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자료실]577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42권] 초기 사회주의운동 - 임경석 제1장. 최초의 사회주의자들 제1절. 초기 사회주의운동의 주역 제2절. 사회주의자의 탄생 제3절. 한인사회당 제4절. 사회주의단체들의 발흥 제2장. 상해파 공산주의그룹 제1절. 상해 한국공산당 제2절. 모스크바 대표단 제3절. 한국공산당의 분열 제3장. 이르쿠츠크파 공산주의그룹 제1절. 전로한인공산당 제2절. 코민테른 극동비서부 제3절. 전로한인공산당과 대한국민의회의 제휴 제4장. 상해파와 이르쿠츠크파의 분쟁 제1절. 이르쿠츠크파 전로한인공산당과 치타 한인부의 갈등 제2절.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 창당대회 제3절. 상해파 고려공산당 창당대회 제4절. 자유시참변 제5장. 두 공산주의그룹의 혁명이론과 정책 제1절. 정세인식 제2절. 혁명이론 제3절. 정책 제6장. 코민테른과 한국 제1절. 두 공산당의 모스크.. 2021. 4. 17.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41권] 광주학생운동 - 한규무 제1장. 광주학생운동의 개념과 연구 제1절. 광주학생운동의 개념 1. 광주학생운동의 명칭 2. 광주학생운동의 성격 제2절. 연구의 현황과 과제 1. 선행 연구의 현황 2. 향후 연구의 과제 제2장. 1920년대 후반 광주 학생운동계의 변화 제1절. 광주 학생운동계의 변화 1. 광주의 교육 실태 2. 6ㆍ10만세운동 이후 학생운동의 변화 3. 광주에서의 동맹휴학 동향 제2절. 성진회의 조직과 활동 1. 광주 사회운동계의 동향 2. 성진회의 결성과 해산 제3절. 독서회의 조직과 활동 1. 사회과학연구모임의 결성 2. 독서회 중앙본부와 독서회의 조직 3. 성진회ㆍ독서회와 광주학생운동 제3장. 1929년 광주학생운동의 발단과 전개 제1절. 한ㆍ일 학생들의 충돌 1. 10월 30일 나주역에서의 충돌 2. 10월 .. 2021. 4. 17. [평양 기독교 역사 01] “1866년 평양 양란(洋亂)과 토마스의 순교, 그 해석사(1)” - 옥성득(2018) 옥성득(2018). [평양 기독교 역사 01] 1866년 평양 양란(洋亂)과 토마스의 순교, 그 해석사(1). 기독교사상, 720, 207219. 평양 기독교 역사는 1866년(병인년, 고종 3년) 9월의 평양 양란(제너럴셔먼호 사건)과 토마스(Robert J. Thomas, 1840~66) 목사의 죽음으로 시작된다... (207) 신학교 교회사 교수 중심의 ‘선교사-순국설’과 일반대 한국사 교수 중심의 ‘제국주의자-처형설’이 대립... (207) 자료와 사관의 문제 1866~75년에 조선 정부나 외국 선교회 등이 생산한 사료들... 편견에서 자유롭지 못함... 정리하고 편찬한 시기가 1920년대 중후반... 편찬자들이 소속된 집단의 입장을 탈문맥화하는과정을 거쳐야 진실이 드러날 것... (208) 『고.. 2021. 4. 16. “초기 재일조선인 선교에 대한 재고찰 - 미국 선교단체의 역할을 중심으로” - 이상훈(2017) 이상훈(2017). 초기 재일조선인 선교에 대한 재고찰. 한국기독교와 역사(47), 269-299. I. 머리말 오윤태의 『재일대한기독교 동경교회칠십이년사』(1980년) (269) 1908년부터 1918년까지의 기간... 백남훈의 자서전, 장로회의 독노회 및 총회 회의록... 미국 선교단체들의 회의록... (270) 최초의 파견목사 한석진 목사의 파견에 미북장로회 조선 선교부가 어떻게 관련된 것인지... 최초의 ‘전도인’ 박영일 장로의 파견과정과 그 시기 검토... 조선 장로회와 감리회의 도쿄 선교활동에 관한 협정... ‘재일조선인 활동위원회’... (271) II. 최초 시기 전도사 파견에서의 미북장로회의 역할 1. 한석진 파견의 결정과정 1906년에 설립된 도쿄조선기독교청년회(YMCA)에서는 총무 김.. 2021. 4. 