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자료실]577

[한국 교회 발전사 - 한국 교회 태동ㆍ성장과 변천의 발자취] - 전택부 (홍성사, 1987) 간행사 머리말 서론 : 성장 발전을 향한 기독교의 의지 제1부 : 한국 천주교회 1. 한국 천주교회 창설과 그 과정 1) 학으로 받아들여진 한국 천주교 2) 한국 천주교 창설 2. 초대교회의 모습 1) 외국인 신부의 첫 순교 2) 33년간 목자 없던 평신도 교회 3) 천주교 학자들의 보유론ㆍ호교론ㆍ실학운동 3. 박해 속의 교회 성장 1) 조선교구 설정 2) 고난과 박해 (1) 을사추조적발사건(1785년) (2) 신해박해(1791년) (3) 신유박해(1801년) (4) 을해교난(1815년) (5) 정해교난(1827년) (6) 기해박해(1839년) (7) 병오년 교난(1846년) (8) 병인박해(1866년) 3) 최초의 한국인 신부 김대건 4. 쇄국과 개국의 사이 1) 흥선대원군의 대박해까지 2) 신앙 자유.. 2021. 4. 10.
[토박이 신앙산맥 1, 2, 3] - 전택부 [토박이 신앙산맥] - 전택부 머리말을 대신하여 - 유린당한 생명을 찾아서 1. 예수쟁이와 예수꾼이 된 사연 2. 천민들의 신앙산맥 3. 관잣골의 박가 성춘 4. 왕손 이 목사와 마부꾼 엄영수 6. 성신강림의 땅 원산 7. 남편 찾아 하와이로 부록 : 애꿋은 나라 운명과 개신교의 선봉들 洋人이냐 ; 韓人이냐? 호랑이 계곡에서 연애를 하다 閔妃의 가슴을 헤치다 후기 [토박이 신앙산맥 2] - 전택부 1. 북간도와 러시아 영내까지 2. 상동파 - 그 역사와 독립꾼들 3. 제주도 선교 4. 조상 찾아 구만리 장천 [토박이 신앙산맥 3] - 전택부 머리말 1. 강화와 기독교 2. 기독교와 선천 3. 부록 : 민족의 영산ㆍ강화의 마리산 2021. 4. 10.
[현대교회의 고민과 설교] - H. 틸리케 / 심일섭 (대한기독교출판사, 1982) 서문 1. 설교의 困境(곤경)과 悲哀(비애) 2. 설교에 대한 불신 3. 그리스도인의 意識分裂(의식분열 4. 신앙적(信仰的) 實在(실재)의 病理(병리) 5. 설교의 정신적 영적 要請(요청) 6. 의지할 데 없는 獨奏者(독주자)로서의 설교자 7. 설교와 신학의 이원성 8. 청중의 獨裁權(독재권)에 대항하여 9. 설교 용어의 진부성 10. 현대성 - 虛飾(허식)과 眞實(진실) 11. 무기력한 언어와 그 갱신 12. 교직자들의 선전용어 13. 신학적 專門家(전문가)의 전용용어 14. 적게 말하는 것에 대한 불안 15. 두 신학자의 대화 16. 설교 방법론의 이것 저것 17. 인간이라는 것에 대한그릇된 言及(언급) 18. 있지 않은 인간에의 설교 19. 현실 遊離(유리)와 倦怠(권태)에서 인간적 勝利(승리) 2.. 2021. 4. 10.
[카리스마적 리더십] - 황춘배 (그리심, 2007) 프롤로그 제1장 : 리더십의 도전과 응전 창조적 리더십과 네트워크시대 카리스마적 리더십 개념 카리스마적 리더십의 핵심가치 제2장 : 카리스마적 리더십 원리 영적지혜와 성령의 역사 영적지수(SQ)의 개념 성령의 은사와 카리스마 리더십의 정의와 변천사 제3장 : 국가 시스템과 리더십 하나님의 경륜과 리더십 성경의 국가관과 사회정의 중국의 정치 변동과 기독교 제4장 : 한국의 미래와 기독교 분단국가의 협력과 리더십 이스라엘과 한국의 재통일과 유사성 리더십과 다양성의 최적화 제5장 : 가치관과 세계관의 정립 이데올로기와 기독교의 세계관 공산주의 초극과 기독교 기독교적 세계관의 적용 제6장 : 주권적 다스림의 기독교 주권적 다스림의 실현 성경적인 리더십의 지향성 예수님의 불멸의 카리스마 제7장 : 성경적인 카리스.. 2021. 4. 10.
[종교개혁과 신학자들] - 카터 린드버그, 조영천 옮김 (기독교문서선교회, 2012) 추천사 감사의 글 역사 서문 기고자들에 대한 소개 약어표 서론 신학자들 종교개혁 제1부 : 인문주의 신학자들 제1장 : 자크 르페브르 테타플(c.1460-1536) 르페브르가 활동했던 네 지역 1) 파리 2) 모(Meaux) 3) 스트라스부르그 4) 네락 성경해석학 칭의, 믿음 그리고 행위 성례 서신서와 복음서의 교리 그리스도에 대한 일치 제2장 : 데시데리우스 에라스무스(1469-1536) 초창기 활동 기독교 인문주의 그리스도의 철학 에라스무스의 기독론 성례 신약성경 연구 루터와의 논쟁 에라스무스의 후기 활동 제2부 : 루터파 신학자들 제3장 : 마틴 루터(1483-1546) 신학의 정의 신학의 주제 : 죄인된 인간과 의롭다 하시는 하나님 약속 : 루터의 신학에 나타나는 종교개혁적 전환과 그 중심, 율.. 2021. 4. 10.
