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자료실]577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36권] 경제운동 - 오미일 제1장 : 경제운동의 연구동향 일제강점기 경제운동사 서설 제2장 : 조선인산업대회와 한국인 자본가층의 결집 제1절 : 조선인산업대회 조직 배경 제2절 : 조선인산업대회의 조직과 활동 1. 준비위원회 발족과 조직 2. 주요 구성원과 활동 제3절 : 조선인산업대회 건의안 제4절 : 한국인 공업 보호장려책 1. 보조금 지급 2. 보호관세 3. 산업자금 조달과 독자적 금융기관 설립 제5절 : 조선인산업대회의 주도층과 성격 제3장 : 물산장려운동론과 조선물산장려운동 제1절 : 조선물산장려운동의 대두 배경 1. 국내외 정세 변화와 식민지배정책의 변화 2. 실력양성론의 대두와 확산 3. 일본 독점자본의 유입과 한국인 자본가의 제조업 투자 제2절 : 물산장려운동론 1. 물산장려운동을 둘러싼 논쟁 1) 민족간 대립구도와.. 2021. 4. 15. [해방전후사의 인식 제6권] - 한길사 (1989) 서론 : 해방, 분단, 한국전쟁의 총체적 인식 - 박명림 1. 머리말 2. 현단계 한국현대사 연구의 몇 가지 문제점 3. ‘정치사’ ‘정치사 연구’의 내포와 인연 4. 역사적 조건 : 일제식민지배와 그 유산 5. 구조적 요인 : 국제정세 1) 미국의 세계전략 2) 소련의 세계전략 6. 혁명과 반혁명 1) 해방8년사 모순구조 2) 정치세력의 범주설정 문제 7. 해방과 분단 : 해방3년사 정치갈등의 전개 1) 제1국면 : 자주적 인민정권 수립 투쟁기 (1) 남한정세의 전개 (2) 북한의 정세 2) 제2국면 : 조선민주주의임시정부 수립 투쟁기 (1) 남한의 정세변화 (2) 북한에서의 혁명 전개 3) 제3국면 : 통일정부 수립 투쟁기 8. 분단과 조국통일운동 : 1948~50년 남북한 정치사 1) 미국의 대한정.. 2021. 4. 14. [해방전후사의 인식 제5권] - 한길사 (1989) [1] 해방 전후 북한 현대사의 재인식 - 김남식 1. 머리말 2. 민주기지노선의 채택 3. 대중정당 건설 4. 인민정권 수립 5. 민주개혁과 과도기 6. 정치권력의 구조 [2] 북한 지도집단과 항일무장투쟁 - 이종석 1. 항일무장투쟁 연구와 이의 1) 북한 사회주의와 항일무장투쟁 2) 항일무장투쟁과 동만(간도지방) 3) 북선관점과 자료의 문제 일제 관헌자료 북한의 공식 간행물들 중국 문헌들 2. 기존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시각문제 2) 자료 활용의 문제 - ‘가짜 김일성론’과 ‘피의 숙청론’ 검토 3. 항일무장투쟁의 전개과정 1) 유격근거지에서의 무장투쟁 (1) 만주사변 전후의 동만 (2) 항일유격대의 조직과 유격근거지 건설 (3) 동북인민혁명군 제2군의 성립 (4) 반민생단투쟁과 조선인 공산.. 2021. 4. 14. [해방전후사의 인식 제4권] - 한길사 (1989) [1] 해방8년사의 총체적 인식 - 최장집ㆍ정해구 1. 머리말 2. 일제지배와 한국사회의 균열 3. 해방과 분단 1) 전후 세계의 재편과 한반도에서의 미국의 정책 2) 남한에서의 혁명과 반혁명 (1) 해방 정국에서의 혁명과 반혁명의 구조와 성격 (2) 미군정과 좌익세력 사이의 정치적 갈등의 전개 (3) 민중투쟁의 전개 3) 남한에서의 분단정권의 수립과 무장투쟁 4) 북한에서의 혁명과 민주기지 노선 4. 한국전쟁 1) 한국전쟁의 배경과 원인 2) 한국전쟁의 전개과정 (1) 제1국면 (2) 제2국면 (3) 제3국면 (4) 제4국면 3) 한국전쟁의 결과와 영향 5. 맺음말 [2] 8ㆍ15 이후 좌ㆍ우익 청년단체의 조직과 활동 1. 머리말 2. 8ㆍ15 직후 한국 사회와 청년단체의 형성 배경 1) 8ㆍ15 직후.. 2021. 4. 14. [해방전후사의 인식 제3권] - 한길사 (1987) 해방 후 정치ㆍ사회 운동을 보는 시각 - 박현채 1. 머리말 2. 역사에서 8ㆍ15와 이것의 정치ㆍ사회 운동에 대한 규정 3. 2차대전 후 정치ㆍ사회 운동에 대한 인식틀 1) 정치ㆍ사회 운동과 사회경제적 상황분석 2) 민족적 모순과 정치ㆍ사회 운동과의 관련 3) 한 사회의 역사적 과제와 각기 정치ㆍ사회 운동의 역할과 위치 4) 운동에 있어서 자연발생적인 것과 조직이라는 집단논리간의 분류 4. 