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자료실]577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26권] 의열투쟁 I : 1920년대 - 김영범 제1장 : 의열투쟁의 개념과 범주적 성격 제1절 : 의열투쟁 용어의 기원과 의미 제2절 : 독립운동에서 의열투쟁의 범위와 위상 제2장 : 의열투쟁의 방략화와 시동 제1절 : 의열투쟁의 독립운동 방략화 1. 임시정부의 독립전쟁 전략과 작탄투쟁 방략 2. 임시정부의 7가살론 제2절 의열투쟁의 시동 1. 27결사대의 국내의거 추진 : 국내진입 의거의 시발점 2. 구국모험단 창설 : 작탄투쟁 조직체의 최초 출현 3. 강우규의 서울역 의거 : 개인단독 의거의 선구 4. 철혈광복단원의 간도의거 : 군자금 획득 투쟁의 범례 제3장 : 의열투쟁의 조직적 전개와 확산 제1절 : 서간도방면 독립운동단체의 초기 의열투쟁 1. 대한독립단의 국내외 의열투쟁 2. 대한독립단 국내지단 : 호굴독립단 사례 3. 신흥학우단과 서로군정.. 2021. 4. 13.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25권] 대한민국임시정부 III : 중경시기 - 한시준 제1장 : 중경 정착과 당ㆍ정ㆍ군으로 체제 정비 제1절 : 중경 정착 제2절 : 한국독립당의 창당 1. 3당 통합과 한국독립당 창당 2. 한국독립당의 역할 제3절 : 한국광복군 창설 1. 한국광복군 창설 2. 한국광복군의 확대 발전 제4절 : 정부 조직의 확대와 단일지도체제 확립 1. 정부의 조직과 기반 확대 2. 주석제로 단일지도체제 확립 제2장 : 좌익진영의 임시정부 참여와 좌우연합정부 구성 제1절 : 좌익진영의 임시정부 참여 1. 참여배경 2. 조선의용대의 광복군 편입 3. 임시의정원 참여 제2절 : 통일의회의 구성과 운영 1. 통일의회의 구성 2. 통일의회의 운영 제3절 : 개헌과 좌우연합정부 구성 1. 헌법 개정 2. 좌우연합정부 구성 제3장 : 임시정부의 활동 제1절 : 건국강령의 제정 공포 .. 2021. 4. 13.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24권] 대한민국임시정부 II : 장정시기 - 한상도 제1장 : 장정 초기(1932년 5월~1935년 말) : 고난의 여정을 재촉하며 제1절 : 만주사변과 일제의 대륙침략 1. 만주사변 발발과 일본의 국제연맹 탈퇴 2. 일제의 중국관내지역 침략과 화북사변 3. 중국국민당정부의 소극적 대일노선 제2절 : 임시정부와 임시의정원의 변천과 활동 1. 물 위에 떠다니는 정부 2. 임정의 변천과 활동 1) 외교활동 2) 군사활동 3) 재정상황 4) 임정 및 임시의정원 운영 상황 5) 임정과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의 관계 제3절 : 만주사변 이후 독립운동정당의 활동 1. 한국독립당 2. 의열단 3. 조선혁명당 4. 한국혁명당ㆍ‘재만’ 한국독립당ㆍ신한독립당 5. 남화한인청년연맹 제4절 : 재만 독립운동세력의 임정 합류 : ‘재만’ 한국독립당과 한국독립군의 관내지역 이동 1... 2021. 4. 13.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23권] 대한민국임시정부 I : 상해시기 - 김희곤 제1장 : 서장 제1절 : 임시정부 상해시기의 특징과 성격 제2장 : 수립배경 제1절 : 독립운동 기지 건설과 상해 제2절 : 제1차 세계대전과 정부수립론 대두 제3절 : 제1차 세계대전 종전과 독립기회론 확산 1. 파리강화회의에 대한 대응 2. 독립기회론의 국내외 파급 제3장 : 정부 수립 과정 제1절 : 국내외에서 추진된 정부 수립 1. 대한국민의회 2. 한성정부 3. 신한민국정부 4. ‘전단 정부’ 제2절 : 독립임시사무소 설치와 정부 수립 논의 1. 독립임시사무소 설치와 활동 2. 정당설립론과 정부수립론 제3절 : 정부 수립과 임시헌장 1. 정부 수립 회의와 출범 2. 대한민국임시헌장 제4절 : 정부 조직 체계화 작업 제5절 : 수립 초기 임시의정원의 기능과 구성원 1. 기능 2. 구성원 제6절 .. 2021. 4. 13.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22권] 3ㆍ1운동 직후 무장투쟁과 외교활동 - 황민호, 홍선표 제1부 : 3ㆍ1운동 직후 무장투쟁 제1장 : 만주지역 한인사회와 독립전쟁론 [정리] 제1절 : 독립전쟁론과 항일무장단체의 조직 제2절 : 한인사회의 등장 1. 독립군기지 건설 2. 간민교육회의 활동 3. 일제의 민족교육 탄압 4. 