[한국 기독교 형성사 - 한국 종교와 개신교의 만남 1876-1910] - 옥성득 (새물결플러스, 2013) 머리말 감사의 글 약어표 이미지(사진, 그림, 지도, 표, 도표) 목록 서론 : 경쟁하는 담론들 1. 개신교와 한국 종교들의 만남에 관한 탈식민주의 담론 미국 선교사에 대한 진보와 보수 신학의 판에 박힌 평가 브라운 패러다임의 문제 2. 초기 선교사들의 한국 종교 이해 초기의 인상 : 무종교 천주교와의 차별화 수정한 반응 : 다중 종교성 제1장 : 하나님 - 용어 문제와 신조어 하ᄂᆞ님의 채택 1. 중국의 용어 문제 로마 가톨릭 : 上帝, 天主와 전례 논쟁 개신교 : 神에 대한 上帝의 우위성 2. 한국의 용어 문제 로마 가톨릭의 텬쥬(天主) 존 로스의 하느님(하나님) 채택 이수정의 신(神) 사용 언더우드의 다양한 실험과 송순용의 상뎨 지지 텬쥬와 하ᄂᆞ님의 경쟁 3. 유일신 하ᄂᆞ님의 창출 : 선교사와 .. 2021. 4. 10.
[다시, 독립의 기억을 걷다] - 노성태(살림터, 2018) 전설로 남은 독립 영웅들 1부 연해주 답사 1장 : 항일독립운동의 성지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 1. 극동대학교 한국학 대학 내가 만난 고려인 비올레타 장도빈과 한국학 대학 2. 연해주 독립운동의 메카 신한촌 연해주에서의 독립운동 라게르산 언덕의 달동네 독립운동의 메카 신한촌 신한촌 기념탑 전설로 남은 독립 영웅들 3. 한인들의 첫 둥지 개척리 마을 개척리 마을 아르세니예프 향토 박물관 블라디보스토크 역 2장 : 이상설과 최재형의 혼이 서린 우수리스크 1. 중앙아시아 강제 이주의 출발지 라즈돌리노예 역 명령번호 1428-326 소련의 역사 왜곡 2. 국외 독립운동의 선구자 이상설 헤이그 특사로만 알려진 이상설 수이푼 강변의 이상설 유허비 자결로 저항한 이범진 스물한 살의 헤이그 특사 이위종 3. 연해주 독립.. 2021. 4. 9.
[기독교 교리사] - J.L. 니브 / O.W. 헤이크 / 서남동 (대한기독교서회, 1992) 머리말 일러두기 제1편 고대교회 제1장. 서론적인 문제들 I. 주제와 방법에 관하여 II. 기본적 자료 1. 종교 회의의 기록 2. 종교 회의의 역사 3. 교부들의 기록 III. 교리사에 대한 개관 1. 중세기의 관점 2. 종교개혁 시대의 변화 3. 계몽과 합리주의(뮌셔) 4. 슐라이에르마허 5. F.C. 바우어, 토마시우스 6. 하르낙 7. 로프스, 제베르크, 비간트 8. 미국의 저작가들 9. 매키퍼트 10. 영국 학자들의 공헌 11. 스웨덴의 신학(아울렌, 니그렌) IV. 역사적 교리 A. 발전의 문제 1. 성서 2. 로마 교회의 교의 3. 모든 주제들에 일관된 논리 4. 각 민족의 공헌 5. 철학적 영향 6. 역사상 인물들의 개성과 특징 B. 교리적 유산의 순수성 1. 구속 종교의 타락 2. 본 저.. 2021. 4. 9.
[거침없이 빠져드는 기독교 역사] - 유재덕(브니엘, 2008) 플로로그 Section 1 : 그리스도인은 누구일까 네로는 정말 노래를 불렀을까 - 기름창고의 화재 - 박해, 그리고 순교 기독교가 박해를 받은 까닭 - 신을 안 믿는 기독교 - 낯선 기독교 - 부도덕한 기독교 - 가치관이 다른 기독교 예루살렘의 몰락 - 욕심이 초래한 비극 - 반란의 진압 박해를 감내하는 그리스도인 - 로마의 박해 - 순교의 시대 신앙의 옹호자들 - 순교자 유스티누스 - 사도적 증인 이레나에우스 순교자의 피는 교회의 씨앗이다 - 성장의 동력들 - 블란디나와 페루페투아 Section 2. 변화하는 기독교, 그리고 전통 변화하는 기독교 - 내부의 위협, 영지주의 - 마르키온, 영지주의의 사도 - 오리게네스, 영지주의의 흔적 새로운 전통의 수립 - 신앙의 내용, 정경 - 신앙의 규범, 고백 .. 2021. 4. 9.