16. [한국기독교인물사] - 김광수(기독교문사, 1974) 발간의 글 [1] 한국 신교 최초의 신자 - 백홍준 로쓰, 매킨타이어 목사의 고려문 전도 한국인 최초의 신자 서간도 한인부락 전도 의주교회의 개척자 전도사, 장로로서 시무 순교자의 영광 [2] 한국 교회의 아버지 - 서상륜 의주 명문에서 출생 만주 우장에서 수세 성서 頒布(반포) 전도사업 최초의 예배당 송천교회 한국 장로교회의 개척자 [3] 선교 선구자들의 안내인 - 김자평 토마스 목사를 위한 안내자 콜벳 목사에게 정보 제공 마티어 목사의 목전에서 처형됨 [4] 선교사를 斬首(참수)한 초대교인 - 박춘권 제너럴 셔만호의 출현 ‘扶中軍而超大同江’(부중군이초대동강) 화공 전법 토마스 목사의 순교 박춘권의 昇給(승급) 임명 평양 초대교인이되다 [5] 한국의 ‘마게도니아 사람’ - 이수정 일본에서의 수세와 신앙.. 2021. 4. 16. [한국기독교 정기간행물 100년] - 한영제 편(기독교문사, 1987) 간행사 : 한국 교회 역사의 증언 - 한영제 한국 기독교 신문ㆍ잡지 개관 - 이덕주 1. 머리말 2. 도입기(1885~1910년) 2.1. 일반 정기간행물과 기독교 2.2. 기독교 정기간행물 2.3. 개화사상과 민족운동 2.4. 선교와 변증 3. 확립기(1911~1934년) 3.1. 순수 기독교 신문의 발간 3.2. 기독교 잡지 - 기독교 문화의 산실 3.3. 수난과 갈등속의 자기 성찰 4. 수난기(1935~1945년) 4.1. 위축되는 정기간행물 4.2. 친일 어용 언론 4.3. 저항과 수난 5. 혼돈기(1946~1960년) 5.1. 재개되는 신문 언론 5.2. 자리 잡아가는 잡지 문화 5.3. 혼란 속의 자기 성찰 6. 정비기(1961~현재) 6.1. 정착되는 신문 언론 6.2. 다양한 잡지 문화 6.. 2021. 4. 16. [한국기독교회사 - 호남편] - 김수진, 한인수 공저(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교육부, 1979) 발간사 - 김종대 머리말 서론 제1장. 개신교의 한국 선교 I. 정통과 기독교 II. 종교적, 사회적 정황 III. 초기 개신교 선교와 민족주의 1. 비식민지적인 미국의 한국접촉이 가져온 개신교 선교적 의미 2. 개신교 전래의 개척자들 ㄱ) 토마스 목사의 순교 ㄴ) 로쓰와 맥킨타이어의 선교활동 ㄷ) 이수정의 행적 3. 알렌의 입국과 활동 4. 미국 장ㆍ감 선교사들의 내한 ㄱ) 초기의 한국 선교 ㄴ) 네비우스 방법 제2장. 미남장로교 선교회의 설치 및 선교 개시 I. 최초 선발대의 파송내력 1. 레이놀즈(William Davis Reynolds, 이눌서) 2. 팻시ㆍ볼링(Patsy Bolling) 3. 정킨(William McCleery Junckin, 전위렴) 4. 매리ㆍ레이번(Mary Leyburn) .. 2021. 4. 16. [한국의 마테오 리치 - 제임스 게일 James S. Gale, The Matteo Ricci of Korda] - 제임스 S. 게일 / 권혁일 번역(KIATS, 2012) Section 1 [한글 번역본 Korean Version] 제1부 : 게일과 초기 한국교회 (1) 조선 : 기독교 신앙을 받아들일 준비를 하다 (2) 세계사의 길목에 접어든 조선 (3) 한성감옥에서 연못골 교회까지 (4) 1907년 평양대부흥성회 제2부 : 한국민족과 한국역사 (1) 이천만 조선인 (2) 글을 좋아하는 국민 (3) 쇄국과 새로운 시대 (4) 소설 The Vanguard에 그려진 한국역사 제3부 : 한국종교와 조상 숭배 (1) 소설 The Vanguard에 그려진 한국의 종교 (2) 한국의 일반 종교 (3) 조상의 덕으로 사는 조선인 (4) 한국의 전설, 민담, 이야기 제4부 : 은자의 나라에 발을 내디딘 선교사 이야기 (1) 소설 The Vanguard에 그려진 평양 이야기 (2) 닫혀.. 2021. 4. 16. [한국전쟁의 기원] - 부르스 커밍스 / 김자동 옮김(일월서각, 1986) 『한국전쟁의 기원』 발간을 축하하며 - 송건호 일러두기 머리말 제1부. 일제 식민통치와 민족해방 제1장. 일제하 한국의 계급과 국가기구 식민지적 국가기구 주도적인 철도의 역할 상업 동원된 노동계급 항일운동 제2장. 일제하 한국의 지주ㆍ소작관계 일제하의 농업 한국농민과 시장의 발전 한국의 인구 유출 동원과 저항 결론 제3장. 혁명과 반동 : 1945년 8월과 9월 일제 식민통치의 종료 조선건국준비위원회 조선인민공화국 인공에 대한 반대 결론 제4장. 미국의 대한(對韓) 정책 : 민족주의와 국제주의의 대립, 1943~1945 1943년 3월 : 신탁통치 떠오르다 카이로회담 : ‘적절한 시기에’ 있어서의 독립 얄타회의와 포츠담회의 : 위기에 처한 신탁통치 전후의 첫 봉쇄 : 1945년의 한국 분할 오키나와에서 .. 2021. 4. 16.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