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자료실]577

[한국통사(韓國痛史)] - 박은식 저 / 김태웅 역해(아카넷, 2012) ‘규장각 고전 총서’ 발간에 부쳐 해제 : 한국 근대의 사기(史記)를 읽는다 이 책을 다시 읽어야 하는 이유 민족혼을 불러일으킨 근대의 고전 민족사학의 길을 열다 근대적 방식으로 서술된 최초의 우리 역사 일러두기 서언 『한국통사(韓國痛史)』를 쓴 이유 나라 잃은 망명객의 슬픔과 아픔 제국주의 국가의 통치체제를 비교하다 역사를 잃지 않으면 언젠가 나라를 다시 찾으리 제1부 시대 개관 : 조선 사회의 동요와 대원군의 개혁, 그리고 서구 열강의 통상 요구 지리의 큰 줄기 대원군의 섭정 경복궁의 중건 서원 철폐 조세제도 개혁 프랑스군을 크게 이김 미국 함대를 물리침 제2부 시대 개관 : 근대 개혁을 둘러싼 갈등과 일본 침략의 노골화 임오군란 갑신정변 갑오동학란 갑오개혁 일본인이 국모를 시해함 제3부 시대 개관 .. 2021. 4. 16.
[3ㆍ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의 숨은 주역 현순] - 고정휴(역사공간, 2016) 글을 시작하며 개화의 물결을 타고 역관 집에서 태어나다 한성영어학교에 입학하다 일본으로 유학가다 기독교에 입교하다 태평양을 건너다 동서개발회사에 취직하다 하와이로 가는 배를 타다 한인 이주민 정착에 기여하다 망국과 전도 활동 망국의 위기를 바라보다 귀국길에 오르다 복음 전파에 힘을 쏟다 3ㆍ1운동을 임시정부 수립으로 기독교계의 3ㆍ1운동 준비에 참여하다 중국 상해에 독립임시사무소를 설치하다 3ㆍ1운동 소식을 세계에 알리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앞장서다 통합 임시정부의 출범을 위하여 애쓰다 구미위원부의 임시위원장을 맡다 3ㆍ1운동 1주년을 맞이하여 유럽을 거쳐 워싱턴에 도착하다 침체에 빠진 구미위원부를 맡다 한국의 독립 승인을 요구하다 임시위원장에서 해임당하다 모스크바 극동인민대표대회에 참석하다 워싱턴.. 2021. 4. 16.
[화해꾼, 이승만 목사] - 박용진(한국장로교출판사, 2007) 저자 서문 - 박용진 추천서 1 : 평화를 이룩하는 사람의 복 - 한완상 추천서 2 : 현대판 요셉과 다니엘 - 림인식 추천서 3 : 한국교계가 모두 화해꾼이 되기를 바라며 - 박대선 추천서 4 : 한국이 낳은 이 시대의 복음의 대사 - 이연옥 이승만 목사는 누구인가? 1. 가난한 목사의 가정 2. 고난과 압제의 세월 3. 8ㆍ15해방과 감격 4. 공산 치하에서의 생활 5. 성화신학교와의 만남 6. 최초의 졸업식, 최후의 “메시아” 연주회 7. 박대선 목사와 김학수 화백과의 만남 8. 아버지의 순교 9. 가족과의 이별 10. 성화동지와 방위군 사건 11. 해병대 입대 12. 영어 때문에 얻은 행운 13. 학업을 위한 탈출 14. 뜻밖에 열린 미국유학의 길 15. 문산에서 서울까지 트럭 통학 신학생 16... 2021. 4. 16.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40권] 6ㆍ10만세운동 - 장석흥 제1장. 6ㆍ10만세운동의 연구성과와 과제 제1절. 연구성과 제2절. 연구과제 제2장. 6ㆍ10만세운동의 배경 제1절. 국제정세와 독립운동의 객관적 조건 제2절. 일제의 분열정책과 식민지 사회구조 제3절. 국내외 민족세력의 형세 1. 국내 민족세력의 양상 1) 개량주의의 대두와 자치론 2) 사회주의운동의 통합 모색 2. 융희황제의 승하와 국외민족세력의 동향 1) 중국 상해지역 2) 일본지역 제4절. 융희황제 승하에 대한 민족언론지의 논조 1. 융희황제 국상과 국내 신문의 반응 1) 융희황제의 승하 2) 송학선의 금호문 의거 3) 망곡ㆍ봉도ㆍ맹휴와 민족의식의 고취 2. 국내 잡지 『신민』에 비쳐진 융희황제 3. 해외 언론지 『신한민보』ㆍ『선봉』ㆍ『혁명』에 비쳐진 융희황제의 국상 1) 『신한민보』 2) 『선.. 2021. 4. 16.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39권] 1920년대 학생운동 - 장규식 제1장. 1920년대 학생운동의 지형과 연구현황 제1절. 1920년대 학생운동의 지형 제2절. 1920년대 학생운동의 연구현황 제2장. 전국적 학생운동 단체의 성립과 활동 제1절. 문화주의 대두와 조선학생회 1. 3ㆍ1운동 전후의 학생계 동향 2. 조선학생대회의 조직과 활동 1) 문화주의 사조의 확산과 조선학생대회의 창립 2) 조선학생대회의 조직구성 3) 조선학생대회의 해산 3. 조선학생회의 조직과 활동 1) 조선학생회의 창립과 주요사업 2) 내부 노선갈등과 조선학생총연합회의 발기 3) 학생운동 지형의 변화 제2절. 사회주의 수용과 조선학생과학연구회 1. 사회주의계열 학생사상단체의 등장 1) 공학회의 창립과 해산 2) 서울학생구락부와 경성학생연맹의 성립 2. 조선학생과학연구회의 조직과 활동 1) 조선학생.. 2021. 4. 16.