일제의 한인사회 분열책동 제2장 : 독립군단 편성과 항일투쟁 [정리] 제1절 : 독립군단 편성과정 1. 대한독립단의 결성 2. 무관학교 설립과 독립군 양성 3. 철혈광복단 조직과 활동 제2절 : 서간도지역 독립군단 1. 독립군단의 현황 2. 독립군단의 활동 1) 서로군정서 2) 대한독립단 3) 대한독립군비단 4) 광복군총영 5) 대한청년단연합회 제3절 : 북간도지역 독립군단 1. 독립군단의 조직 현황 2. 독립군단의 활동 1) 북로군정서 2) 대한독립군 3) 대한국민회군 4).. 2021. 4. 13.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21권] 국외 3ㆍ1운동 - 김병기, 반병률 제1부 : 만주지역 3ㆍ1운동 제1장 : 만주지역 한인이주와 대한독립선언 제1절 : 만주지역의 한인이주 1. 북간도의 한인이주 2. 서간도의 한인이주 3. 한인사회의 생활상 제2절 : 대한독립선언 1. 선언배경 1) 1910년대 독립운동계의 상황 2) 민족자결주의의 대두 3) 다각적인 국내외 거의 시도 3. 대한독립선언서 4. 독립선언의 영향력 5. 선언의 의의 제2장 : 북간도의 3ㆍ1운동 제1절 : 북간도 3ㆍ1운동의 배경 1. 한인 교육기관 1) 서전서숙 2) 밀산부 한흥동 3) 명동학교 2. 한인 교민단체 1) 간민교육회 2) 간민회 3) 중광단 제2절 : 북간도 3ㆍ1운동의 전개 1. 용정촌의 3ㆍ13만세운동 2. 연길현 3. 화룡현 4. 왕청현 5. 훈춘현 1) 3ㆍ1독립선언 축가 민중대회 2.. 2021. 4. 13.
“개화기 조선의 간도인식과 정책의 변화” - 하원호(2006) 하원호(2006). 개화기 조선의 간도인식과 정책의 변화. 동북아역사논총(14), 7-31. I. 머리말 1880년대 들어 간도지역의 영역 문제를 둘러싸고 조선과 청국 양국간 대립이 첨예... 1883년 어윤중의 감계 제의에 따라 1885년, 1887년 두 차례 걸쳐 영토 문제에 대한 담판... 1885년 청일전쟁에서의 청국의 패전, 1900년 의화단 사건으로 인한 러시아의 간도 점령, 1905년 러일전쟁에서의 일본의 승리 등으로 조선의 간도지역에 대한 영토 인식과 정책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7) 화이론적 세계관이 만국공법적인 인식으로 전환되고 정책에서도 그대로 변화가 반영... (7) 청일전쟁 이후 청국의 내정 간섭이 불가능해진 이후 조선은 대한제국시기에 들어 간도를 자국의 영토로 인식하는 의식이.. 2021. 4. 12.
“해석된 ‘만주’ - 동양사에서 본 만주의 의미” - 박선영(2019) 박선영(2019). 해석된 ‘만주’ - 동양사에서 본 만주의 의미 -. 만주연구, 28. 91-127. I. 서론 : 만주의 의미 만주는 지정학적 중요성으로 전략적 거점이기 때문에 ‘전쟁에서 반드시 쟁취해야 할 지역’이었다. 국제적 모순의 초점이며 아시아의 발칸으로 미래 동방 균형의 중심이기도 하다. (92) 교통로의 발전은 만주 지역 사회경제에 근본적인 변혁을 초래하였다. (92) 중국사회과학원은 ‘공정’이나 ‘항목’이라는 이름으로 내지와 변경과의 관계를 정리하는 프로젝트를 통해 동북(만주), 서북(신강), 서남(티벳), 북부(몽골) 및 해강의 장악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청사공정’을 통해 ‘한화된 만주족 청사’ 혹은 ‘중화민족인 만주족의 청사’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93) I.. 2021. 4. 12.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20권] 국내 3ㆍ1운동 II : 남부 - 김진호, 박이준, 박철규 제1장 : 충청지방 3ㆍ1운동의 전파 제1절 : 독립선언서 전파 제2절 : 시위운동의 전개 양상 제2장 : 충청지방 3ㆍ1운동 전개 과정 제1절 : 충남지방 1. 대전군 2. 공주군 3. 연기군 4. 천안군 5. 아산군 6. 예산군 7. 당진군 8. 서산군 9. 홍성군 10. 청양군 11. 부여군 12. 논산군 13. 서천군 14. 보령군 15. 태안군 제2절 : 충북지방 1. 청주군 2. 진천군 3. 괴산군 4. 음성군 5. 충주군 6. 제천군 7. 단양군 8. 보은군 9. 옥천군 10. 영동군 제3장 : 충청지방 3ㆍ1운동에 대한 탄압 제1절 : 충남지방의 탄압상 1. 대전지역 2. 공주지역 3. 연기지역 4. 천안지역 5. 아산지역 6. 예산지역 7. 당진지역 8. 서산지역 9. 홍성지역 10. 청.. 2021. 4.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