칭 호격조사이다. 따라서 ‘마루하’는 ‘마루(높은사람)이시여’라는 뜻이다.

둘째는 이 단어가 원래는 몽골에서 쓰던 말로 ‘(궁중에 사는) 귀한 사람’을 뜻하는 것인데, 고려 후기 몽골 침략 시절에 우리나라에 들어와 쓰이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중 어느 쪽이 맞는지는 단정할 수가 없지만, 어느 쪽이든 공통점은 이 단어가 신분이나 지위가 높은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 말이 처음에는 주로 궁중에서 왕이나 왕비, 왕대비를 부를 때 상감 마노라’, ‘대비 마노라’ ‘웃전 마노라하는 식으로 쓰였다. 특히 상감 마노라에서 보듯 이때는 여성뿐 아니라 남성에게도 존칭으로 쓰였다.

 

그런데 이 말이 궁중뿐 아니라 일반 사회에까지 퍼져 널리 쓰이게 되면서 차음 높임의 뜻이 없어지게 되었다. 일반에서는 노비가 주인, 특히 주인의 부인이나 양반의 부인을 부를 때 썼다. 무속에서는 터주 마노라처럼 신()을 부를 때도 썼다. 그러던 것이 19세기에 들어와서는 ‘마노라’가 ‘마누라’로 바뀌면서 존칭의 뜻이 완전히 없어졌다. 또한 여성에게만 쓰는 말로 굳어져 오늘에 이른 것이다. 하지만 그 말의 근원을 따져보면 마누라란 한갓 남편들이 함부로 부르고 대할 존재가 결코 아님을 알 수 있다. ‘남편’(男便)이야 고작 남자라는 뜻밖에 더 있는가.

 

『역사와 어원으로 찾아가는 우리 땅 이야기』, 최재용, 21세기북스, 2015년, 42-43쪽.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