맺음말 [1] 8ㆍ15 직후 민주주의 논쟁 - 여현덕 1. 머리말 2. 8ㆍ15 직후 과제설정과 정세 1) 국제정세와 민족문제 2) 사회구조와 민주주의혁명 (1) 식민지반봉건사회구조 (2) 정치적 역관계와 민주주의혁명 3. 8ㆍ15 직후 혁명단계론과 ‘민주주의’ 논쟁 1) 변혁운동노선의 등장과 대립 2) 프롤레타리아.. 2021. 4. 14. [해방전후사의 인식 제2권] - 한길사 (1985) 해방전후사 인식의 방향 - 강만길 1. 해방의 국제관계적 위치문제 2. 해방의 민족사적 단계문제 3. 분단체제의 객관적 인식문제 4. 통일지향적 역사인식 문제 [1] 8ㆍ15 직후 정치지도자들의 노선비교 - 김광식 1. 머리말 2. 8ㆍ15 이전의 활동 1) 임시정부와의 관계 2) 공산주의운동과의 관계 3) 8ㆍ15 당시의 위치 3. 8ㆍ15 이후의 상황에 대한 인식 1) 8ㆍ15에 대한 인식 2) 현단계에 대한 규정 (1) 부르즈와민주주의혁명단계론 (2) 연합성 신민주주의 4. 인식과 실천의 귀결 5. 맺는말 건국준비위원회의 조직과 활동 - 홍인숙 1. 기존연구에 대한 검토 2. 조직과정과 활동상황 3. 중앙조직 간부의 사회적 성격 4. 중앙조직 간부의 정치적 성격 1) 이데올로기의 지향점 2) 친일파.. 2021. 4. 14. [해방전후사의 인식 제1권] - 한길사 (개정3판, 2004) 4반세기 만에 『해방전후사의 인식』을 다시 펴내면서(2004년 4월) 『해방전후사의 인식』을 내면서(1979년 9월) [1] 해방의 민족사적 인식 - 송건호 1. 민중이 주체가 되는 역사 2. 광복과 국내의 준비 태세 3. 해외 지도자들의 정치 활동 4. 미군정이 남긴 것 5. 일제 잔재의 재등장 6. 이즘이냐, 민족이냐 미군정의 정치사적 인식 - 진덕규 1. 인식의 관점 2. 개념적인 성격 3. 미군정의 권력구조 미군정의 전개 - 전반기 : 점령군의 통치 - 후반기 : 과도기적 혼란 한반도의 국제 질서와 미군정의 통치 과정 미군정의 한국인 관료 엘리트 4. 미군정기의 정치 상황 5. 미군정의 정치사적 평가 : 민족주의적 인식 분단의 배경과 고정화 과정 - 김학준 1. 머리말 2. 분단의 사실적 배경 극.. 2021. 4. 14.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35권] 교육운동 - 김형목 제1장 : 일제강점기 교육운동의 성과와 과제 제1절 : 식민교육의 실상과 비판 1. 문제제기 2. 식민교육에 대한 비판 제2절 : 민족교육의 범주와 평가 1. 범주와 인식 2. 연구사적 의의 제3절 : 양면성을 지닌 민중교육 1. 유치원교육 2. 서당교육 3. 야학운동 제2장 : 식민교육정책과 일본어 제1절 : 식민교육정책의 근간 조선교육령 1. 제1차 조선교육령기 1) 취지와 목적 2) 학제와 교육과정 3) 사립학교에 관한 법령 4) 서당규칙 5) 야학ㆍ강습소에 대한 통제 법령 2. 제2차 조선교육령기 1) 개정 배경과 취지 2) 학제와 교과목 3) 유치원에 관한 법령 3. 제3차 조선교육령기 1) 취지와 교육3대강령 2) 학제와 교과목 4. 제4차 조선교육령기 1) 학제와 교과목 2) 전시동원과 학교.. 2021. 4. 14.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34권] 국학운동 - 박걸순 제1장 : 국학운동의 배경과 성격 제1절 : 국학운동의 배경 제2절 : 국학운동의 양상과 성격 제2장 : 국어학운동 제1절 : 국어학사와 일제강점기 1. 국어학사의 시기구분 2. 조선교육령과 일본어 강요 3. 일제의 민족말살정책과 어문정책 제2절 : 국어 연구단체와 활동 1. 국어연구단체 1) 조선어연구회ㆍ조선어학회ㆍ한글학회 2) 조선어문학회 3) 조선어학연구회 4) 진단학회 5) 조선음성학회 2. 국어연구 1) 국어연구 현황 2) 외국인의 국어연구 제3절 : 국어운동 1. 국어운동과 어문민족주의 2. 한글맞춤법 제정운동 3. 표준어의 사정 4. 외래어표기법의 제정 5. 국어사전 편찬사업 6. 한글날의 제정 7. 한글보급운동 제4절 : 국어운동의 시련과 조선어학회사건 1. 조선어학회사건의 발단 2. 사건.. 2021. 4. 14.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