[독립운동의 성지 간도를 가다] - 주성화 외 (산과글, 2014) 머리말 : 2010년부터 이어진 토요답사, 용정과 명동을 거쳐 청산리까지 1장 : 용정으로 이주한 한인들의 삶 서전서숙과 이상설 선생 - 중국 한인 근대교육의 시원 용주사와 일송정, 강경애 문학비 - 해란강이 휘돌아 감도는 비암산 기슭에 서다 대포산, 용정 학생들의 소풍길 - 대포산 정상에서 해란강을 내려다보다 15만원 탈취사건과 러시아 무기 - 일제에 맞서 무장투쟁을 준비한 사람들 5ㆍ30 폭동기념비, 주덕해와 조선혁명군정학교 - 이념을 넘어선 민족의 항일투쟁사 2장 : 명동촌의 한인들 명동학교의 성쇠 - 근대 민족학교, 서전서숙의 맥을 잇다 명동촌 4대 가문, 문재린 목사 - 명동촌 지도자 문병규의 손자이자 문익환의 아버지 김약연과 정재면의 명동촌 - 간도 조선인의 자부심 명동을 일구다 명동촌과 윤동.. 2021. 4. 15.
[대한예수교장로회백년사] -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1984) 인사말 간행사 머리말(1984년 4월) 제1장 : 대한예수교장로교회의 草創(초창) 1절. 한국민족교회의 播種(파종) 가. 만주에서 씨앗을 받다 나. 성경의 간행과 賣書(매서) 다. 서상륜의 입국과 교회 설립 라. 새문안 교회의 설립 마. 한국초창기 신앙형태와 성경 바. 이수정의 일본에서의 성경번역 사. 부산에서의 성경 頒布(반포) 2절. 외국 선교사의 선교 가. 서구 선교의 여러 企圖(기도)들 ㄱ. 칼ㆍ구쯜라프 ㄴ. 로버트ㆍ토마스 ㄷ. 알렉산더ㆍ윌리암손 ㄹ. 서구교회 선교 企圖(기도)의 의의 나. 선교자유실현의 먼 과정 ㄱ. 鎖國攘夷(쇄국양이)의 來歷 ㄴ. 朝野(조야)의 척사위정 ㄷ. 선교의 외형적 윤허 과정 ㄹ. 선교윤허 실현의 원인문제 다. 외국 장로교선교사들의 교파교회 선교 ㄱ. 의료선교의 초기사 .. 2021. 4. 15.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38권] 종교계의 민족운동 - 김광식, 김동환, 윤선자, 윤정란, 조규태 제1부 : 기독교의 민족운동 제1장 : 3ㆍ1운동과 기독교 [정리] 제1절 : 1910년대 기독교인의 단체 1. 기독교 수용과 일제 탄압 2. 기독교단체 조직과 사회참여 제2절 : 3ㆍ1운동 주도와 참여 1. 준비단계에서 기독교 역할 2. 민족대표로서 참여 제3절 : 의열투쟁과 해외독립운동 지원 1. 기독교인의 의열투쟁 2. 국외독립운동단체와 연계 및 지원 제2장 : 1920년대 기독교의 민족운동 [정리] 제1절 : 기독교계 자성과 현실인식 심화 1. 외교운동에 대한 자성 2. 실력양성론의 확산 3. YMCAㆍYWCA 조직과 활동 제2절 : 통일전선운동 참여 1. 신간회운동과 기독교 2. 근우회와 기독교여성단체 제3장 : 1930년대 이후 기독교의 민족운동과 의의 [정리] 제1절 : 1930년대 전반기 .. 2021. 4. 15.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37권] 문화예술운동 - 김재용, 민경찬, 최열, 조희문 제1부 : 문학운동 제1장 : 일제강점기 문학적 저항 제1절 : 국민주의와 민족주의 대두 1. 협력과 저항의 상관성 2. 민족환원론과 저항의 복합성 3. 실력양성론과 즉각독립론의 전망 : 국민주의와 민족주의(1910~1919) 제2절 : 국민주의와 민족주의의 분화, 사회주의의 대두 1. 국민주의 분화와 민족주의의 저항 2. 사회주의의 저항과 민족문제 3. 좌우 합작과 염상섭의 문학적 저항 제2장 : 한글 연구와 문인의 활동 제1절 : 한글을 기반으로 한 문학가들의 저항 1. 한글맞춤법 통일안 지지 2. 내선공학제 반대 제2절 : 한글 말살과 문학자의 저항(1938~1945) 1. 한글 말살과 문학인의 위기 1) 총동원체제와 한글 말살정책 2. 한글 수호를 위한 활동 1) 이태준의 『패강냉』과 위기의식 2.. 2021. 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